[include(틀:역대 오스트리아 총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51905, #C8102E 20%, #C8102E 80%, #B51905)" '''[[오스트리아 총리|{{{#fff 오스트리아 제29대 연방총리}}}]][br]{{{#fff {{{+1 카를 네하머}}}[br]Karl Nehammer}}}'''[* [kaɐ̯l ˈneːham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arl_Nehamme.jpg|width=100%]]}}} || ||<|2> '''출생''' ||[[1972년]] [[10월 18일]] {{{-1 ([age(1972-10-18)]세)}}} || ||[[오스트리아]] [[빈(오스트리아)|빈]]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 ||<|4> '''임기''' ||<#f5f5f5>제23대 내무장관 || ||[[2020년]] [[1월 7일]] ~ [[2021년]] [[12월 6일]] || ||<#f5f5f5>제29대 연방총리 || ||[[2021년]] [[12월 6일]] ~ [[현직]] ||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arlnehammer,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karl.nehamme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파일:크렘스 안 데어 도나우 대학교 아이콘.png|width=18]] 크렘스 안 데어 도나우 대학교(UWK) {{{-2 (정치커뮤니케이션 / [[석사]]) (2012년)}}} || || '''가족''' ||배우자 카타리나 네하머[br]슬하 자녀 2명 || || '''소속 정당''' ||[include(틀:오스트리아 인민당)] || || '''약력''' ||오스트리아 인민당 사무총장[br]내무장관[br][[오스트리아 인민당]] 대표[br][[오스트리아]] 제29대 연방총리 ||}}}}}}}}} || [목차][clearfix] == 개요 == 오스트리아의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현 오스트리아 공화국 연방총리다. == 생애 == 어린 시절 오스트리아 빈에서 성장한 후, [[가톨릭]] 사립학교인 칼크스부르크 학교([[김나지움]])을 졸업했다. 이후 군대에 1년자원병 형식으로 입대했다가 [[중위]]로 예편했다. 군대를 떠난 후, [[오스트리아 인민당]]에 입당하여 본격적으로 정계에 입문하게 된다. 하지만 주로 선출직으로 나서기보다는 당 조직에서 이들을 지원하는 업무를 맡았으며, 2017년이 되어서야 처음으로 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고, 이후 당 사무총장을 맡게된다. [[제바스티안 쿠르츠]] 총리가 극우 성향 자유당과의 연정을 해소하고 2019년에 다시 치른 총선에서 승리, [[녹색 - 녹색 대안|녹색당]]과 연정을 구성하면서 내무부 장관에 새롭게 기용, 정계 입문 후 처음으로 각료 생활을 하게 된다. 오랜기간 당에서 활동해왔고, 사무총장을 맡으면서도 무리없이 임무를 수행해 온 점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난민 문제에 있어서 강경한 쿠르츠 총리와 입장이 같은 것 역시 입각의 주요 요소로 꼽힌다. [[https://orf.at/stories/3149410/|#]]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범유행]]으로 인하여 강력한 [[봉쇄|락다운]] 정책을 폈으며 같은 해 [[2020년 빈 테러|이슬람 테러리스트에 의한 총격 사건]]이 발생하자 강경한 조치를 천명하면서도 사전에 테러 위협을 발각하지 못한 점에 대해 인정하고 사과했다. [[https://www.bbc.com/news/world-europe-54788613|#]] 쿠르츠 총리가 2021년 10월 9일, 부패 의혹으로 사임하자 [[알렉산더 샬렌베르크]] 총리 체제가 새롭게 들어섰지만 여기서도 자리를 유지했다. 하지만 그로부터 2달뒤, 의회로부터 면책 특권까지 박탈당한 쿠르츠 전 총리가 당 대표직 사임 및 정계 은퇴를 선언하고 그 비호를 받던 샬렌베르크 총리까지 사임을 선택하면서 당 지도부로부터 후임 당 대표 및 총리 후보자로 지명받게 됐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1204001900088|#]]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대통령으로부터 [[12월 6일]], 공식 지명을 받아 취임 선서를 하고 총리직에 취임했다. [[https://www.dw.com/en/austria-karl-nehammer-sworn-in-as-new-chancellor/a-60032938|#]] 한편 샬렌베르크 전 총리는 아예 취임 전 직책인 외무장관으로 돌아갔다. === [[오스트리아 총리|연방총리]] 시절 === 12월 9일, 의회 내에서 [[제바스티안 쿠르츠]] 전 총리 부패의혹에 대해 조사하기 위한 조사위원회를 설립했다. 조사위원회는 의회 다수당인 인민당과 정부를 이끌었던 쿠르츠 전 총리의 부패 의혹에 대해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https://m.yna.co.kr/view/AKR20211210144200088?section=international/all|#]] [[2022년]] [[4월 11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뒤 EU 회원국 정상 중 처음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대면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이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데 잘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가르치는 라인하르트 하이니시 교수는 본인의 [[트위터]]에서 "오스트리아는 과거 모스크바의 유용한 바보 역할을 너무 자주 해왔다"고 꼬집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412000551088|#]] [[2022년]] [[5월 14일]] 열린 인민당 임시 전당대회에서 만장일치로 당 대표로 선출되면서 임시 대표의 꼬리표를 뗐다. [[https://www.thelocal.at/20220514/austrias-nehammer-formally-elected-party-leader-in-unanimous-vote/|#]] 2022년 6월 14일,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가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약 60억 유로의 지원 패키지를 발표했다. [[https://www.reuters.com/markets/europe/austria-announces-6-bln-euro-package-address-cost-of-living-crisis-2022-06-14/|#]] 다만 취임한지 1년도 지나지 않은 2022년 8월 기준으로도 지지율이 매우 낮은 편인데, 미국 여론조사기관 '모닝 컨설트' 기준으로는 20%대 지지율로 세계 주요국 정부 수반으로서는 하위 1/3에 속하는 수준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총리 및 수상 일람)] [[분류:1972년 출생]][[분류:오스트리아 총리]][[분류:빈 출신 인물]][[분류:군인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