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독일 국방군/장성급 장교)]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카를 에글제어.jpg|width=100%]]}}} || ||<#666> {{{#FFF 이름}}} ||'''Karl Eglseer'''[br]카를 에글제어|| ||<#666> {{{#FFF 생몰년도}}} ||1890. 07. 05. ~ 1944. 06. 23. || ||<#666> {{{#FFF 복무}}}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 독일 국방군 || ||<#666> {{{#FFF 최종계급}}} ||[[파일:Si_4b.png|width=32]] 보병대장 → 산악대장 || ||<#666> {{{#FFF 주요참전}}} ||<(> • [[1차 세계대전]] • [[2차 세계대전]] || ||<#666> {{{#FFF 서훈}}} ||[[철십자 훈장#s-5.3.1|기사십자 철십자 훈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2차 세계대전기 [[오스트리아]], [[나치 독일]]의 장군. == 생애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태어났으며 [[제1차 세계 대전]]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에서 복무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된 뒤에도 오스트리아군에서 복무했으며, [[오스트리아 병합]]이 이루어지자 [[독일 국방군]]으로 이적했고, 방위군 중장으로 활약했다. 1940년에 제4산악사단장이 돼 동부전선에 배치되었으며, 이후 산악대장으로 진급한 뒤 1943년 제714보병사단장[* 이후 114 엽병사단으로 개편된다.]을 맡아 [[크로아티아]] 지역의 파르티잔 진압작전에 투입되었다. 그해 말 12월에는 [[프란츠 뵈메]]의 후임으로 18산악군단장이 되었고 [[라플란드 전쟁]]이 거의 끝맺어짐에 따라 동부전선의 북부로 배치되었다. [[1944년]] [[6월 23일]]에 [[Ju 52|비행기]] 추락사고로 사망했다. 이때 동승하고 있던 [[에두아르트 디틀]]도 역시 사망했다. == 기타 == [[오스트리아 병합]]이후 오스트리아군에서 방위군으로 이적한 군인들은 카를 에글제어 외에도 알렉산더 뢰어, [[에르하르트 라우스]], [[로타르 렌둘릭]], [[프란츠 뵈메]] 등이 있다. 이 가운데서 렌둘릭과 뵈메는 에글제어와 함께 산악병과였으며, 때문에 비슷한 전장에서 선후임사령관으로 마주했다. [[분류:독일 국방군/인물]][[분류:항공사고로 죽은 인물]][[분류:1890년 출생]][[분류:1944년 사망]][[분류:오버외스터라이히 주 출신 인물]][[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군/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사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