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88년 출생]][[분류:1947년 사망]][[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 제국의 군인]][[분류:독일 국방군/인물]][[분류:뉘른베르크 출신 인물]] [include(틀:독일 국방군/장성급 장교)]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800px-Portrait_Carl_Hilpert.jpg|width=100%]]}}} || || {{{#FFF 이름}}} ||'''Carl Hilpert'''[br] 카를 힐페르트 || || {{{#FFF 출생}}} ||1888년 9월 12일[br][[독일제국]] [[바이에른 왕국]] [[뉘른베르크]] || || {{{#FFF 사망}}} ||1947년 2월 1일[br][[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FFF 복무}}} ||[[독일 국방군]] [[육군]] || || {{{#FFF 최종계급}}} ||[[파일:Si_4a.png|width=32]] 육군 [[상급대장]] || || {{{#FFF 주요참전}}} ||[[제2차 세계 대전]]|| || {{{#FFF 서훈}}} ||백엽 기사십자 철십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 제국]], [[나치 독일]]의 군인. == [[2차 세계 대전]] == === [[가짜 전쟁]] === 1939년 9월 9일, [[쿠르트 폰하머슈타인에크보르트]] 지휘하 벨기에와 네덜란드 국경 A 분견군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 10월 3일, A 분견군이 해체되고, [[크라쿠프]]에서 현지 주둔 독일군과 슬로바키아군을 지휘하였다. === [[프랑스 침공]] === 1940년 2월 5일, [[프랑스 침공]] 작전 계획은 위하여 [[에르빈 폰 비츨레벤]] 대장 (이후 원수) 휘하 1군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10월 1일 성공적인 작전 수립의 공로로 중장으로 진급하였다. === [[서부전선]] === 이후 [[에르빈 폰 비츨레벤]] 대장이 원수로 진급하여, D 집단군 사령관으로 배치되자, [[에르빈 폰 비츨레벤]]도 그를 집단군 참모총장으로 임명했다. 이후 1942년 4월, D집단군[[에르빈 폰 비츨레벤]]에서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로 배치되자, 힐페르트는 예비역으로 재배치되었다. === [[동부전선]] === 1945년 4월, [[쿠를란트]] 집단군(Heeresgruppe Kurland) 사령관을 맡았고, 5월 1일 [[상급대장]]으로 승진하였으나, 5월 8일 소련군에 항복하고 포로가 되어 1948년 수용 생활 도중 모스크바에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