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 {{{+1 [ruby(上, ruby=かみ)][ruby(白, ruby=しら)][ruby(滝, ruby=たき)][ruby(駅, ruby=えき)]}}}[br] || {{{+1 Kami-Shirataki Station}}} || ||<-3> {{{#!wiki style="margin: -0px -5px;" [[JR 홋카이도|[[파일:JRH_Wlogo.svg|height=50&align=left]]]]}}}[[JR 홋카이도|{{{#d8d8d8 JR 홋카이도}}}]][br]'''{{{+2 {{{#d8d8d8 카미시라타키역}}} {{{#ffffff (폐역)}}}}}}'''|| ||<-3>[include(틀:지도, 장소=上白滝駅, 너비=100%, 높이=300px)]|| ||<-3> '''다국어 표기''' || || 일본어 ||<-2> 上白滝[br](かみしらたき) || || 영어 ||<-2> Kami-Shirataki || ||<-3> '''주소''' || ||<-3> [[홋카이도]] 몬베츠군 [[엔가루초]] 카미시라타키[br]北海道紋別郡遠軽町上白滝 || ||<-3> '''역 운영기관''' || || [[세키호쿠 본선|{{{#ffffff 세키호쿠 본선}}}]] ||<-2> [[JR 홋카이도|[[파일:JR 홋카이도 로고.svg|width=180]]]] || ||<-3> '''개업일''' || ||<-3> 1932년 10월 1일 || ||<-3> '''폐역일''' || ||<-3> 2016년 3월 26일 || ||<-3> '''노선거리표''' || || [[신아사히카와역|{{{#000000,#e5e5e5 {{{#!html
신아사히카와 방면
}}}}}}]][[오쿠시라타키 신호장|오쿠시라타키[br]신호장]][br]← 5.0 km || '''[[세키호쿠 본선]]'''[br]--카미시라타키--[br]{{{#red (폐역)}}} || [[아바시리역|{{{#000000,#e5e5e5 {{{#!html
아바시리 방면
}}}}}}]][[시라타키역|시라타키]][br]3.3 km → || || [[파일:external/blog-imgs-48.fc2.com/4593.jpg|width=100%]][br]2009년의 역사 ([[http://blueribbon3737.blog87.fc2.com/blog-entry-737.html?sp|출처]]) || [[파일:Kamishirataki_ato.png|width=100%]][br]2018년의 역 터 || ||<-2> [[파일:Kamishirataki-pf.png|width=100%]][br]2016년 2월의 눈덮인 승강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홋카이도]] 몬베츠군 [[엔가루초]]에 자리하고 있는 [[JR 홋카이도]] [[세키호쿠 본선]]의 [[폐역]]으로, 1면 1선 단선 승강장의 조촐한 [[간이역]]이었다. [[카미카와역]] 방면으로 역간거리가 으리으리하게 길었는데, 거리가 무려 '''34km...''' 참고로 [[서울역]]에서 [[의왕역]]까지가 34km정도 된다. ~~그래서 1구간 요금도 '''700엔'''이 넘는 무시무시한 가격이~~ [[세키호쿠 본선]] 항목에서 보면 알겠지만 그 사이에 [[신호장]]이 3개나 들어 있기 때문. 당연히 그 신호장들도 예전엔 역이었다. 이 역에 정차한 후 [[아사히카와역]]까지 가는 4626D 열차는 이 역에서 카미카와역까지 68분이 소요되었는데 이는 당시의 일본 철도 1구간 소요시간으로는 1위였다. 역 앞에 10채가 약간 넘는 집들이 모인 마을이 있으며, 그 주변은 농경지와 숲 뿐이다. == 정차 열차 및 이용객수 == 상행, 하행 각각 '''하루에 단 한 편의 열차만 정차'''했다. 오래 전부터 일본에서 영업중인 역 중 가장 열차가 적게 서는 역으로 일본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이름을 날리고(...) 있던 역이였으나, 워낙에 이름없는 시골역인 탓에 웬만한 [[철도 동호인]]조차 모르고 있던 역이였다. 그런데 2016년 1월 들어 일본 다큐멘터리에 이 역의 사정이 소개되고 그 내용이 한국에도 알려지며 갑자기 그 이름을 알리고 있다.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4&cid=845614&iid=28986784&oid=005&aid=0000857236&ptype=02|#]] --마지막 사진이 큐시라타키역인데-- == 폐역 ==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과 함께 실시되는 다이어그램 개정에 따라 정차 열차가 완전히 없어졌다. 2015년 7월에 [[JR 홋카이도]] 측에서는 이 역이 위치한 [[엔가루초]]에 폐지를 통보했다. 다른 간이역들과는 다르게 접근성이 워낙 [[답이 없다|노답]]이라 [[철도 동호인|철덕]]들도 방문하기 꺼린다는 이야기가 있을 지경. 사실 [[이이역]]이나 [[코보로역]]처럼 열차라도 좀 서 주면 차라리 철덕들이 찾아가기라도 쉽다. 그러나 여긴 고작 하루에 한 편만, 것도 이른 아침이나 저녁에만 정차시키고 주변에 버스도 없으므로 애초에 기차를 타지 않고 접근하려면 [[렌터카]]밖에는 방법이 없다. == 여담 == 한때 일본 언론이 [[고3]] [[여고생]] 단 한 명 만을 위한 역으로 소개하며 이 여고생이 졸업하면서 해당 역도 폐쇄되었다는 이야기를 다룬 적이 있다.([[https://youtu.be/ttMbBNR1uak|관련뉴스, 일본어]]) 이 방송이 전세계로 퍼지며 훈훈한 에피소드화 되었는데, 사실 방송에서 다룬 것은 카미시라타키역이지만 방송에 출연한 여고생이 실제로 통학하던 역은 '''이 역이 아니라 인근 [[큐시라타키역]]이다.'''(KBS에서 취재한 동영상 참고:[[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14493|#]]) 이 역은 카미시라타키역과는 달리 열차가 일 4회 정차하고, 역의 이용자도 방송에 탄 여고생 한명 뿐이 아니었다. 애당초 역이 폐쇄된 것 또한 여고생의 졸업과는 딱히 상관이 없다. 2015년 홋카이도 신문에 큐시라타키역을 이용하고 있는 여고생'들'에 대한 기사[* '카미시라타키역을 이용하는 학생은 없다. 때문에 큐시라타키역이 폐쇄되면 학생들의 등하교에 문제가 생긴다.'는 내용.]가 실린적이 있는데, 2016년에 와서 일본 방송이 이 내용을 미화하고 각색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승강장 == ||<-2> [[카미카와역|카미카와]] ↑ || || {{{#e0e0e0,#1f1f1f 乗}}} || ㅣ || ||<-2> [[시라타키역|시라타키]] ↓ || || {{{#e0e0e0,#1f1f1f 乗}}} ||{{{#f7931d ■}}} [[세키호쿠 본선]]|| 상·하행 ||--[[카미카와역|카미카와]] · [[시라타키역|시라타키]] · [[마루셋푸역|마루셋푸]] · [[세토세역|세토세]] · [[엔가루역|엔가루]] 방면--|| [[분류:일본의 폐지된 철도역]][[분류:193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16년 폐지된 철도역]][[분류:세키호쿠 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