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2 까미유 끌로델}}}''' (2013)[br]''Camille Claudel 1915''}}}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까미유 끌로델 1915 국내 포스터.jpg|width=100%]]}}} || || '''{{{#ffffff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기]], [[드라마]]}}} || || '''{{{#ffffff 감독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브루노 뒤몽]]}}} || || '''{{{#ffffff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라시드 부샤렙, 장 브레햇, 뮤리엘 메를린}}} || || '''{{{#ffffff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쥘리에트 비노슈]], 장 뤽 뱅상,,외,,}}} || || '''{{{#ffffff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기욤 데포테인스}}} || || '''{{{#ffffff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브루노 뒤몽]]}}} || || '''{{{#ffffff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리통 듀피르-클레망}}} || || '''{{{#ffffff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필립 르코어}}} || || '''{{{#ffffff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알렉산드라 샤를, 브리짓 마세이-세르소어}}} || || '''{{{#ffffff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3B 프로덕션스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아르테 프랑스 시네마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시네+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카날+]]}}} || || '''{{{#ffffff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찬란]]}}} || || '''{{{#ffffff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ARP 셀렉션[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찬란]]}}} || || '''{{{#ffffff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베를린 국제 영화제|[[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Berlin_International_Film_Festival_logo.svg.png|width=20]]]] 2013년 02월 12일[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2013년 03월 1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3년 10월 24일}}} || || '''[[화면비율|{{{#ffffff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5 : 1}}} || || '''{{{#ffffff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95분}}} || || '''{{{#ffffff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320만 유로}}}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660,355}}} || ||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35,296}}} ||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3,719명}}} || || '''{{{#ffffff 국내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40]] {{{#000000 (TVING)}}}]] [[https://www.tving.com/movie/player/M000075704|▶]]]}}}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 개요 == [[브루노 뒤몽]] 감독, [[쥘리에트 비노슈]] 주연의 [[프랑스]] 영화. [[오귀스트 로댕]]의 제자이자 연인이었던 조각가 [[카미유 클로델]]이 1915년 51살이었을 때 [[정신병원]]에서의 사흘간을 담은 영화.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vz5oY3tWNI)]}}}|| || {{{#ffffff '''▲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네이버 영화]] > '''사랑에 갇힌 예술가, 까미유 끌로델의 열정 그리고 파멸까지''' > > 프랑스 남부의 한 정신병원에 수감된 까미유 끌로델. > 그곳에서 그녀는 친구와 편지를 주고 받지도, 다시는 조각을 할 수도 없는 고립 상태에 놓여있다. > 메마르고 적막한 풍경과 병원 환자들의 절규가 하루하루 숨을 조여오는 가운데 남동생 폴 끌로델의 방문 소식은 그녀의 유일한 희망이다. > 하지만 그토록 기다려왔던 동생과의 만남도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서로 어긋나기만 하는데… > > 세상으로부터 버림받은 비운의 예술가 까미유 끌로델, 유난히 쓸쓸했던 1915년 겨울의 기억이 펼쳐진다. == 등장인물 == * [[쥘리에트 비노슈]] - [[카미유 클로델]] 역 * 장 뤽 뱅상 - 폴 클로델 역 * 로베르 르로이 - 의사 역 * 엠마누엘 카우프만 - 신부 역 * 마리온 켈러 - 마드모아젤 블랑 역 * 플로렌스 필리페 - 플로렌스 자매 역 == 줄거리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camille-claudel-1915, critic=65, user=8.3)]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camille_claudel_1915_2013, tomato=80, popcorn=48)] [include(틀:평가/IMDb, code=tt2018086, user=6.5)]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camille-claudel-1915, user=3.3)]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96715, presse=4.3, spectateurs=3.0)]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606690, user=6.318)]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49771, user=3.75)]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59546, user=3.2)]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190929,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6795226, user=7.2)]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D0zQ5, user=3.3)]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7414, light=76.92)]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92045, expert=7.25, audience=10.0, user=7.51)]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77184, expert=7.3, user=6.5)] [include(틀:평가/CGV, code=77229, egg=없음)] [include(틀:평가/MRQE, code=camille-claudel-m100108440, critic=69, user=없음)] > Camille Claudel, 1915 isn't an easy watch, but Juliette Binoche's excellent performance makes it worth the effort. >---- > '''<카미유 클로델 1915>는 쉬이 볼 수 있는 가벼운 영화는 아니지만, 쥘리에트 비노슈의 훌륭한 연기가 이 영화를 보려는 노력을 가치 있게 만들어준다.''' > - [[로튼 토마토]] 총평 > '''얼굴에 새긴 마음의 풍랑''' >---- > - [[박평식]] '''(★★★)''' > '''뒤몽과 비노쉬, 건조함과 열정의 만남''' >---- > - 이지현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74845|장문 리뷰]] > '''비노쉬의 주름에 포개진 클로델의 영혼''' >---- > - 이화정 '''(★★★☆)''' > '''까미유 끌로델-줄리엣 비노쉬, 절절하게 가슴속 깊이 다가온다!''' >---- > - 유지나 '''(★★★★)'''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660,355''' ||<:> '''(기준일자)''' ||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35,296''' ||<:> 미정 || == 수상 및 후보 이력 == * 제 63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후보 == 기타 == * 일부 배우들을 제외하고 영화에서 등장하는 정신병원과 의사들, 환자들은 모두 실제 병원이자 실제 의사, 환자들이라고 한다. == 관련 문서 == * [[카미유 클로델]] == 외부 링크 == ## 해당 작품과 관련 있는 외부 사이트의 링크를 기재하는 문단입니다. ## 아래 예시에 삽입된 주소와 문구를 연결을 원하는 사이트로 교체합니다. == 둘러보기 == ## 해당 작품과 관련된 둘러보기 틀을 배치하는 문단입니다. ## 최상단 둘러보기 틀은 최대 2개까지만 배치할 수 있으니 더 많은 둘러보기 틀을 넣길 원하면 본 문단에 배치하세요. [[분류:프랑스의 전기 영화]][[분류:프랑스의 드라마 영화]][[분류:2013년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