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구]][[분류:국가역사문화명성]][[분류:오아시스]][[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인도와 파키스탄과 중국 간의 분쟁 지역, rd1=카슈미르)] [include(틀: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행정구역)] ||||<#ac2935><:>{{{#yelloW {{{+3 카슈가르시 (신장 위구르 자치구)[br][[위구르어]]: قەشقەر[br](Qeshqer, Қәшқәр, 캐슈캐르)[br][[표준중국어]]: 喀什[br](Kāshí, 카스)[br][[영어]]: Kashgar}}}}}}|| ||<-3><:> [include(틀:지도, 장소=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슈가르시)] || || 소속 ||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 || 인구 || 506,640명 (2017, 카슈가르 시([[중국/행정구역#s-5|현급시]]) 인구)[br]4,499,158명 (2017, 카슈가르 지구 인구) || || 면적 || 555㎢ (시), 2,818㎢ (광역) || || 인구밀도 || 290명/㎢ (광역) || || 시간대 || UTC+8 (공식), UTC+6 (비공식) || [[파일:Id_Kah_Mosque.jpg|width=650]] 중국 최대의 모스크인 이드 카 모스크. 사진에 보이는 것은 정문이며, 안으로 들어가면 정원과 본 건물이 있다. [[파일:Kashgar-minarete-d01.jpg|width=650]] 이드 카 모스크의 미나렛 [[파일:Apak_Hoja.jpg|width=650]] 17세기 위구르의 종교 지도자이자 정치 지도자였던 아팍 호자의 영묘. 17세기에 건립되었다. [[파일:Yusup_Khass_Hajip.jpg|width=650]] 11세기 위구르의 시인이자 정치인이며 철학자였던 유수프 하스 하지프의 [[영묘]]. [목차] == 개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China_Xinjiang_Kashgar.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Kashi_mcp.png]]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최서단에 위치한 도시(현급시). 2010년 카슈가르 시 행정구역 내 인구는 50만 6,640명이었다. 카슈가르 도시권 광역 인구는 2010년 기준 82만 명, 카슈가르 시가 속한 카슈가르 지구의 총 인구는 2017년 기준 약 449만 명이다. == 기후 == 해발고도가 1,270m로 꽤 높은 편이고, 거기에다 대륙 한가운데라 연교차가 크고 건조한 기후를 띄고 있다. 1월 평균기온은 -5℃, 7월 평균기온은 25.4℃이며 연강수량은 64mm에 불과하다. 여름 강수량이 적은 걸 빼면 의외로 한국 중부지방과 연교차나 겨울 날씨가 비슷하다.[* 바꿔서 말하면 한국의 겨울이 사막 수준으로 건조하다는 소리다.] 건조한 지역이지만 [[오아시스]]가 있어서 예로부터 도시가 발달했다. == 역사 == 고대 중국에서는 이 도시를 소륵(疏勒)이라고 불렀으며, [[흉노]]와 [[쿠샨 왕조]] 등의 지배를 거쳤다. 고대 말부터 중세까지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의 대주교구가 있었을 정도로 기독교가 번영했던 지역으로 이 지역의 상인들에 의해 몇몇 몽골 부족들이 기독교를 받아들였다. 물론 기독교만 번영했던 것은 아니고 불교도 융성했다. 이곳을 방문한 [[현장]]이 남긴 기록에 따르면 절이 많고 불자도 많지만, 대부분 교리에 대한 이론을 연구하지 않고 경전 문구를 암송하는 수준에 그쳤다고 한다. 현장은 이 지역 주민들이 [[벽안]]이라는 내용도 남겼다. 중세 때 들어와서 [[티베트]]의 지배를 번갈아 받다가 [[카라한 칸국]]에 의해 [[튀르크]]화(化)되었으며, 이 지역 출신 언어학자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에 의해 최초로 [[튀르크어족]] 사전이 출판되었다. 18세기에 [[청나라]]가 이 지역을 손에 넣었으나 카슈가르 지역에서는 19세기 동안 [[코칸트 칸국]]의 침공 등으로 전란이 끊이지 않았고, 1930년대 초반에는 위구르인들이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을 선포하기도 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동튀르키스탄 지역이 중국에 병합되자 1952년 카슈가르 시가 설치되었다. 2020년에 직할시 승격 떡밥이 나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797346?sid=104|#]] == 민족 구성 == 주민들의 약 90%는 [[위구르]]인이며, [[한족]] 인구 비율은 낮은 편이다. 그러다 보니 [[이슬람]] 문화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지역이라고 한다. 중국 최대의 모스크인 이드카 모스크(ھېيتگاھ مەسچىتى, Hëytgah Meschiti)가 카슈가르 시에 위치해 있다. 카슈가르 지구 전체의 인구비는 [[http://www.xjtj.gov.cn/sjcx/tjnj_3415/2016xjtjnj/rkjy/201707/t20170714_539450.html|2015년 기준 위구르인이 약 92%, 한족이 약 7% 정도다]]. [[http://www.xjtj.gov.cn/sjcx/tjnj_3415/2016xjtjnj/rkjy/201707/t20170714_539450.html|카슈가르 시는 2015년 기준 위구르인 85%, 한족 14%이다.]] == 구경거리 == 위구르인들의 사실상 중심지로서 한족 중심의 다른 중국 도시와는 다른 정취를 풍긴다. [[1442년]] 완공되어 현 중국 최대의 모스크인 이드 카 모스크가 구시가지 한복판에 자리하고 있다. 시내의 상당히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구시가지는 흙벽돌로 짓고 흙을 바른 가옥이나 상점들이 많은데, 큰길은 [[전주한옥마을]]과 같이 근래에 의도적으로 조성한 느낌이 강하나 한국 기준에선 상당히 이국적인 풍경이다. 작은 골목으로 들어가면 조금 더 옛날 느낌이 난다. 구시가지의 동쪽에는 복원된 카슈가르 성벽이 남아 있다. 성벽 너머에는 민거(民居)라고 불리는 전통가옥이 몰려 있는 언덕이 있는데, 2017년 말 기준 붕괴 위험으로 외부인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카슈가르 [[바자르]]는 중앙아시아 일대에서도 손꼽히게 큰 바자르로 꼽힌다. 식료품부터 전자제품까지 다양한 물품을 팔고 있다. 역사 유적으로는 구시가지 바로 남쪽에 위치한 11세기의 위구르의 성자 유수프 하스 하지프의 영묘가 있다. 이 영묘는 11세기에 처음 건립되었다가 14세기에 다시 지어졌고 이후 여러 차례의 개축을 거쳐 1980년을 마지막으로 현재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16세기 위구르의 통치자 아팍 호자의 묘는 구시가지에서 조금 떨어져 있다. 영묘 앞에는 모스크가 있고, 영묘 안에는 아팍 호자와 가족들이 안치되어 있다. 카슈가르 시 밖으로 벗어나 사막 방향으로 가면 고대 불교 유적지도 조금 있다. == 사건사고 == 시진핑 체제 수립 이후 기존보다 [[소수민족]] 민중운동에 대한 정책이 더욱 강화되었는데, 동튀르키스탄 이슬람 운동(ETIM)[* [[https://wspaper.org/article/3775|이들은 동튀르키스탄에 주권 국가를 건설한다는 메세지를 걸고 활동하고 있다.]] 사실 90년대 이전까지는 [[무슬림]]의 [[이슬람교|종교]], 사상적 교육 욕구를 충족시키고, 기본권리를 되찾기 위해 여러 방면으로 활동하는 것이라면서 테러는 주로 중국정부 시설, 공안 등을 대상으로 해 민간인 대상으로 테러를 일으키지 않았지만 90년대 말부터 위구르 사회의 혼란이 점차 가중화되면서 [[범튀르크주의]] 확산, [[이슬람 근본주의]] 상의 성전, 9.11 테러 영향 등의 영향을 받아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 세력들과 연계하면서 민간인을 대상으로 테러도 벌이는 단체로 변모했다.]이 [[탈레반]] 등과 연계되어 테러활동을 벌인 것 [[https://www.yna.co.kr/view/AKR20160719144500009|#]] 을 빌미로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카자흐 및 위구르 무슬림들을 탄압하고 민중운동을 테러혐의와 엮어 [[연좌제]] 성격의 종교적, 정치적, 사회적 탄압정책을 취하고 있으며, 이들이 신장 국경이나 [[윈난]] 국경을 통해 카자흐스탄, [[태국]] 등의 외국으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압력까지 가하는 초강경 정책을 취하고 있다. 시진핑은 당국에 의해 분리 운동 테러분자들이라는 혐의를 받는 사람들에 대해 [[왜구]]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단호한 대처를 요구했다.[[http://news1.kr/articles/1654379|#]][* 여기에는 위구르 독립 운동에 호의적인 세력들 중 실제로도 일본 극우들이 많다는 점을 저격한 것으로 보인다.] 2014년 6월 25일에는 테러죄로 113명에게 중형을 선고하였다. 문제는 69건 가운데 4건에 대해서만 판결 내용을 전하고 나머지 65건에 대해선 구체적인 혐의 내용을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 그 때문에 조금이라도 혐의가 있으면 무차별적으로 체포하고 있다는 [[의심|강력한 의심]]을 사고 있다. 또 중국 당국은 신장에서 테러리스트 12,995명을 검거, 폭발물 2,052건을 압수, 불법 종교활동 4,858건을 한 혐의로 3만 645명을 처벌했고, 불법적인 종교자료 34만 5,299건을 몰수했다고 주장하나 해외 인권운동가들은 이를 조작된 통계로서 위구르 탄압의 구실이라며 반발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031817134584976|#]] [youtube(v7AYyUqrMuQ)][* 2019년 다큐멘터리 전문 채널 VICE News에서 신장 위구르 자치구를 비밀취재를 한 다큐가 공개됐는데,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다. 이를 취재한 언론인은 중국 정부로부터 위협을 느끼고 신장 위구르의 주요 도시 [[카슈가르]]를 떠나야 했다.] 2016년부터 중국 당국은 신장성 곳곳에 편민경무참(便民警务站)이라는 임시파출소를 대거 설치하였고, 당서기 천치안궈(陈全国)는 불필요한 무장경찰 병력을 대신하여 그들이 훈련하던 기존의 수련원과 위구르 향촌사회인 마할라의 해체 따라 폐교된 학교들을 수용소로 개조하고, 압두카디르 잘랄리딘이나 페르하트 베흐티와 같은 유명 인사들은 물론 평범한 청년 카자흐, 위구르인들까지 무차별적으로 수용시키기 시작했다. [[https://www.rfa.org/english/news/uyghur/scholar-04252018140407.html|#1]], [[https://www.rfa.org/english/news/uyghur/scholar-12102018170131.html|#2]] 수용인원에 대해서는 89만 명부터 100만 명설, 200만 명설까지 나돌고 있으나 정확한 정보는 알 수 없다. [[https://blog.naver.com/riohavana/221308758724|#1]],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2936150|#2]] 수감자들은 수용소에는 대체적으로 세 종류의 수감자가 있다고 증언했는데, 첫번째 범주는 종교와 관련된 사람들, 두번째는 해외에 방문하거나, 오랄만(Оралман, 歸國哈僑)[* 오랄만은 [[소련 해체]] 이후 [[카자흐스탄]]이 [[러시아]], [[중국]], [[우즈베키스탄]] 등지의 카자흐인들에게 자국의 시민권을 부여하는 정책에 따라 카자흐스탄 시민권을 부여받은 사람들로, 신장을 비롯한 중앙아시아 각지의 경제적, 사회정치적, 생태적 등의 요인이 카작 민족주의와 복합적으로 작용함으로써,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다른 정체성에 동화될 수 없게 된 현상으로 발생한 일종의 디아스포라이다.[* Astrid Cenry(2010), [[https://case.edu/affil/tibet/tibetanNomads/documents/Cerny_on_Kazakhs_in_China_Published.pdf|"Going where the grass is greener: China Kazakhs and the Oralman immigration policy in Kazakhstan"]], 《Pastoralism》1 (2).] 소련 해체 이래 신장 카자흐인 110만 명 가운데 20만여 명이 오랄만이 된 것으로 추산된다. 2016년 무렵부터 신장에 대한 강경통치 정책을 고수하는 중국 당국은 일부 오랄만들이 카자흐스탄 시민권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중국 국적을 포기하는 문서를 작성하지 않았다는 명분 등으로 생업 등을 이유로 신장에 방문한 오랄만들을 수용소에 가두고 있다. 2017~18년부터 카자흐스탄 외무부 등이 해당 문제에 개입하여 중국과 협상을 진행했다. [[https://www.rferl.org/a/qishloq-ovozi-kazakhstan-confronts-china-over-disappearances/29266456.html|#]] ]인 경우, 세 번째는 민중운동에 동참하거나 사회 질서를 어지럽힌 사람들이라고 한다. 또한 신장 내 [[모스크]] 31곳과 신전 2곳이 파괴되었는데 중국에 의한 위구르 무슬림 종교 정책으로 추정되고 있다. [[https://www.google.com/amp/m.chosun.com/news/article.amp.html%3fsname=news&contid=2019050702275|#1]], [[https://ko.bitterwinter.org/disappearing-mosques-of-xinjiang/|#2]] == 기타 == [[에일리언 아포칼립스]]인 [[마브러브 시리즈]]에서는 [[BETA]]족의 지구 침공 총본산이 되어버렸다. [[마르코 폴로의 발자취]]에서는 여행 가능한 소도시 중 하나로 등장하며, 옵션 룰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 이곳에서 얻는 보너스 타일은 매 라운드 금괴/비단/후추 중 서로 다른 상품 두 개를 택해 얻는 이점을 제공한다. [[왕오천축국전]]에서 등장하는 지역 중 하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구당서)] [include(틀:신당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