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 [목차] == 설명 == [[유희왕]]의 마법 카드. === 원작 === [[파일:YellowLusterShield-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카오스 실드'''|| || 일어판 명칭 ||'''カオス・シールド'''|| || 영어판 명칭 ||'''Yellow Luster Shield'''|| ||<-2> 지속 마법 || ||<-2>방어 실드를 발생시켜 수비력을 올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플레이어 킬러#어둠의 플레이어 킬러|어둠의 플레이어 킬러]]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 원작에서는 이와 효과가 상당히 달라서,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모든 몬스터들의 수비력을 600 포인트 올리는 대신,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를 이동할 수 없도록 만드는 효과였다. 거기다 카드 텍스트에 '방어 실드를 발동시켜 수비력을 올린다'라고만 되어 있고 유우기가 필드 전체에 발동시키면 하나에 발동시킬 때보다 효력이 줄어든다고 하는 걸로 봐선, 원한다면 몬스터 하나의 수비력만 더 높은 수치로 올리는 것도 가능한 듯 하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그의 패인이 되었는데, [[어둠의 유우기]]가 [[중강갑 거북]]으로 [[용기사 가이아]]를 사출시켜 [[암흑의 성]]의 부유 고리를 파괴, 암흑의 성이 떨어져 내릴 때 몬스터들에게 피하라고 명령하지만, 이 카드의 효과 때문에 '''이동하지 못하고 깔리는 바람에''' 죄다 파괴되고 대미지를 입어 패배한다. OCG화되기 이전에 출시된 [[플레이스테이션 2]] 게임인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수비력을 900씩이나 올려주는 카드로 등장했으며 OCG의 일러스트가 먼저 사용되었다. === [[유희왕/OCG|OCG]]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YellowLusterShield-EE2-JP-C.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카오스 실드'''|| || 일어판 명칭 ||'''カオス・シールド'''|| || 영어판 명칭 ||'''Yellow Luster Shield'''|| ||<-2> 지속 마법 || ||<-2>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모든 몬스터의 수비력은 300 포인트 올린다.|| >'''[[유희왕 듀얼링크스]] 텍스트'''[br]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의 수비력은 300 포인트 올린다.[* 自分フィールド上のモンスターの守備力は300ポイントアップする。] 자신 몬스터의 수비력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진 지속 마법. 상대 몬스터도 포함이긴 하지만 수비력을 500 올리면서도 [[테라포밍(유희왕)|테라포밍]]으로 서치도 가능하고 마함존을 차지하지 않을 수 있는 필드 마법인 [[성역의 노랫소리]] 등 상위호환 카드는 넘쳐난다. 더군다나 이 카드는 이것보다 더 먼저 등장한 카드이다. 물론 상대 몬스터의 수비력도 올라가는 것이 신경쓰인다면 이쪽이 더 낫긴하다.[* [[스텀블링]], [[악몽의 미궁]] 같이 표시형식 변경 카드를 다용하는 덱에서 보면 자신이 공세에 들어갈때 상대 몬스터도 수비력을 올려주는 성역의 노랫소리는 달가운 카드가 아니다.] 그렇다해도 현 환경에선 저 성역의 노랫소리조차도 구리기에 [[유희왕 익스퍼트 3]], [[유희왕 익스퍼트 2006]] 같은 옛날 게임에서나 활용가능하다. 듀얼 링크스에선 고양이귀족[* 상대 턴에만 이 카드와 배틀하는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을 200으로 만드는 카드다.]과 조합한 락 덱에서 활용되기도 했다. 물론, 현재는 도태된 상태. == 관련 카드 == === [[성역의 노랫소리]]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오스 실드, version=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