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만화가]][[분류:일본 로맨스 만화가]][[분류:1973년 출생]][[분류:아이치현 출신 인물]] [목차] == 개요 == 川村美香, [[일본]]의 만화가이다. [[1973년]] [[8월 5일]]생. 대표작으로는 [[다!다!다!]]가 있다.[* 국내명은 우리 아기는 외계인] [[아이치현]] 출신으로 1992년 [[코단샤]] 나카요시 딜럭스에 <여름 축제의 잠자는 공주>라는 작품으로 데뷔했고, 그 후에도 [[나카요시]]에서 꾸준히 작품을 연재했다. == 초창기 활동 == 초창기에는 유도소녀 같은 역동적인 소재를 많이 활용하며[* 이 작가의 특기가 유도다. 학창시절때 유도를 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비교적 높은 연령층에도 인기를 끌었다. 그림체는 [[다!다!다!]]와 큰차이는 없지만 등장인물들의 연령대는 높은 편. 한국에서는 이 초창기 작품들이 정발되지는 못했고, [[해적판]]으로 작품과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로컬라이징 되어 나온 적이 있다. [[파일:attachment/카와무라 미카/263psa.jpg|width=480]] 나카요시 1996년 11월호 표지 [[파일:attachment/카와무라 미카/264psa.jpg|width=640]] 전부 합쳐 하나! 1회(나카요시 1996년 11월호) 초창기 주요 작품 * 복숭아에 키스!(1994) * 체포해봐!(1995) * 전부 합쳐 하나!(1996)[* 어떤 해적판은 [[다!다!다!]] 초반부분과 묶어서 나온 경우도 있다.] == [[다!다!다!]] == 1998년부터 연재를 시작한 [[다!다!다!]]는 당시 [[나카요시]] 표지모델로 그때 잡지 내에서 가장 크게 히트를 치던 [[카드캡터 사쿠라]] 다음으로 많이 나왔다.[*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두작품의 연재시기가 겹친다] 그 무렵 NHK에서는 [[나카요시]] 작품을 꾸준히 애니화하고 있었고,[* 이때 NHK BS2 화요일 저녁 6시대에 4작품 연속 나카요시 작품을 편성했다. [[다!다!다!]]는 4작품 중 마지막 작품이다. 한국에서도 4작품 전부 방영되었다.] 애니메이션 [[카드캡터 사쿠라]]를 뒤이을 후속작으로 [[다!다!다!]]가 낙점된다. 애니메이션 [[다!다!다!]]는 히트를 치는데 성공했고, 원작의 인기도 덩달아 오르는 성공적인 애니화가 되었다. 특히 애니메이션 안에서 미친존재감을 보여주는 오너캐 [[야마무라 미캉]] 덕분에 오너캐의 인지도는 크게 높아졌다. 국외에도 정식으로 이름을 알린 첫번째 작품이다.[* [[신 다!다!다!]]는 그냥 [[다!다!다!]] 시리즈로 묶어서 보는 편이다.] [[파일:attachment/카와무라 미카/dfss.jpg|width=480]] 나카요시 2002년 3월호 표지[* 다!다!다! 최종회가 실렸다.] == 후반기 활동 == [[신 다!다!다!]]를 곧이어 연재했다. 타겟 연령층이 갈수록 낮아지는 느낌이 들 정도로 등장인물의 연령대도 낮아지고, 역동적인 느낌보다는 귀여운 느낌을 강조하는 스타일을 고집했다. 그림체 또한 초창기하고는 많이 달라졌다. 이 부분을 지적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애초에 연재하고 있는 [[나카요시]]가 초등학생~중학생이 주타겟인 잡지라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바꿔야 되는 문제라고 할 수는 없다. [[다!다!다!]] 인기의 영향으로 후반기 주요작품들은[* 단행본 2권 이상의 분량을 가진 작품] 국내 정발이 됐었다. 후반기 주요작품 * [[신 다!다!다!]](2002)[* 국내명은 신 우리 아기는 외계인] * 해피 아이스크림(2003) * 패닉X패닉(2004) 2006년 발표한 작품 이후로 뚜렷한 작품활동이 없는 상황이다. 2015년 앙닝소랑이라는 단편만화를 연재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단편이며 국내에는 아직 정발이 되지 않있다. == [[오너캐]] == [[오너캐]]로는 천사모양의 괴생물 삐끼삐끼 엔젤과 [[야마무라 미캉]]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