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중순양함, rd1=카운티급 중순양함)] [include(틀:현대전/영국 함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06d.png|width=100%]]}}} || || {{{#fff '''County-class''' destroyer}}} || [목차] == 개요 == 카운티급은 [[영국 해군]] 최초의 [[미사일]] [[구축함]]이다. == 제원 == ||<-3> {{{+1 '''{{{#fff 카운티급 구축함}}}'''}}}[br]{{{#fff ''County-class destroyer''}}} || ||<-2> '''이전급''' ||[[데어링급 구축함|데어링급]] || ||<-2> '''다음급''' ||[[82형 구축함|82형]] || ||<-2> '''표준배수량''' ||5,450톤 || ||<-2> '''만재배수량''' ||6,200톤 || ||<-2> '''전장''' ||160m || ||<-2> '''전폭''' ||16m || ||<-2> '''흘수''' ||6.4m || ||<-2> '''승조원''' ||471명 || ||<-2> '''최고 속력''' ||30노트 (약 56km/h) || ||<|4> '''동력''' || '''방식''' ||[[COSAG]] || || '''추진''' ||2축 [[프로펠러]] || ||<|2> '''기관''' ||밥콕 & 윌콕스제 [[증기 터빈]] 2기 (총 30,000SHP) || ||메트로빅 G6 [[가스터빈]] 4기 (총 30,000SHP) || ||<|6> '''무장''' || '''주포''' ||2연장 [[QF 4.5인치 함포|4.5인치 Mk.N6 함포]] 2문[* Batch-II의 1문은 [[엑조세]] MM38 [[대함 미사일]] 4발로 대체] || || '''부포''' ||[[오리콘 20mm 기관포]] 2문 || ||<|2> '''대잠''' ||3연장 [[어뢰]] 발사관 2기 || ||[[박격포]]식 [[폭뢰]] 발사대 림보 ?문 || ||<|2> '''대공''' ||GWS-1 / 2 발사대 1문 || ||GWS-22 발사대 2문 || ||<-2> '''탑재 헬기''' ||웨식스 HAS Mk.3 1기 || == 설명 == 이전의 데어링급은 구축함이라 하기에도 민망한 크기였다. [[다이도급 경순양함]]보다 더 큰[* 물론 배수량은 작다.] 개념의 구축함으로 설계됐다. 취소된 [[슈퍼 데어링 구축함|슈퍼 데어링]]의 새로운 범주로 보자는 의견도 있었다. 카운티급은 [[항모전단]]의 리더가 됐으며, [[수에즈]] 동쪽에선 직접 영해 근처까지 가 적국 군함 및 상선을 파괴하는 전통적인 [[순양함]] 역할도 맡았다. 연구와 검토 끝에 1957년 대형 미사일 순양함 건조를 포기하고, 구축함을 살짝 키우기로 결정했다. 방공 구축함을 목표로 설계돼 초기 대잠 무기는 Limbo [[박격포]]가 끝이었다.[* 그렇다고 대공 미사일이 빨리 장착된 것도 아니었다. 미사일 탑재 시기는 1958년 초반. 시슬러그의 경우 핵탄두를 탑재하려 했으나 취소됐다.] 거친 파도에선 안정성이 떨어졌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항공기나 잡을 정도로 시스템이 단순해 [[호주]] 수출이 취소됐다. 함생은 평균 16년밖에 안 됐다. 런던만 [[파키스탄]]에 판매해 좀 더 오래 운용됐고, 나머지 3척의 Batch I은 1980년 쯤 퇴역했다. Batch II는 [[칠레]]에 판매돼 23년(!) 더 운용됐으며, 모두 현대화가 진행됐다. === Batch-II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02d.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21d.png|width=100%]]}}} || || {{{#fff Batch-I의 D02 데본셔}}} || {{{#fff Batch-II의 D21 노퍽}}} || Type 965M 대공 경고 및 표적 표시 레이더를 장착한 4척에 근접 공격 탐지용 Type 992가 장착됐다. 기타 영국 군함이 표적을 탐지하면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당시 중요 [[항공모함]]이었던 [[일러스트리어스급 항공모함|일러스트리어스급]] 빅토리어스, [[센토어급 항공모함|센토어급]] 허미즈, [[오데이셔스급 항공모함|오데이셔스급]] 이글의 3D 처리 시스템 Type 984가 모두 제거돼 카운티급의 임무가 막중해졌다. 이후 여러 항공모함이 퇴역하자 엑조세 대함 미사일까지 탑재하게 됐다. 그래서 카운티급은 당시 최초이자 유일하게 미사일을 3가지나 탑재한 영국 군함이 됐다. == 목록 == || '''함번''' || '''함명''' || '''취역''' || '''비고''' || ||<-4> {{{#fff Batch-I}}} || || D02 || 데본셔[br](Devonshire) || 1962년 11월 15일 || 1984년 7월 17일 표적함으로 침몰 || || D06 || [[햄프셔]][br](Hampshire) || 1963년 3월 15일 || 1979년 ?월 ?일 스크랩 || || D12 || [[켄트주|켄트]][br](Kent) || 1963년 8월 15일 || 1998년 ?월 ?일 스크랩 || || D16 || [[런던]][br](London) || 1963년 11월 4일 || [[파키스탄 해군]]이 1993년 ?월 ?일까지 바부르 (Babur)로 운용 후 스크랩 || ||<-4> {{{#fff Batch-II}}} || || D18 || 앤트림[br](Antrim) || 1970년 7월 14일 || [[칠레 해군]]이 2006년 12월 7일까지 DLH-12 알미란테 코크란 (Almirante Cochrane)으로 운용 후 스크랩 || || D19 || 글래모건[br](Glamorgan) || 1966년 6월 21일 || 칠레 해군이 2003년 12월 12일까지 DLG-14 알미란테 라토레 (Almirante Latorre)로 운용 후 견인 도중 침몰 || || D20 || 파이프[br](Fife) || 1966년 6월 21일 || 칠레 해군이 2003년 12월 12일까지 DLH-15 블랑코 엔칼라다 (Blanco Encalada)로 운용 후 스크랩 || || D21 || [[노퍽주|노퍽]][br](Norfolk) || 1970년 3월 7일 || 칠레 해군이 2006년 8월 11일까지 DLH-11 카피탄 프랏 (Capitán Prat)으로 운용 후 스크랩 ||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칠레 함선)] [include(틀:현대전/파키스탄 함선)] [include(틀:해상병기 둘러보기)] [[분류:구축함]][[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영국군/군함]][[분류:파키스탄군/군함]][[분류:1962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