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KaiserGlider-JP-Manga-DM-color.png]] || 한글판 명칭 ||<-4>'''카이저 글라이더'''|| || 일어판 명칭 ||<-4>'''カイザー・グライダー'''|| || 영어판 명칭 ||<-4>'''Kaiser Glid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빛 || 드래곤족 || 2400 || 2200 || 원작에선 [[카이바 세토]]가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로 들어가면서 덱에 채용했지만 언급만 되고 소환된 적은 없는 것으로 나온다. [[구울즈]]의 [[레어 헌터]] 빛의 가면&어둠의 가면과의 듀얼에선 '''"이미 내 패엔 별 6개의 강력한 몬스터가 있다."'''라 말하는 부분이 있는데, 원작에선 그 몬스터가 바로 이 카드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도 나온 대사지만 이때 사소한 오류가 생겼는데, 애니메이션 연출로는 당시 카이바의 패엔 [[어둠의 어릿광대|어둠의 어릿광대 사기]], [[죽은 자의 소생]], [[미노타우로스(유희왕)|미노타우로스]]뿐이었다.[* 그래선지 미국판에선 어릿광대가 [[용살자]]로 바뀌어 나왔다.] [[제물봉인 가면]]으로 무용지물이 된 상태였다가 그대로 유우기의 [[카드 파괴]]에 의해 버려진 것으로 보이며, [[이시즈 이슈타르]]와의 듀얼에서도 [[무덤으로의 동반]]에 의해 버려지는 카드로 언급된다. 에니메이션에도 카드 이름은 언급되는데 정작 카드는 등장하지 않았다. 이렇게 한번도 소환된 적 없는 카드임에도 불구하고 원작 일러스트와 실제 카드 일러스트가 동일하게 나왔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오리지널 에피소드인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는 [[다츠]]와의 듀얼에서 [[침묵의 죽은자]]의 효과로 부활한 [[블레이드 나이트]]를 제물로 바쳐 직접 등장. [[트와이라이트존 드래곤]]과 효과를 활용해 상대 몬스터와 같은 공격력이 되는 미러 나이트들을 파괴했으나, [[다츠]]가 발동한 쌍궁의 켄타우로스의 효과로 파괴되고 카이바가 데미지를 입었다. 공격명은 '골든 버스트(ゴールデン・バースト / Golden Burst)'.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마루후지 료]]의 덱에 들어있는 카드로도 등장. 사이버 카드와는 별 상관이 없어도 기계족이거나 기계처럼 생긴 카드들이 많이 섞여있었다. 초기 빛 속성의 사이버류 카드를 사용하는 료의 덱에서는 옥에 티라 볼 수 있지만 사이버 다크가 추가된 뒤로는 그런대로 용도가 생겼을 듯.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カイザー・グライダ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카이저 글라이더, 일어판 명칭=カイザー・グライダー, 영어판 명칭=Kaiser Glider, 레벨=6,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400, 수비력=2200, 효과1=①: 이 카드는 같은 공격력의 몬스터와의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몬스터를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①의 효과는 [[기사도정신]]의 효과처럼 같은 공격력의 몬스터와의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 한때 공격력 2400은 표준 공격력의 지표 중 하나였기에 [[네프티스의 봉황신]],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 [[제왕(유희왕)|제왕]] 등이 최전선에서 활약하던 시절엔 이들을 일방적으로 전투 파괴시킬 수 있었다. 현재는 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을 통해 공격력이 2500을 넘는 몬스터를 가볍게 꺼낼 수 있으니 활약할 기회는 적다. [[방어막(유희왕)|성스러운 갑옷 -거울의 메일-]]이나 [[극성보#극성보 브리징가 멘|극성보 브리징가 멘]]을 사용하면 강화와 동시에 전투 파괴시킬 수 있으니 활용하고 싶다면 이들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같은 공격력의 몬스터를 공격하여 일방적으로 전투 파괴시키는 것이 주 사용법이지만, 자신이 수비 표시라도 유효하다. ②의 효과는 자신이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바운스를 실행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발동 조건은 전투 파괴, 카드의 효과에 의한 파괴든 상관없이 대응하며, 파괴되는 장소는 필드 / 덱 / 패를 따지지 않는다. 상대의 추격을 따돌릴 목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발동 조건이 느슨하여 콤보로 활용해볼 수도 있다. 장착 카드 상태에서도 발동할 수 있어 [[사이버 다크 드래곤]]이나 [[인잭터#인잭터 엑사비틀|인잭터 엑사비틀]]과 같이 사용하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하지만 강제 효과라서 상대 몬스터가 없을 경우엔 자신 몬스터를 바운스해야한다는 점에 주의. 등장 후 잠시동안 드래곤족 덱의 상급 어태커로서 애용되었지만, [[호루스의 흑염룡#호루스의 흑염룡 LV6|호루스의 흑염룡 LV6]], [[암드 드래곤 LV5]]의 등장으로 서서히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현재는 내성과 공격력을 자랑하는 [[스트롱 윈드 드래곤]]이나 같은 빛 속성에 자체적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라이트펄서 드래곤]] 등도 존재한다. 채용하려면 드래곤족 덱보다는 상기같은 카드를 사용한 전용덱이 더 나을 것이다. 상성이 좋은 카드는 적지 않으니 이들을 축으로 삼은 덱도 만들 수 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ガーディアンの力 || 304-051 || [[시크릿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1]] || EE1-JP213 || [[울트라 레어]] || 일본 || 절판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デュエリストエントリーデッキVS]] || VS15-JPS04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海馬瀬人-]] || SDKS-JP010 || [[노멀]] || 일본 || || || 遊戯王OCG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 KC01-JP024 || [[울트라 레어]] || 일본 || 절판 || || [[암흑의 위협|Dark Crisis]] || DCR-051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 Dark Revelation Volume 1]] || DR1-EN213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Kaiba]] || DPKB-EN015 || [[레어]] || 미국 || ||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Saga of Blue-Eyes White Dragon Structure Deck]] || SDBE-EN009 || [[노멀]] || 미국 ||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Saber Force Starter Deck]] || YS15-ENF04 || [[노멀]] || 미국 || 절판 ||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Structure Deck: Seto Kaiba]] || SDKS-EN010 || [[노멀]] || 미국 || || || Speed Duel: Battle City Box || BCB-EN096 || [[노멀]] || 미국 || || || [[암흑의 위협]] || DCR-KR05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1]] || HGP1-KR213 || [[울트라 레어]] || 한국 || 절판 ||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 세이버 포스]] || VS15-KRS04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스트럭처 덱 - 카이바 -]] || SDKS-KR010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네오 카이저 글라이더 === [[파일:20TH-JPC05.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네오 카이저 글라이더, 일어판 명칭=ネオ・カイザー・グライダー, 영어판 명칭=Neo Kaiser Glider, 레벨=6,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400, 수비력=2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이 카드와 몬스터 1장을 버리고\,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500 내린다.)] 자신을 포함하는 몬스터 2장을 패에서 버리고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 1장을 소생시키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상대 몬스터 전부를 약체화시키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상급 효과 몬스터. 기본적으로는 ①의 효과로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를 1장 소생시키고, 추가로 ②의 효과로 상대 몬스터를 약화시키는 흐름으로 가게 된다. 하지만 ①의 효과는 자신을 포함하여 2장의 패 코스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단순히 사용하면 손해가 되기 십상이다. 간단히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를 소생시키고 싶다면 이 카드 말고도 대체 수단은 얼마든지 있으며, 특히 [[은룡의 굉포]]는 속공 마법이라 쓰기도 간편하다. ②의 전체 약체화 효과도 있지만, 턴 종료시까지밖에 지속되지 않으므로 여러 장 공격할 수 있도록 준비하지 않는 이상 영향은 적다. 일단 [[푸른 눈의 백룡]]을 소생시킬 수 있다면 약체화 덕분에 공격력 3500까지의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할 수 있게 된다. 묘지에 두고 싶은 몬스터를 능동적으로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설의 백석]] 등을 코스트로 삼으면 서치 효과를 통해 패 보충도 가능해진다. 또한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가 이미 묘지에 있을 필요가 있지만, 패 코스트로 사용한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를 소생시킬 수도 있으니 간접적이지만 패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초재생능력(유희왕)|초재생능력]]과 상성이 좋으며, 드래곤족을 패 코스트로 사용하면 자신을 포함해서 2장의 드로우가 확정되니 손해를 메울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어디서 묘지로 보내진 경우라도 발동한다. 따라서 [[용의 영묘]] 등으로 덱에서 직접 묘지로 보내져도 전투를 서포트할 수 있게 된다. 20주년 기념 팩에 등장한 카이저 글라이더의 리메이크 몬스터로, 카이저 글라이더와 능력치는 같지만 효과는 물론, 일러스트도 기존의 이미지를 거의 찾아볼 수 없는,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에 가까운 모습이 됐다. 자신을 묘지에 버려서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효과,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낮춘다는 효과는 원작에서 카이저 글라이더가 첫 등장한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에서 [[어둠의 유우기]]와 [[카이바 세토]]가 [[레어 헌터|빛의 가면&어둠의 가면]]과 태그 듀얼을 했을 때 나온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카이저 글라이더를 묘지에 버린 건 카이바의 [[푸른 눈의 백룡]]을 버리게 한 [[카드 파괴]], 그 뒤 콤보로서 푸른 눈의 백룡을 되살린 [[죽은 자의 소생]], 묘지로 보내지면 적 몬스터의 공격력을 내리는 효과는 [[암흑 마족 길퍼 데몬]]에서 따왔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 || 20TH-JPC05 || [[시크릿 레어]][br][[20th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레전드 컬렉션]] || LEC1-KR005 || [[시크릿 레어]][br][[시크릿 레어#엑스트라 시크릿 레어|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2019 Gold Sarcophagus Tin || TN19-EN005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br]절판 || === 카이저 글라이더-골든 버스트 === [[파일:カイザー・グライダー-ゴールデン・バース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카이저 글라이더-골든 버스트, 일어판 명칭=カイザー・グライダー-ゴールデン・バースト, 영어판 명칭=Kaiser Glider - Golden Burst, 레벨=6,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400, 수비력=2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그 몬스터의 공격력과 같아진다.)] 카이저 글라이더의 공격기술 명을 따와서 만든 [[필살기 카드]]. 원작에서 제물봉인 가면으로 인해 패에만 썩혀 있던 것 때문인지 어느 타이밍에든 튀어나올 수 있게 바뀌었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하는 효과. 레벨 6/빛 속성/드래곤족/릴리스하고 특수 소환이라는 조합 상 [[성각]]과의 궁합이 좋다. 아툼스 등 랭크 6 엑시즈 소환은 물론 튜너를 얹어 레벨 7/8/12 싱크로도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소환하면 공격력을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의 공격력과 같아지는 효과. 다만, 원본과 달리 이쪽은 같은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와의 전투에서 파괴되지 않는 효과가 없다. 일러스트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의 [[어둠의 유우기]]&[[카이바 세토]] vs [[다츠]] 전에서 미러 나이트 쿠자크 마이를 공격하던 카이저 글라이더의 모습과 유사하다. ②의 효과도 원작의 미러나이트 토큰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기타사항''' || || LEGENDARY MONSTERS PACK || VP21-JP002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7]] || PP17-KR026 || [[노멀]][br][[패러렐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Legendary Duelists: Season 3 || LDS3-EN136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