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철도 정보]] [[http://www.allaboutjapantrains.com/uploads/1/3/0/8/13086271/3643240_orig.jpg]] 특급 카이지로 운행되는 [[E257계 전동차]] [목차] == 개요 == [[츄오 본선]]의 [[신주쿠역]]과 [[코후역]]을 잇는 [[JR 히가시니혼]]의 특급 열차. 동 구간에 달리는 [[아즈사(열차)|아즈사]]가 속달형이라면, 이 열차는 비교적 근거리를 달리는 로컬 특급 열차이다. 1961년 10월에 설정된 신주쿠 ~ 코후간 준급(準急) 카이지로 운전을 시작하여, 1965년 10월에 급행 열차로 승격됐다가 1986년에 폐지되었다. 그 후 1988년에 특급 [[아즈사(열차)|아즈사]]의 코후역 착발 열차를 카이지로 분리하며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열차 이름의 유래는 [[도카이도]](東海道)에서 분기되어 코후 분지를 이어주는 도로인 카이지(甲斐路)에서. == 운행 구간 및 정차역 == [[파일:2016051411.png]] ▲ 특급 카이지의 운행 구간 기본적으로 [[츄오 본선]]의 [[신주쿠역]]과 [[코후역]] 사이를 잇는다. 일부 열차는 [[도쿄역|도쿄]]발로 운행되며, 출퇴근 시간 한정으로 코후 다음 역인 [[류오역]]발착으로 운행되는 열차도 있다. [[도쿄역]]은 1면 2선 두단식 승강장이라는 역 구조상 특급 열차까지 전부 받아내기 벅차기 때문에 일부 열차만 운행하며, 류오역은 출퇴근 이용객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코후역 바로 전에 있어 모든 특급 열차가 통과하는 역이기에, 출퇴근 시간에 한해 정차하는 것. [[ITX-청춘]]열차가 [[사릉역]], [[퇴계원역]], [[마석역]] 등에 정차하는 것과 비슷한 이치. [[아즈사(열차)|아즈사]]의 근거리 백업인만큼 아즈사보다 정차역이 많이 설정되어있다. [[신주쿠역]] - [[타치카와역]] - [[하치오지역]] - [[오츠키역]] - [[엔잔역]] - [[야마나시시역]] - [[이사와온천역]] - [[코후역]]에 정차하며, 일부 열차는 [[요츠야역]], [[미타카역]], [[우에노하라역]]에도 정차한다. == 운행 열차 == * [[E257계 전동차]] 정규 열차는 모두 E257계로 운행한다. 115호, 124호는 부속 편성 2량을 더 달아 11량 편성이며, 나머지는 9량 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다. 일부 임시 열차는 [[183계 전동차]]나 [[189계 전동차]]가 투입되는 경우도 있다. 2016년 이후부터 신형차량인 [[E353계 전동차]]가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 임시열차 == === 특급 하마카이지 === 1996년 4월 27일부터 일부 주말에 운행되기 시작한 임시열차로, [[요코하마역]]과 [[마츠모토역]]을 잇는다. [[요코하마선]]내 정차역은 [[신요코하마역]], [[마치다역]], [[하시모토역]]. [[히가시카나가와역]]은 운전정차. [[요코하마역]]에서 [[하치오지역]]까지는 [[요코하마선]] 경유. [[185계 전동차]] 6량 편성으로 운행한다. 2013년 6월까지는 그린샤가 1량 병결되어 7량 편성이었지만 13년 7월 6일부로 그린샤가 병결되지 않게 되었다. [[케이힌토호쿠선]]을 경유해야하는 사정상 디지털 ATC가 탑재된 한정 편성만 운행할 수 있다. === 특급 무사시노카이지 === 2014년 9월 27일에 첫 등장한 임시 열차. [[오미야역]]과 [[코후역]]을 잇는다. [[무사시노선]]을 경유하여 [[쿠니타치역]]에서 [[츄오 본선]]에 합류하여 [[아즈사(열차)|아즈사]] 처럼 운행하는 식. 한때 [[나리타 익스프레스]]로 운행하던 [[253계 전동차]] 1000번대 6량 편성으로 운행한다. [[분류 : 일본의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