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헌터×헌터/등장인물)]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51616.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34958.png|width=100%]]}}} || ||<-2> '''{{{#000 원작}}}''' || ||<-2><#999> '''{{{#000 {{{+1 카이토}}}[br]カイト / KITE}}}''' || ||<#999> '''{{{#000 종족}}}''' || [[인간]] → [[키메라 앤트|스포일러]] || ||<#999> '''{{{#000 출신지}}}''' || 불명[* 출신지는 카이토 자신도 알지 못하며, 진을 만나지 않았으면 슬럼가에서 죽었을 거라 말한다. 리메이크 애니 설정으로는 [[슬럼가]]에서 [[동물]]과 함께 지내던 카이토에게 어느 날 진이 찾아왔던 걸로 변경(?).] || ||<#999> '''{{{#000 성별}}}''' || [[남성]] → [[여성|스포일러]] || ||<#999> '''{{{#000 직업}}}''' || 생물 조사 [[헌터]] || ||<#999> '''{{{#000 넨 계통}}}''' || 구현화계 || ||<-2><#999> '''{{{#000 성우}}}''' || ||<#999>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나카하라 시게루]]^^(파일럿)^^ / [[키시 유지]]^^(구작)^^ / [[이케다 슈이치]][*스포일러 해당 캐스팅은 인간이었을 시절의 성우로, [[키메라 앤트]]로 재탄생된 뒤의 2011년판 성우는 [[사타케 우키]].]^^(리메이크)^^ || ||<#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표영재]] || ||<#999>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크리스토퍼 코리 스미스]] ||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식 능력치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공식 매뉴얼 패러미터''' || '''정신력''' || '''기술''' || '''신체능력''' || '''넨''' || '''기이함'''(기발함, 기교) || '''지능''' || || 매뉴얼 1(헌터 시험 편) || 3 || 4 || 4 || 3 || 2 || 4 || || 매뉴얼 5(키메라 앤트 편 1) || 4 || 4 || 4 || 4 || 3 || 4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헌터×헌터]]의 등장인물. == 애니메이션 이미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0258341.png|width=100%]]}}} || ||<-2> '''{{{#000 구작 애니메이션}}}''' || ||<-2><#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이토.jpg|width=100%]]}}} || ||<-2> '''{{{#000 리메이크 애니메이션}}}''' || == 특징 == 1권부터 등장해 [[곤 프릭스|곤]]이 [[야생동물]]에게 습격당할 뻔한 걸 구해준 헌터. 당시에는 [[무기]]로 [[검]]을 사용했었다. 훤칠한 키에 [[장발]], [[모자]]를 쓴 세련된 스타일의 복장으로 등장. 캐릭터 디자인의 모티브는 [[무민]]의 스너프킨이라고 한다. 곤의 아버지 [[진 프릭스]]의 [[제자]]. 진을 찾는 [[여행]] 중 고래섬에서 어린 시절의 곤과 만나서 아버지 진의 이야기를 해준다. 이 때 최종 시험인 진 찾기를 수행중이었다. [[시험]]을 클리어한 후, 한사람의 [[헌터]]로 인정받았다 생각하고 생물 조사 헌터로 활동하고 있다. 이후 카이토는 곤이 [[그리드 아일랜드]] [[클리어]]를 한 뒤에 다시 만나게 되는데, 진의 더블 헌터 [[라이센스]]를 전해준다. 참고로 [[2011년]]판 리메이크 애니에서는 극 초반에 고래섬에서 곤과 진에 대하여 [[대화]]를 나눈 설정이 사라졌다. 원작에선 그리드 아일랜드 편이 끝난 후 카이토와 만나 서로 상당히 반가워한 반면, 동시점인 리메이크 애니 76화에서는 다짜고짜 키르아와 곤에게 [[주먹]]을 날린다.[* 알고보니 키르아와 곤이 [[키메라 앤트]] 둥지에서 물러나게 하기 위한 행동이었다.] 그 뒤 이 상황에 기시감을 느낀 곤의 회상으로 고래섬에서의 첫 만남이 상당히 바뀐 채로 나온다. 일단 어미 여우곰에게서 곤을 구해준 후 쓸데 없는 [[살생]]을 했다며 곤을 때렸다는 건 동일하다. 그러나 이때는 별 다른 대화없이 그대로 헤어졌으며 후에 진을 만나 이 이야기를 하고 나서야 그때 그 아이가 진의 아들인 곤이라는 걸 알았다는 [[설정]]으로 변경되었다. 이래놓고 후에 애니에선 곤이 [[죄책감]]을 느끼며 카이토에게 맞을 때 '카이토에게 맞는 건 '''5년 만'''이라고 회상한다.[* 물론 원작에선 5년만이 맞으나 애니에선 키르아와 함께 한번 더 맞은 오리지널 설정이 추가되면서 이야기가 꼬여버렸다. 애니 설정상 '후'는 1년도 채 지나지 않은 때였다.]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 헌터 시험 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506_154820.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kv_000229855.png|width=100%]]}}} || || '''원작''' || '''구작 애니메이션''' || ||<-2> 작중 카이토의 첫 등장 || 곤과의 첫 만남이 이루어진다. 어미 여우곰한테 공격당할 뻔한 곤을 구해주고는, 왜 위험한 군생지에 들어왔냐며 곤한테 어퍼컷을 날리며 다그친다. 그리고 곤과 말을 트다가 곤이 자신의 스승인 [[진 프릭스]]의 아들이란 걸 알게 된다. 카이토와의 만남을 계기로 곤이 헌터가 되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83399346041.png|width=100%]]}}} || 즉 카이토는 곤에게 처음으로 헌터가 되고 싶다는 동기를 심어준 중요 인물이다.[* 둘의 첫 만남을 구작 애니에서는 좀 더 디테일하게 이야기를 다루었는데, 리메이크 애니에서는 아예 생략되어버렸다.] === 키메라 앤트 편 === [[그리드 아일랜드]]를 클리어하고 [[주문]] [[카드]]를 빼와서 진이 있는 곳으로 날아가려한 곤이였지만, 이미 그걸 예상하고 혼자서 오는 '자력'이 아닌 같이 오는 '[[동행]]'을 쓸 경우 카이토에게 날아가도록 [[프로그램]]해 뒀다. 아무래도 곤의 [[친구]]와 함께 만나는게 부끄러운 모양. 덕분에 이 시점에서 곤과 [[키르아 조르딕|키르아]]는 카이토를 만나게 된다. 둘이 합류하여 희귀생물을 조사하다가 [[인간]]을 먹은 [[키메라 앤트]]의 존재를 깨닫고 둘과 함께 [[NGL]]에 잠입. 중간에 세 사람이 키메라 엔트들과 싸운 후 곤이 동료를 아끼지 않는 놈들은 동정하지 않는다고 말하니, 마음 속으로 바로 그게 걱정된다며 [[코무기|동료를]] [[네페르피트|아끼는 적]]을 만나면 그때는 어쩔거냐고 묻기도 했다.[* 이때의 걱정은 현실이 되어서 곤은 코무기를 치료하는 네페르피트를 보고 엄청나게 심적인 갈등을 했다.] 왕이 부화하기 전에 왕의 처소로 가서 모조리 [[끔살]]시켜 버리려 계획하고 있었으나, 계산 외의 존재인 [[네페르피트]]가 날아와서 그의 팔을 날려 버린다. 그는 곤과 키르아를 도망치게 하기 위해서 한쪽 팔만 남은 상태에서 피트와 싸워 시간을 번다.[* 키르아가 생각하길 자신과 곤이 짐이 되어서 그렇지 카이토 혼자 있었으면 팔을 잃지 않았을 거라고 한다.][* 참고로 이 장면은 애니메이션 판의 경우에는 기존에 팬이 만들어놓았던 [[GIF]] 애니메이션 판과는 다른 의미로 매우 뛰어난 연출력으로 살렸는데, [[흑백]]으로 캐릭터를 붉은 색으로 피를 표현했으며 감정 묘사를 절제하던 기존의 연출과는 다르게 등장인물의 [[표정]] 묘사가 다채로운 걸 알 수가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266+.png|width=100%]]}}} || 무사히 도주한 곤의 낙관에도 불구하고, 바로 다음 장면에서 머리가 떨어져 나간 모습으로 등장해 [[충공깽]]을 선사한다. 피트가 카이토의 잘린 머리를 들고 '''"나 좀 강한듯"'''이라고 말한 이 장면은 아직까지도 충격적인 장면으로 꼽히고 있다. 강자인 피트가 굉장히 즐거운 싸움이었다, '''꿈 같은 시간이었다'''고 하며 다시 싸워보고 싶다고 독백한 것만 봐도 카이토 역시 대단한 강자. 덕분에 피트는 그와 또 한번 싸우고 싶다는 열망 하에 사람을 고치는 능력인 '''완구 수리자(닥터 브라이스)'''를 개화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ite's_corpse_(Vol_Extras).png|width=100%]]}}} || 피트의 능력에 의해 조종당하다가 [[낙클 바인]]의 천상부지 유아독존에 의해 넨 능력이 봉인되고 [[슈트 맥마흔]]의 [[호텔]] 라플레시아에 갇혀서 구조되지만 아직 피트의 조종 상태에서 풀려나지 않았고, 만신창이가 돼서 조종당하는 꼴[* 다가가려 하면 기계적으로 공격한다. 병정개미의 '''전투훈련용'''으로 쓰였다.]로 곤과 키르아를 맞이한다. [[왕궁]] 진입 후 곤이 [[제노 조르딕|드래곤 다이브]]에 휘말려 중상을 입은 [[코무기]]를 살려보려는 [[네페르피트]]를 죽일 듯이 노려 보며, '한 시간 후에는 카이토를 고쳐주러 가야 한다'라며 [[협박]]을 했다. [[치료]]가 끝난 후 페이징으로 달려갔지만 카이토는 이미 죽은 상태라 피트의 능력으로도 되살릴 수 없었음을 알게되고, 곤은 그대로 [[좌절]]에 빠지고 네페르피트는 전혀 미안하지 않은 표정으로 미안하다고 말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ito_Chimera_Ant.jpg|width=100%]]}}} ||<#fff> [[파일:ChimeraKiteDesign.jpg|width=100%]] || ||<-2><#ddd> '''[[키메라 앤트]]로 재탄생한 모습''' || 그런데 사건이 종료 된 후 [[코르트]]가 키우고 있는 키메라 앤트 [[여왕]]의 마지막 아이가 자신이 레이나가 아니라 '카이토'라고 주장한다.[* 레이나가 아닌 건 맞다. [[시드레|진짜 레이나]]가 [[브로부다]]와 함께 마을로 돌아갔을 때 레이나의 [[어머니]]가 알아봤기 때문.] 근데 이 아이는 생김새가 개미가 안 섞인, 완벽히 인간 여자아이다. 다만 쥐꼬리가 달려있다. 이때는 어린 아이 같은 [[성격]]에 이름이 카이토라고 주장하는 정도였지만 나중에는 자신이 카이토라고 완전히 자각한다.[* 다만 네페르피트가 카이토의 시신을 따로 보관하고 있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이상한 일이긴 하다. 작중 묘사 상으로는 '섭식교배'를 하는 키메라 앤트의 특성 상 이런 부활 과정을 거치려면 무조건 여왕에게 먹혀야 하기 때문이다. 카이토의 시신은 여왕에게 먹히지 않은 채로 훈련용 병기로 따로 보관되어 있었는데 어떻게 카이토로 다시 태어날 수 있었는 지는 불명이다. 어찌보면 설정미스라고 볼 수도 있는 부분. [br] 굳이 끼워맞추자면 네페르피트가 카이토를 개조하는 장면이 다 나온 게 아니며 인간의 몸 부위 중에서도 뇌가 최고의 진미라고 표현되었으므로 실질 조종에 없어도 무방한 뇌 등 내장의 일부만 여왕에게 최고급 식재료로 진상되어 카이토의 영혼이 여왕 안에 전부 몰려들어갔다면[* 네페르피트의 언급에 따르면 카이토를 못 살리는 이유는 [[영혼]]이 다른 곳으로 가버려서다.] 아예 말이 안 되는 상황은 아니다. 다만 조금만 더 빨리 먹혔으면 메르엠의 일부가 되어 카이토로 [[부활]]은 못 했을 것이므로 [[주인공 보정|억세게 운이 좋았다]]고는 말할 수 있다.] 진의 말에 따르면 사실 크레이지 슬롯은 진이 가르친 것이다. 카이토가 "절대 이대로 죽을 순 없다"라고 진심으로 생각하지 않는 이상 나오지 않는 숫자가 있다며, 살아있다면 아마 그 능력을 썼을 거라고 한다.[* 곤과 키르아 대신 죽을 생각으로 남은 게 아니니 [[죄책감]]을 가지지 말라고 하는 말이다.] --절대 죽을 수 없다고 생각해서 나온 능력으로 발현된 게 다시 태어난 카이토일 수도 있지 않을까?-- 337화에서 [[코알라]] 형태의 키메라 앤트[* [[멜레오론]]이 첫 등장했을 때 같이 나온 하급 개미다. 입에 물을 머금어 [[총]]처럼 쏘는 기술을 쓴다.]와 이야기를 하면서 재등장했는데, 그 사이에 빠르게 자라서 10대 후반 정도로 보이는 육체에 [[적발]] [[장발]], 그리고 [[주근깨]]에 [[들창코]]가 됐다. [[꼬리]]가 사라진 건 덤. 그 모습은 코알라 개미가 예전에 죽인[* 어차피 다른 개미에게 잡혔으면 괴롭힘을 당하다 죽었을 것이기에 빠르게 [[목숨]]을 끊어준 것이다. 시드레, 레이나를 비롯한 NGL 사람의 최후도 마찬가지. 코알라는 이후 사람이 아닌 개미를 쏴야 했다고 후회하고 있다.] 여자 아이라고 한다. 여왕이 죽기 전 치료하다 배에서 나온 작은 아기가 커서 카이토가 된 것이다. 코알라에게는 "나를 죽였던 죄책감을 지고, 나를 따라라"라고 해주고, 이후 곤과 만나 이야기를 나누며 곤을 위로하고 진에게 가보라고 한다. 곤이 [[세계수]]의 꼭대기에서 진을 만난 후 함께 코쿠치하쿠쵸를 보러 간다. 실루엣을 보면 아직 곤보다 머리 하나 정도 작다. == 넨 능력 == * '''미친 삐에로 気狂いピエロ (크레이지 슬롯)'''[* [[장뤽 고다르]]의 영화 [[미치광이 피에로]]에서 따온 이름으로 여겨진다.] (CV. [[사카구치 코이치]]) 입 부분에 [[슬롯]]이 달린 이상한 [[삐에로]] 형상을 구현화한다. 삐에로는 일종의 넨수로 자아를 가지고 있으며, 굉장히 경박하고 시끄럽다. 총 9개의 [[무기]]로 변할 수 있으나 어떤 무기가 될지는 완전히 랜덤이며, 한 번 슬롯을 돌려 나온 무기는 제대로 사용하기 전에는 사라지지 않아 바꿀 수도 없다. 심지어 그 숫자에 따라서는 꽝도 존재하기에 이래저래 사용하기 매우 불편한 능력. 침착하고 합리적인 카이토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성가시고 귀찮은 능력인데, 그 이유는 이게 스승인 [[진 프릭스|진]]이 멋대로 만든 능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넨]]의 특성상 위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스스로에게 설정한 제약이다. 카이토의 성격에 맞지 않게 경박스럽게 마구 떠드는 것도 카이토 본인이 그걸 싫어하는 만큼 제약이 되는 것. 덕분에 제각기 다른 형태가 9개나 됨에도 불구하고 딱히 위력이 부족해서 곤란했던 적은 없다. 과거에 [[시라사야]] 형태의 검을 무기로 사용한적이 있기에 나오지 않은 번호에 일본도 형태의 무기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작중에서 나온 무기는 3가지 뿐이다. * '''2번''' [[파일:크레이지 슬롯 2번.jpg|width=350]] [[대낫]]으로 전방위로 휘둘러서 광범위한 지역을 통째로 베어버리는 [[광역기]] '''사신의 원무곡(死神の円舞曲)'''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사용 가능한 기술은 이거 하나뿐. 물론 안 쓰면 안 사라진다. 카이토는 [[꽝]]이라고 생각한다. 위력은 대단히 강력하지만 아군도 위험해질 수 있는 데다가 범위가 넓긴 해도 비교적 단조로운 공격 단 한 가지만 가능해서 그런 듯하다. * '''3번''' [[파일:크레이지 슬롯 3번.jpg|width=350]] [[손도끼]][* 2번과 4번에 비해 손모양이 크고 피트의 얼굴에 생채기가 남아있는 것으로 추측.]. [[네페르피트]]와 싸울 때 사용했다. 정확히 어떤 능력이 있는지는 불명이지만, 다른 두 능력은 꽝이라며 불평하던 카이토가 별 말을 안 했다. 거기다 한 팔이 잘린 카이토가 자신보다 명백하게 강한 네페르피트를 상대로 어느 정도 시간을 끌 수 있었던 걸 보면 비교적 좋은 숫자인 걸로 추정된다.[* 다만 꽝이라고 불평을 안 한 건 상황이 급박해서 생략한 걸 수도 있고 꽝이라고 해서 성능과 위력이 떨어지는 건 아니기에 확신할 수는 없다.] * '''4번''' [[파일:크레이지 슬롯 4번.jpg|width=350]] [[권총]][* 넨 능력 특성인지 [[개머리판]]이 엄청 길지만 총열은 매우 짧다.]이다. --라이플리 아니었어?-- 작고 긴 원뿔 형태의 탄을 발사한다. 한 발 한 발의 위력도 높고 [[머신건]] 수준의 연사가 가능하며 적중률이나 사거리도 문제가 없다. 하지만 대낫과 마찬가지로 카이토는 꽝이라고 생각한다. 그 외에도 엔 역시 사용 가능하며, 그 범위는 [[고수]] 수준인 45미터.[* 키메라 앤트 편에서 나온 네페르피트나 [[메르엠]]의 엔이 정신 나간 수준이라 그렇지 카이토의 엔 범위 역시 상당한 편이다.] == 기타 == * 단행본 1권 속표지에서는 머리색깔이 있었지만, 단행본 26권 표지에서는 은발로 칠해졌다. 때문에 개미편 연재 전에 나왔던 구작 애니에서는 금발로 나왔었으나, 개미편 연재 후에 나온 리메이크 애니에서는 은발로 나왔다.[* 참고로 [[네페르피트]]의 머리색깔은 원작 표지에서 금발 2번과 은발 1번으로 나와서 일관성이 없다(...).] * 곤과 카이토의 첫 만남을 구작 애니에서는 좀 더 디테일하게 살린 것과 달리, 리메이크 애니에서는 키메라 앤트 편에서 카이토와 만난 곤이 과거에 카이토와 만났던 일을 [[회상]]하는 걸로 개변되었다.[* 키메라 엔트를 죽인뒤 불필요한 살생을 했다고 말하자 과거에도 곤을 구하기 위해 여우곰을 죽일때도 똑같은 말을 했던걸 곤이 기억해 낸다.] 만나자마자 곤과 키르아를 공격해서 멀리 날려버리는데 이는 곤과 키르아가 키메라 엔트의 둥지를 파손하고도 계속 그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그들을 구하기 위해서였다.[* 크레이지 피에로를 사용하여 나온 4번 무기인 총을 사용해 키메라 앤트와 둥지를 부수고 계속 그 자리에 있었으면 개미에게 공격당했을 것이라 충고해준다. 실제로 키르아가 아직 완전하게 죽지 않은 개미한테 공격을 받아 허벅지를 물렸는데 웬만한 고문에도 크게 반응하지 않는 키르아가 매우 고통스러워 했다.] 그 뒤 둘과 진에 대한 애기를 나눈다. 곤이 헌터가 되고 싶다는 동기를 처음 심어준 중요한 인물이 카이토였는데 곤과의 인연을 크게 축소해버려서 후에 카이토의 죽음으로 곤이 흑화한 과정은 원작에 비해 감정적 개연성이 부족해 보인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상당히 많다. * 참고로 구작 애니메이션은 OVA 3기 마지막에서 곤과 키르아가 '동행' 카드를 써서 카이토가 있는 곳으로 날아가게 되는데, 낚시하던 카이토의 뒷모습과 카이토가 뒤를 돌아보는 모습을 끝으로 종영되었다. 이 장면을 끝으로 구작 애니는 원작의 연재를 따라잡아서 더 이상 제작되지 못하고 나중에 제작진과 성우진을 모두 바꾼 리메이크로 다시 제작되었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506_163436.png|width=90%]]}}} || ||<-2> '''원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1339130.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01366908.png|width=100%]]}}} || ||<-2> '''구작 애니메이션 OVA 3기''' || * 아무래도 남자에서 여자로 환생하다 보니 성별 논란이 있는데 어릴 때와 코알라와 얘기할 때는 여성형 1인칭인 아타시, 곤과 얘기할 때는 남성형 1인칭인 오레를 쓴다. 곤에게 오레를 쓴 건 아마도 곤이 본인을 카이토라고 보는 게 클 듯. * 원래는 구현화계였지만 환생하면서 넨 계통이 변했을 확률이 있다. [[분류:헌터×헌터/등장인물]][[분류:프로 헌터]][[분류:키메라 앤트#bl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