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일 갈릭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41번}}}''' || || [[다니엘 허드슨]][br](2018) || {{{+1 →}}} || '''{{{#005A9C 카일 갈릭[br](2019)}}}''' || {{{+1 →}}} || [[제이크 맥기]][br](2020) || ||<-5> '''{{{#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ffffff 필라델피아 필리스}}}]] 등번호 23번}}}''' || || [[제이 브루스]][br](2019) || {{{+1 →}}} || '''카일 갈릭[br](2020)''' || {{{+1 →}}} || [[아치 브래들리]][br](2021) || ||<-5>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30번}}}''' || ||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br](2019~2020) || {{{+1 →}}} || '''카일 갈릭[br](2021~2023)''' || {{{+1 →}}} || 결번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트윈스갈릭23.jpg|width=100%]]}}} || ||<-2> '''{{{+2 카일 갈릭}}}[br]Kyle Garlick''' || || '''본명''' ||카일 브루스 갈릭[br]Kyle Bruce Garlick || ||<|2> '''출생''' ||[[1992년]] [[1월 26일]] ([age(1992-01-26)]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라 하브라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치노 힐스 고등학교 - [[오리건 대학교]] -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포모나 캠퍼스]] || || '''신체''' ||185cm / 95kg || || '''포지션''' ||[[좌익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28라운드 (전체 852번,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9) [br][[필라델피아 필리스]] (2020) [br][[미네소타 트윈스]] (2021~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외야수. == 선수 경력 == [[오리건 대학교]]를 다니다가 2014년 캘리포니아 스테이트 포노마 대학으로 전학을 갔는데 그 시절 대학 야구팀인 칼 폴리 포노마 브롱코스라는 팀에서 뛰었고 2015년 3할 5푼 8리에 17홈런을 기록했다. 이 활약을 바탕으로 [[2015 MLB 신인드래프트|2015년 드래프트]] 28라운드에서 다저스의 지명을 받았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그 이후에 마이너리그에서만 생활을 하다가 2019년 5월 17일, 메이저리그 콜업을 받았다. 그리고 5월 19일 신시내티전에서 대타로 나와서 메이저리그 데뷔전을 치렀는데 좌익수 직선타로 물러났다. 6월 8일, [[오라클 파크]]에서 열린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에서 대타로 나와 [[제프 사마자]]를 상대로 데뷔 첫 안타를 때렸다. 이날 다저스는 7회까지 3대2로 팽팽한 접전을 이어갔지만, 샌프란시스코 불펜진의 방화로 7대2로 승리했다. 6월 20일, [[다저 스타디움]]에서 열린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에서 3대0으로 앞선 2회말에 [[드류 포머란츠]]를 상대로 데뷔 첫 홈런을 뽑아냈다. 6월 21일, 다저 스타디움에서 열린 샌프란시스코전에서 4회 [[매디슨 범가너]]를 상대로 투런 홈런을 쳐내며 이틀 연속 홈런을 기록했다. 2020년 2월 11일, 다저스로부터 지명할당되었다. === [[필라델피아 필리스]] === 2020년 2월 16일, 필라델피아로 트레이드되었다. 12경기에 나와 .136/.174/.182의 별 볼 일 없는 성적을 거두었고, 시즌 후 [[아치 브래들리]]가 영입되자 로스터 확보를 위해 지명할당되었다. === [[미네소타 트윈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트윈스갈릭.jpg|width=100%]]}}} || 2021년 1월 23일, 애틀랜타가 클레임해 이적했지만 다시 웨이버 공시가 되었고, 2월 11일에 미네소타가 클레임해 이적했다. 2023년 1월 11일, [[카를로스 코레아]]의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지명할당되었다. 4월 13일 [[카일 파머]]가 10일 부상자 명단에 올라 콜업되었다. 28타수 5안타를 기록한 뒤 6월 20일 [[올리버 오르테가]]가 콜업되어 40인 로스터에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지명할당되었고 이후 마이너로 권리가 이관되었다. 시즌 후 FA 신분이 되었다.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카일 갈릭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9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30 || 53 || 12 || 4 || 0 || 3 || 8 || 6 || 0 || 5 || 19 || .250 || .321 || .521 || .842 || 0.3 || 0.2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0 || [[필라델피아 필리스|PHI]] || 12 || 23 || 3 || 1 || 0 || 0 || 0 || 3 || 0 || 0 || 7 || .136 || .174 || .182 || .356 || -0.4 || -0.4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1 ||<|3> [[미네소타 트윈스|MIN]] || 36 || 107 || 23 || 8 || 0 || 5 || 17 || 10 || 1 || 6 || 32 || .232 || .280 || .465 || .745 || 0.4 || 0.1 || || 2022 || 66 || 162 || 35 || 3 || 0 || 9 || 23 || 18 || 0 || 8 || 48 || .233 || .284 || .433 || .717 || 0.2 || 0.3 || || 2023 || 14 || 30 || 5 || 1 || 0 || 2 || 2 || 4 || 0 || 2 || 11 || .179 || .233 || .429 || .662 || -0.1 || -0.1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5시즌)''' || 158 || 375 || 78 || 17 || 0 || 19 || 50 || 41 || 1 || 21 || 117 || .225 || .277 || .438 || .715 || 0.3 || 0.0 || == 여담 == * 하위 라운드에 지명된 수 많은 선수들처럼 그도 오프시즌엔 투, 쓰리잡을 뛰었었다고 한다. [[https://sports.news.naver.com/wbaseball/news/read.nhn?oid=108&aid=0002794239|#]]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2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라하브라 출신 인물]][[분류:오리건 대학교 출신]][[분류: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출신]][[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필라델피아 필리스/은퇴, 이적]][[분류:미네소타 트윈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