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162_Katrina_thumbnail.jpg|width=300]]||[[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171_Katrina%20SE_thumbnail.jpg|width=300]]|| || '''1.0버전''' || '''SE버전''' || ||||<#FF2400> '''{{{#white 이 맵이 사용된 공식 리그}}}''' || ||<-2><:>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7 후기리그]] [br]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br] [[EVER 스타리그 2007]] [br] [[박카스 스타리그 2008]] [br] [[곰TV MSL 시즌4]] || ||<-2><#FF2400> '''{{{#white 종족간 전적}}}''' || ||<-2><#FF2400> '''{{{#white 카트리나}}}''' || || '''[[테저전/스타크래프트|테란 : 저그]]''' || 85:66 || ||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그 : 프로토스]]''' || 50:77 || || '''[[테프전/스타크래프트|프로토스 : 테란]]''' || 62:54 || || '''[[프프전/스타크래프트|프로토스 : 프로토스]]''' || 45 || || '''[[테테전/스타크래프트|테란 : 테란]]''' || 27 || || '''[[저저전/스타크래프트|저그 : 저그]]''' || 41 || ||||<#FF2400> '''{{{#white 카트리나 SE}}}''' || || '''테란 : 저그''' || '''16:19''' || || '''저그 : 프로토스''' || '''26:22''' || || '''프로토스 : 테란''' || '''24:12''' || || '''프프전''' || 26 || || '''테테전''' || 10 || || '''저저전''' || 34 || ||<:>분류||||<:>타일셋||<:>지도 크기||<:>사용자 수|| ||<:>대회 맵, 섬멸전 맵||||<:>정글||<:>128 × 128||<:>4|| [목차] == 개요 == [[스타크래프트]]의 맵. [[https://cafe.daum.net/asiashoo/Lulz/254|맵 다운로드]] 이름은 2005년, [[미국]] [[플로리다]]와 [[미시시피]]를 휩쓸었던 [[허리케인]]인 [[카트리나]]에서 따 왔다. [[인투더맵]] 먼슬리 맵으로 뽑혔던 맵이다. 다만, 그때는 지금의 뒷마당이 스타팅이었다. 이 맵이 쓰였던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MBC GAME 스타리그]]에서 우승한 종족들은 믿기 어렵겠지만 [[프로토스]]가 아닌 [[이영호|테란]]과[* 사실 이 맵은 테란전을 상대할 경우에는 순전히 캐리어 때문에 [[토스맵]]이 되는 거지, [[김택용]]처럼 캐리어를 못 쓰는 게이머들은 [[테란]]에게 고전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어쨌든 토스맵인 이유는 [[프로게이머]]들은 대체로 캐리어 컨트롤의 기본기 정도는 가져야 하기 때문. 하지만 최종 테크이 유닛을 못 다룬다면 프로로써 리스크를 지는 것이 당연하다.] [[이제동|저그]]였다. [[토스맵]]임에도 토스를 잘만 씹어먹는 '''[[리쌍(스타크래프트)|리쌍]]의 위엄''' 덕분에 이 맵은 카트리쌍, 혹은 리쌍리나라는 [[별명]]을 얻었다. [[여담]]으로, 이 카트리나에서 [[이영호]]는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와 이제동에게만 졌으며, [[이제동]]은 이영호에게만 졌다.[* 박카스 스타리그 2008 8강 3경기(3전제), 곰TV MSL 시즌4 8강 1경기(5전제): '''둘 다 [[메카닉 테란|메카닉]]이다'''. [[2007년]] 후반에서 [[2008년]] 초반에 걸친 같은 시즌이었고, 여기에 당시 같이 열렸던 곰TV 인비테이셔날까지 해서 3대 대회에서 리쌍은 모두 8강에서 만났고, 그 승자가 모두 [[우승]]한 전무후무한 시즌으로 기록된다.][* 단, [[곰TV 클래식]] 시즌1에서 이제동이 3:0으로 [[셧아웃(스타크래프트)|셧아웃]]시킨 전적에 포함되어 있으나, 공인 기록이 아니므로 전적에서 제외된다.] 참고로 카트리나 1.0과 SE 도합 [[리쌍(스타크래프트)|리쌍]]의 통산 전적은 '''이영호 15승 3패 83.3%''', '''이제동 19승 3패 86.4%'''의 엄청난 고승률을 기록하였다. == 경기 양상 == [[테란]]은 초기에 이 맵에서 [[프로토스|토스]]에게 이기기가 상당히 어려웠지만, 후에 [[이제동]], [[이영호]]가 맵의 재해석으로 토스의 물량을 능가하는 물량을 선보이면서 '리쌍 시대'의 서막을 열었다. 저그는 [[3해처리 레어]]로 초반부터 3가스를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에 저그가 많은 자원을 통해 프로토스를 압도할 물량을 확보하기에 좋다. 테프전 밸런스의 역전은 연습 시간이 비교적 널널해진 스토브리그 기간 중 이영호에 의해 이루어졌다. 양 방송사는 명경기가 많이 나온다는 이유로 공통맵으로 카트리나를 선정했기에 개인리그에서 우승하려면 카트리나를 극복하는 수밖에 없었다. 이영호는 3가스에 주목, [[더블 커맨드]] 이후 2팩토리에서 빠른 아머리로 셔틀 견제를 봉쇄하고 업그레이드를 돌려가며 사이언스 베슬을 확보한 뒤 3가스를 확보하는 [[안티 리버 캐리어]] 전략을 사용했다. 결국 이 전략은 2007년 대 테란전 무적의 포스를 자랑하던 [[송병구]]의 [[리버 캐리어]]를 분쇄해버리고 천적 관계 청산과 동시에 자신의 첫 우승을 확정지었다.[*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 결승전 1, 4경기에 카트리나가 배정되었는데, 여기서 송병구의 리버 캐리어를 분쇄하는데 성공하여 3:2로 우승을 차지했다. 박카스 스타리그 2008 결승전의 경우는 전 경기가 초중반 날빌or타이밍 러시에 끝나버려 캐리어는커녕 스타게이트 자체를 볼 수가 없었다.(...)] 이 모든 공략법은 SE로 버전업이 된 후에야 가능했으며, 이러고도 이 맵에서의 테란은 토스 상대로 불리함을 안고 갈 수밖에 없었다. 이 맵이 나온 때가 [[프로리그 중계권 사태]] 직후여서 한때 스갤에서는 '[[한국e스포츠협회|협회]]가 카트리나를 까기 위해 일부러 언밸런스하게 만들었다'는 괴소문이 돌았다(...).[* 이는 중계권 사태 당시 스갤을 진두지휘하며 저항을 이끌었던 유저의 닉네임이 카트리나였기 때문이다.][* 실제 제작자는 [[우상희]](Str18-02). 이 사람은 온게임넷 스타리그 사상 최초로 리그 진행 도중에 맵이 교체된 [[악령의 숲(스타크래프트)|악령의 숲]]과 후에 스타2 맵인 [[세종과학기지(스타크래프트 2)|세종과학기지]]도 만들었다.] 1.2 버전부터는 모든 스타팅의 본진 가스가 가장 가까운 위치보다 한 칸 더 떨어져 있어서 4기로 채취해야 최적화 시킬 수 있다. 가스 채취 속도는 12시 방향과 6시 방향이 크게 차이 나기 때문에 보통 맵들은 원래 스타팅이던 뒷마당 처럼 스타팅 가스 위치를 가능한 한 12시 방향으로 통일해서 가스 채취율을 맞췄는데, 카트리나는 맵 특성상 가스 위치가 스타팅 안쪽으로 향하게 배치 되어서 상대방이 본진 외곽에서 가스 채취를 방해하는 걸 피할 수 있게 만들어 놨기 때문에 3시와 9시 스타팅의 가스 채취 속도 차이 문제가 생겼고, 이 때문에 어쩔수 없이 위치별로 채취율 차이가 크게 벌어지지 않게 한 칸 띄워서 4마리 최적화 위치에 가스통을 배치했다.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