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 칸베 토시오의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ffffff '''[[노히트 노런|{{{#FFFFFF 노히트 노런}}}]]'''}}} || || 1975년 4월 20일 || vs [[난카이 호크스]] || [[후지이데라 구장]] || ---- ||<-5> '''{{{#ffffff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킨테츠 버팔로즈}}}''']] 등번호 27번}}}''' || || 키무라 타카오미[br](1969) || {{{+1 →}}} || '''{{{#fff 칸베 토시오[br](1970-1978)}}}''' || {{{+1 →}}} || 이케베 타케노리[br](1979) || ---- ||<-5> '''{{{#FFFFFF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ffffff 야쿠르트 스왈로즈}}}''']] 등번호 11번}}}''' || || 니시이 테츠오[br](1970-1978) || {{{+1 →}}} || '''{{{#073180 칸베 토시오[br](1979-1982)}}}''' || {{{+1 →}}} || 아라키 다이스케[br](1983-1995) || ---- ||<-5> '''{{{#FFFFFF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ffffff 야쿠르트 스왈로즈}}}''']] 등번호 73번}}}''' || || 마치다 유키히코[br](1980-1982) || {{{+1 →}}} || '''{{{#073180 칸베 토시오[br](1983-1985)}}}''' || {{{+1 →}}} || 사토 타카오[br](1987-1989) || ---- ||<-5> '''{{{#ffffff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ffffff 킨테츠 버팔로즈}}}''']] 등번호 83번}}}''' || || 미즈타니 히로시[br](1979-1985) || {{{+1 →}}} || '''{{{#fff 칸베 토시오[br](1986-1996)}}}''' || {{{+1 →}}} || 스구로 히로노리[br](2000-2002) || ---- ||<-5> '''{{{#ffc74b [[오릭스 버팔로즈|'''{{{#ffc74b 오릭스 블루웨이브}}}''']] 등번호 81번}}}''' || || 나카자와 신지[br](1986-1994) || {{{+1 →}}} || '''{{{#002288 칸베 토시오[br](1997-2001)}}}''' || {{{+1 →}}} || 후지타 마나부[br](2002-2003) || ---- ||<-5> '''{{{#fc0 [[오릭스 버팔로즈|'''{{{#fc0 오릭스 버팔로즈}}}''']] 등번호 83번}}}''' || || 카와무라 켄이치로[br](2004) || {{{+1 →}}} || '''{{{#FFFFFF 칸베 토시오[br](2005-2007)}}}''' || {{{+1 →}}} || [[바바 토시후미]][br](2009) ||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81번}}}''' || || [[김태원(야구선수)|김태원]][br](200-2007) || {{{+1 →}}} || '''{{{#FFF 칸베 토시오[br](2008-2009)}}}''' || {{{+1 →}}} || [[김대진(야구)|김대진]][br](2010-2011)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IA 칸베 토시오 코치.jpg|width=100%]]}}} || ||<-2> '''{{{+2 칸베 토시오}}}[br]神部年男 | Toshio Kanbe''' || ||<|2> '''출생''' ||[[1943년]] [[3월 24일]] ([age(1943-03-24)]세) || ||[[효고현]] 카고군 하리마정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학력''' ||효고현립 타가사고고등학교 || || '''신체''' ||175cm, 78kg || || '''투타''' ||[[좌투좌타]] || || '''포지션''' ||[[투수]] || || '''사회인야구''' ||미츠비시 제지 (1962-1964)[br]후지제철 히로하타 (1965-1969) || || '''프로 입단''' ||~~1966년 1차 드래프트 3순위~~([[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지명 거부)[br]1969년 드래프트 2순위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킨테츠]]) || || '''소속팀''' ||'''[[킨테츠 버팔로즈]] (1970-1978)'''[br][[야쿠르트 스왈로즈]] (1979-1982) || || '''지도자 경력''' ||[[야쿠르트 스왈로즈]] 2군 투수코치 (1983-1985)[br][[킨테츠 버팔로즈]] 투수코치[* 1989년엔 불펜코치를 역임했다.] (1986-1996)[br][[오릭스 블루웨이브]] 투수코치 (1997-2001) [br][[오릭스 버팔로즈]] 투수코치 (2005-2007) [br][[KIA 타이거즈]] 투수코치 (2008-2009)[br][[한화 이글스]] 투수 인스트럭터 (2013.2-2013.3)||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前 [[프로야구]] 선수 및 지도자. [[KBO 리그]] 야구팬들에겐 2008-2009시즌 [[KIA 타이거즈]]의 투수코치를 맡아 [[양현종]]의 성장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 프로 데뷔 전 == 효고현립 타가사고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사회인야구]]팀 미츠비시 제지와 후지제철 히로하타에서 주축 [[투수]]로 뛰었고, 1966년과 1968년엔 [[도시대항야구대회]]에 2차례 보강선수로 나서 68년 대회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고 대회 MVP상인 '''하시도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1966년 1차 드래프트에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3순위 지명을 받았으나 이를 거부하고 사회인야구에 남았고, 이후 1969년 드래프트에서 [[킨테츠 버팔로즈]]의 2순위 지명을 받아 프로에 데뷔했다. == 현역 시절 == 칸베는 킨테츠에 입단하자마자 곧바로 주전 [[투수]] 자리를 꿰찼고, 이후 [[선발 투수]]과 [[중간계투]]를 오가며 시즌 10승을 4차례 기록하는 등 킨테츠의 주축 투수로써 활약했다. 1975년엔 [[난카이 호크스]]를 상대로 같은 해 [[퍼시픽리그]]에 [[지명타자]]제가 도입된 이래 역대 최초인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고, 선발진의 일원으로써 킨테츠가 이 해 후기리그 우승을 달성하는 데 공헌한 바 있다. 현역 시절엔 주로 [[수비]]와 [[견제]] 기술이 뛰어난 투수로 유명했는데, 덕분에 [[사회인야구]] 시절부터[* 당시 [[도시대항야구대회]]에서 후쿠모토가 소속된 [[파나소닉|마츠시타]] 야구부를 이기고 본선 진출을 달성하기 위해 칸베는 후쿠모토를 잡아내기 위한 견제 기술을 연마하는 데 힘썼고, 이것이 프로에서 크게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의 [[대도]]였던 '''[[후쿠모토 유타카]]'''의 천적으로 이름을 날리기도 했다. 이와 관련하여, 칸베의 뛰어난 견제 실력과 [[도루]] 타이밍을 잡을 수 없는 투구에 애를 먹었던 후쿠모토가 칸베의 약점을 찾아내기 위해 칸베가 투구하는 모습을 철저하게 분석한 끝에 '견제구를 던질 때 왼발 뒤꿈치가 불과 수 mm 정도 공중에 뜬다'는 투구 습관을 찾아내어 칸베를 공략하는 데 성공했다는 비범한 에피소드가 있는데, 투구 습관을 간파당한 것을 눈치챈 칸베가 스코어러에게 자신이 투구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줄 것을 부탁하여 그 사진을 통해 투구 습관을 고치는 바람에 한동안 후쿠모토는 또 다시 칸베에게 도루를 막혔지만, 얼마 안 가서 칸베를 상대로 재차 도루를 시전했다고 한다. 킨테츠에서 계속해서 주축 투수로 뛰어온 칸베였으나, 1979년 [[찰리 매뉴얼]] 등과의 2:3 트레이드로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이적하게 되었다. 야쿠르트에서도 이적 초반엔 [[선발 투수]]로 뛰었으나 이전만큼 성적이 나오지 않으면서 [[중간 계투]]로 전향했고, 1981년엔 [[마무리 투수]]를 맡아 10세이브[* 당시엔 경기 후반에 2~3이닝씩을 던지는 [[중무리 투수]]가 많았기 때문에 그만큼 세이브 숫자가 적었다.]를 올리기도 했다. 한편으로 [[1980년]] [[10월 12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코라쿠엔 구장]] 원정경기에서 '''[[오 사다하루]]'''의 현역 시절 마지막 홈런인 통산 868호 홈런을 얻어맞고 패전투수가 되기도 했다. 1982년엔 1군 등판 없이 2군에만 머물렀고, 그 해를 끝으로 '''통산 370경기 등판(204선발), 90승 89패 16세이브 평균자책점 3.15'''의 기록을 남기고 현역 생활을 마무리지었다. == 지도자 시절 == 은퇴 후 [[야쿠르트 스왈로즈]], [[킨테츠 버팔로즈]],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블루웨이브/버팔로즈]]에서 투수코치를 맡아 투수진 정비 등에 수완을 보였고, 1989년엔 불펜 코치로써 킨테츠의 리그 우승에 공헌하기도 했다. 2008년엔 [[KIA 타이거즈]]의 투수코치를 맡게 되었는데, 이 당시 '''[[양현종]]'''을 비롯해 [[유동훈]], [[곽정철]] 등 여러 [[투수]]들의 성장을 이끌어내어 투수진 정비에 크게 기여하며 팀이 [[2009년 한국시리즈]]를 제패하는 데 보탬이 되었다. 2009년 시즌 종료 후 건강 문제를 이유로 코치직에서 사임했고, 이후 2013년 [[한화 이글스]]의 스프링캠프 투수 인스트럭터를 잠시 맡은 것을 끝으로 지도자 생활을 끝마쳤다. == 기타 == * 상술했듯이 KIA 투수코치 시절 [[양현종]]의 성장에 크게 기여한 바 있는데, 2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양현종을 지속적인 훈련으로 단련시키며 훗날 리그를 대표하는 [[선발 투수]]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 인연으로 양현종과는 현재도 자주 연락을 가진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양현종은 자신이 [[선발 투수]]로 나선 [[2017년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칸베를 초청하여 스승의 앞에서 122구 [[완봉|완봉승]]이란 엄청난 투구로 자신의 성장한 모습을 유감없이 보여줬다. || [[파일:양현종 칸베.png|width=500]] || || '''2차전에서 완봉승을 거둔 이후, 칸베에게 완봉승을 거뒀을 때 걸었던 목걸이를 선물하는 양현종''' || [[분류:1943년 출생]][[분류:1966년 데뷔]][[분류:일본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