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네이버 웹툰의 연재작/월요일)] ||<-2>
{{{#ffffff,#ffffff '''{{{+1 칼가는 소녀}}}'''[br]Knife in Her Hear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칼소 표지 3.jpg|width=100%]]}}} || || '''{{{#ffffff,#ffffff 장르}}}''' ||[[학원물|학원]], [[막장 드라마]], [[성장물|성장]], [[복수]] || || '''{{{#ffffff,#ffffff 작가}}}''' ||오리 || || '''{{{#ffffff,#ffffff 연재처}}}''' ||[[네이버 웹툰]] [[https://comic.naver.com/webtoon/list.nhn?titleId=730174|▶]][br][[네이버 시리즈]] [[https://series.naver.com/comic/detail.nhn?productNo=4282559|▶]] || || '''{{{#ffffff,#ffffff 연재 기간}}}''' ||2019. 06. 30. ~ 휴재 중[* 2022년 7월 10일부터 작가의 회복을 위해 휴재 중이었으나, 《[[2023 요즘연애 특)]]》의 작가의 말을 통해 곧 복귀함을 알렸다.] || || '''{{{#ffffff,#ffffff 연재 주기}}}''' ||월 || || '''{{{#ffffff,#ffffff 이용 등급}}}''' ||[[12세 이용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의 [[웹툰]]. 작가는 [[https://instagram.com/home_duck_?igshid=5s1ami1w6qmg|오리]]. 2018년 [[네이버웹툰 최강자전]]의 1위 수상작이다. == 줄거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wrr3YUIgEiU, width=100%)]}}} ||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칼가는 소녀 배너.png|width=80%]]}}}[br]치사율 100%의 인싸 희귀병 소녀 '[[채사랑|사랑]]'[br]누구보다 차분하고 두려움 없는 같은 반 소녀 '[[구은조|은조]]'[br]두 소녀가 가슴 속 칼을 품고 세상을 향한 복수를 꿈꾼다.[br]{{{#f0cdd2 .}}} || == 연재 현황 == [[네이버 웹툰]]에서 2019년 6월 30일부터 매주 월요일에 연재되고 있다가 2022년 7월 10일부터 무기한 휴재 중이다. 2021년 8월 31일[* 무료화 출시 기준. 미리보기 기준으론 7월 28일로 예상]에 휴재기간을 가지기로 했다. 휴재 사유는 작업 어시도 없고 '''혼자''' 작업하기 때문에 세이브 원고가 없을 뿐더러 결국 대 지각을 해버리는 최악의 사태까지 발생하였다. 그래서 육체적 정신적 피로도가 올라 간 상태라서 3개월[* 미리보기기준으론 3개월이지만 다시 연재시간은 10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동안 휴재하기로 했다. 독자분들의 반응은 혼자 작업하는 것이 대단하다, 휴재를 환영하는 반응들이었다. 작가가 인스타에서 독자들이 복귀를 언제 하냐고 물어봄에 글을 올리면서 큰일이 생기지 않는 한 11월 28일 밤 11시에 복귀 예정 인줄 알았으나 작가가 재밌는 원고를 잘 준비하기 위해 욕심을 내다 보니 2주 더 연장하게 되었다. '''12월 12일'''에 복귀 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https://www.instagram.com/p/CWUVEWUPo47/?utm_source=ig_web_copy_link|여기 참조]].] 12월 12일에 복귀했으나, 건강 문제로 인해 다시 휴재에 들어갔고 7월 말에 복귀할 예정이 되었다. 2022년 6월 말부터, 7월 말까지 건강상의 문제로 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https://www.instagram.com/p/CfRdqOhPRHk/?igshid=YmMyMTA2M2Y=|여기 참조]] 2023년 5월 8일, 작가가 단편선 참여 게시글과 동시에 자세한 복귀 예정 기간을 올렸다. 대략 5월 말에서 6월 초에 복귀 예정이라고. === 해외 연재 === ||<-6>
'''[[WEBTOON|[[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width=25]] {{{#ffffff,#000000 해외 연재 여부}}}]]''' || || {{{-2 [[WEBTOON#s-3.1|{{{#ffffff 영어}}}]]}}} || {{{-2 [[WEBTOON#s-3.2|{{{#ffffff 일본어}}}]]}}} || {{{-2 [[WEBTOON#s-3.3|{{{#ffffff 중국어(간체)}}}]]}}} || {{{-2 [[WEBTOON#s-3.4|{{{#ffffff 중국어(정체)}}}]]}}} || {{{-2 [[WEBTOON#s-3.5|{{{#ffffff 태국어}}}]]}}} || {{{-2 [[WEBTOON#s-3.6|{{{#ffffff 인도네시아어}}}]]}}} || || {{{-2 [[WEBTOON#s-3.7|{{{#20d45d,#2adf67 스페인어}}}]]}}} || {{{-2 [[WEBTOON#s-3.8|{{{#ffffff 프랑스어}}}]]}}} || {{{-2 [[WEBTOON#s-3.9|{{{#20d45d,#2adf67 독일어}}}]]}}} || {{{-2 [[WEBTOON#s-3.10|{{{#20d45d,#2adf67 }}}]]}}} || {{{-2 [[WEBTOON#s-3.11|{{{#20d45d,#2adf67 }}}]]}}} || {{{-2 [[WEBTOON#s-3.12|{{{#20d45d,#2adf67 }}}]]}}} || * 2019년 9월 8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의 [[정자(한자)|중국어 정체]](대만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 (제목: 利刃少女) [[https://www.webtoons.com/zh-hant/drama/liren/list?title_no=1713|(링크)]] * 2019년 10월 2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동만 만화]]에서 [[간체자|중국어 간체]]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 (제목: 被诅咒的国民少女) [[https://www.dongmanmanhua.cn/HEALING/beizuzhoudeguominshaonv/list?title_no=1453|(링크)]] * 2020년 2월 5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이자 일본의 출판 만화 전자책 서비스인 [[WEBTOON|LINE망가]]에서 [[일본어]]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 (제목: 復讐を誓った少女) [[https://manga.line.me/product/periodic?id=Z0000653|(링크)]] [[https://twitter.com/linemanga/status/1224875288707981312|(관련 트윗)]] * 2020년 4월 2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의 [[마인어|인도네시아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 (제목: Revenge Girl) [[https://www.webtoons.com/id/drama/revenge-girl/list?title_no=1966|(링크)]] * 2020년 5월 8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의 [[프랑스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 (제목: Tranchante) [[https://www.webtoons.com/fr/drama/tranchante/list?title_no=2038|(링크)]] * 2020년 8월 29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의 [[태국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 (제목: ฉันมันร้าย หรือเพราะโลกไม่น่ารัก) [[https://www.webtoons.com/th/drama/knifegrinding-girl/list?title_no=2166|(링크)]] * 2023년 1월 23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의 [[영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가 시작되었다. 'Daily Pass'로 제공되어 24시간마다 한 회차씩 무료로 읽을 수 있다. (제목: Knife in Her Heart) [[https://www.webtoons.com/en/drama/knife-in-her-heart/list?title_no=5043|(링크)]] == 특징 == 최근 트렌드의 웹툰들과 달리 [[권선징악]]을 주제의식 전면에 내세우며 선인과 악인, 가해자와 피해자를 경계없이 분명하게 나눈다.[* 유일한 예외는 [[한희진]]이지만, 그 피해자인 은조가 희진을 전혀 미워하지 않는데다 구도준의 악행이 워낙 압도적이기에 잘 부각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왕도적인 학원 성장물의 전개를 따르기에 좋게 말하면 마음 편히 볼 수 있고, 나쁘게 말하면 매우 평면적이다. 악역들의 심리묘사가 잘 드러나지 않는 편이다. [[정다정(칼가는 소녀)|정다정]]과 [[구도준]]이 대표적 예시인데 이는 후술할 비판으로도 어느정도 이어진다. 의외로 전개 도중에 갱생하는 악역들이 적지 않은 편이기도 하다. 그러나 후술할 비판에서도 나오다시피 안 좋은 쪽으로 급발진 하다가 갑자기 갱생하는 것 같다는 의견도 많다.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칼가는 소녀/등장인물)] == 비판 == 겉으로는 소년소녀들의 학원 성장물을 표방하고 초반까지만 해도 그랬지만, [[송채하]]와 [[은호진]] 등장 이후인 2부부터 갈수록 개연성은 내다버리고 인물들의 알 수 없는 급발진과 감성팔이 위주로 전개되는 '''[[막장 드라마]]에 가까워지고 있다.''' 실제로 현실성과 개연성이 심하게 떨어져간다는 평가가 늘어나는 중. --[[소녀의 세계|옆동네]] 2부와 단점이 비슷해지고 있다.--[* 둘 다 초반에는 여자 주역들의 우정 이야기로 주목을 받았지만 남자 주역들의 등장으로 평이 안좋아지는 점, 남자 주역 중 하나가 비중과 대우가 다른 남자 주역에 비해 뒤떨어지는 점([[주찬양]], 송채하)에서 특히 비슷하다.] === 스토리 === ==== 전체적인 전개 ==== 초반까지는 두 주인공 소녀의 복수와 성장 일대기를 모토로 하고 있었지만, 갈수록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반응이 많다. 요컨대 세계관은 확장되고 등장인물은 증가하지만 정리가 불가능한 것. 한 예시로 중반부 전개의 절반 분량을 [[구도준]]과 [[정다정(칼가는 소녀)|정다정]]의 막장짓으로 잡아먹는데, 당시부터 이게 성장물인지 막장 드라마인지 모르겠다는 비판이 종종 있었다. 작중의 모든 악역들이 그저 난데없이 급발진하며 주인공 일행을 위협하고, 주인공 측이 있어보이는 대사 몇 마디 날려주면서 추하게 리타이어하거나 갑자기 갱생하는 패턴의 반복이다. 2부에서 등장한 [[은호진]]과 [[송채하]]에 대해서도 일각에서는 비판이 많다. 캐릭터 자체가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계속해서 짝사랑 플래그가 세워지는데 왜 굳이 성장물을 로맨스물로 전향하려 드냐는 말이 나오는 중. 스토리가 후반으로 치닫고 있는데도 여러 개의 떡밥이 뿌려졌지만 아직까지 거의 풀리지 않았고, 그나마 [[구은조]]의 복수는 스토리가 진행되고 있으나 최중요 플롯인 [[채사랑]]의 복수는 성장을 거듭하며 "해야 하나?" 식으로 고민하는 것도 아니고 아예 언급조차 되지 않고 있다. ==== 극단적인 선악구도 ==== 작품의 주제로서 선한 주인공과 권선징악을 내세우는 것은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칼가는 소녀는 '''그 정도가 지나칠 정도로 심하다.''' 주인공 일행은 착한 사람이자 피해자일 뿐이며 악역들 또한 그저 순수한 가해자이자 악인들이다. 선역 측 캐릭터의 뜻밖의 부정적인 면모나 악역 측의 인간적인 면모 등의 양면적인 부분은 묘사되지 않기에 평면적인 성향의 캐릭터들이 많다. 이 단점의 극치가 더블 주인공인 [[구은조]]와 핵심 악역인 [[구도준]]이다. 심지어 유치하다는 여론마저 몇몇 존재한다. 그래도 입체적인 캐릭터가 아예 없는 건 아니고, 특히 호진이의 아빠는 부정적으로만 묘사될 것 같은 그동안의 예측과는 달리 입체적인 캐릭터로 해석할 만한 면모가 묘사되면서 그나마 이 부분에서는 어느 정도 나아질 가능성도 있긴 하다. ==== 비현실적인 개연성 ==== 위의 문제들에 비해 묻히는 점이지만 잘 보면 비현실적인 전개가 적지 않다. 그 중 대표적인 부분은 은조의 가정사. 과거 구도준이 불륜으로 사생아(혜주)를 가지자 본처 희진과 이혼하는데, 현실에선 이혼을 하려면 '''양측 모두의 동의가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다면 이혼이 쉽지가 않다'''. 구도준이 희진의 동의를 강제로 얻었다면 모를까, 작중 희진의 태도를 보면 아무리 강제라 한들 순순히 동의 해주었을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더군다나 자동적으로 불륜 대상자인 혜주 엄마는 법적으로 내연녀가 되며, 혜주는 법적으로 사생아가 된다. 즉, 현실적으로 따지고 보면 혜주는 구도준의 호적에 제대로 올라가기는 커녕 사생아가 되었을 가능성이 컸다.[* 다만 현실에서도 불륜으로 낳은 사생아를 입양하다가 나중에 들통나는 사례가 있는 걸 생각하면 어떤 식으로든 구도준은 혜주를 자기 호적 자식으로 올렸을 수도 있다. 물론 어떤 방식이든 똑같이 자기 가정을 박살내는 짓이긴 하지만.] 어찌보면 이 부분은 은조의 불행한 과거사를 구성하기 위해 일부러 현실성을 포기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사랑이와 호진이의 과거의 사고도 현실성이 없는 부분이 많은데 댓글에서도 이를 지적하는 언급이 꽤 많았다. === 캐릭터 === ==== 심리묘사 문제 ==== '''본작의 최대 문제점.''' 후반으로 갈수록 심리 묘사가 제대로 나오지 않고 캐릭터들의 감정선을 이해할 수 없다는 여론이 꽤나 많다. 주인공 측 주연들은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악역들은 "이게 뭐 하자는 거지?" 싶을 정도로 '''매우 저질스러운 스토리텔링과 캐릭터성을 자랑한다.''' 작중의 모든 악역들이 입체성이나 매력은 찾을 수 없고 그저 "말도 안 되는 이유로 주인공 일행을 괴롭히는 나쁜 가해자" 수준에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한다. 구도준은 제대로 된 심리묘사가 거의 나오지 않고[* 그나마 작가도 이러한 독자들의 불평을 인식했는지 132화에서 그의 심리묘사가 나오긴 하였다.] 그저 한희진에게 구차하게 매달리는 모습만을 보여주고 있으며, [[정다정(칼가는 소녀)|정다정]] 또한 목적이 뭔지 나오지도 않은 채[* 사랑이를 통해 본인도 유명해질 생각이었다는 주측이 대다수지만, 어디까지나 주측에 불과하며 심리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아서 알 수 없다.] 채사랑을 볼 때마다 급발진만 하다가 [[채사랑]]과 [[은호진]]의 일침을 듣자 갑자기 갱생해서 이해할 수 없다는 독자들도 있다. [[이주이(칼가는 소녀)|이주이]] 역시 마찬가지인데, 특히 이쪽은 구혜주를 괴롭히기만 하다가 '''어떤 복선도 없이 갑자기''' 갱생의 조짐이 보이는 것이 이해가 안 된다는 독자들이 상당수이다. 구은조 또한 아무리 일찍 철이 들었어도 이게 18살짜리 고등학생이 맞는지 의문이 들 정도로 [[착한사람 증후군|비정상적으로 어른스럽고 착한 모습]]만 보여주기에 논란이 어느정도 있다. 아무리 작품의 주제와 캐릭터를 감안해도 너무 과하다는 평이 중론.[* 다만 구은조의 경우 비정상적으로 어른스럽고 항상 남을 먼저 생각하는 모습이 작중에서도 지적되었고 자신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라는 말을 들은 만큼 이후 스토리가 전개됨에 따라 개선의 여지가 있다.] 사실 이 부분은 상단에서 연계되는 문제점이기도 하다. 작가도 주요 독자들도 악역들을 모두 일차원적인 가해자로만 바라보고 그렇게 묘사되기를 원하기 때문. 초반에 구도준의 심리묘사와 사연이 나왔을 때 '''가해자 새끼 사연 알고 싶지도 않으니 집어치우라'''는 행태를 보이며 별점테러까지 벌였는데 이 영향 또한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 회상씬 이후 구도준의 제대로 된 심리묘사는 일절 드러나지 않는다. 작품의 스토리가 중후반에 다다랐고, 악역들 대부분이 난데없이 갱생하거나 리타이어 당한데다 [[권선징악|주제의식]]을 감안하면 본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은 매우 요원할 것으로 보인다. ==== 활용 문제 ==== 초반에 중요 비중이 많았다가 중반부터 갑자기 비중이 공기가 되는 캐릭터들도 적진 않은데, 그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가 바로 [[윤재민(칼가는 소녀)|윤재민]], [[이연지(칼가는 소녀)|이연지]] 이며, 정다정도 선역화 된 이후에는 비중이 공기가 되었다. 종종 얘네들을 등장 좀 시켜달라고 하는 댓글들도 적지 않게 나오고 있다. [[송채하]] 역시 주연 중 하나임에도 비중이 낮다. 다만 초반에는 비중이 없었다가 중반에 비중이 많아진 일부 인물들도 종종 있는데다가 공기화가 된 캐릭터 일부도 그나마 등장만이라도 했거나 재등장 떡밥이 있는 경우가 있으니 전개에 따라서 나아질 가능성이 어느정도 있다. === 댓글 문제 === 지저분한 댓글창은 모든 [[네이버 웹툰]]이 해당되는 문제지만 칼가는 소녀는 유독 심하다는 평가가 많은데, 일단 여성 캐릭터들이 주역이어서 그런지 댓글에 유독 사랑과 은조를 [[백합(장르)|백합]]으로 엮는 반응이 많다. 하지만 이런 반응이 지나치게 많은 데다 웹툰 전개와 두 사람의 로맨스는 전혀 어울리지 않다보니 줄거리를 봐도 알겠지만 내용이 사랑과 은조의 복수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실제로도 복수 얘기만 할 뿐, 이 두 사람 사이는 사랑은커녕 우정도 겨우 만들어져가고 있는데도 무조건 백합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에 대한 반감을 표시하는 반응도 상당히 많아 댓글창이 매번 논쟁에 쌓여 있다. 결국 12화에선 백합 드립 좀 그만하라는 베댓이 3개나 생겼다. 이렇게 반감하는 반응이 자꾸 나오는 이유는 백합 자체에 대한 반감보다는 전개되는 내용상 두 사람의 로맨스가 전혀 필요하지 않고 그런 장면도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랑과 은조가 남자로 나오든, 한 쪽이 남자이든 두 사람의 로맨스는 현 연재분에서 전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흔히 한국 드라마의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어떤 내용에서든 주인공들을 사랑으로 엮으려고 한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칼가는 소녀에서 댓글들이 백합 얘기에 왜 반감을 가지는 지 알 수 있다. 어찌보면 하도 사랑으로 엮는 클리셰를 많이 써먹다 보니 백합으로 연결하는 독자들은 이미 거기에 익숙해져 버려서, 내용이 뭐든 간에 사랑이 들어가지 않으면 이상함을 느끼는 단계까지 갔다고 볼 수도 있겠다. 그래도 중반부로 갈 수록 초반에 비하면 비교적 많이 사그라든 편이었으나 채하와 호진이가 등장하면서 베댓은 또다시 커플링 관련 얘기로 도배되는 중.[* 급기야 140화에서 구은조가 은호진을 좋아하고 채사랑에게 베푸는 호의가 단순한 선의가 아니라는 암시가 나오자, 오랫동안 증발되었던 정다정의 재등장과 더불어 별점이 상당히 떨어졌다.] 물론 이에 대해 반감을 가지면서 괜히 커플링 신경 쓰지 말고 그냥 얌전히 감상이나 하자는 댓글들도 많아졌다.[* 105화에서 호진이가 은조에게 문제집 빌려준다고 할 때 주변 친구들이 괜히 설레어하니까 사랑이가 발끈해서 공부 잘 하는 애들이 서로 문제집 나눠 가진다는 소리 라며 일침하는 장면이 잠시 나오는데 어느 정도의 간접 디스도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구도준]], [[혜주의 엄마]], [[이연지(칼가는 소녀)|이연지]] 등 [[채사랑|사랑이]]와 [[구은조|은조]]와 관계가 깊은 악역들이 등장할 때마다 댓글창에 욕이 엄청나게 많이 달리는데, 작품 성향상 빌런을 욕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전체적인 내용 전개는 무시하고 '''베스트댓글의 2/3가 그저 비난으로 도배될 수준으로 과하다.''' 또한 다른 등장인물들은 조금만 잘못을 해도 비호감이라고 낙인찍히지만, 정작 앙숙인 정다정 못지않게 막장짓을 벌이고 다니는 주인공 채사랑은 '''조금의 비판도 받지 않는 진풍경이 벌어진다.'''[* 극초반에 구은조를 못살게 굴거나 네 인사 받고 싶지 않다며 아무런 죄도 없는 혜주에게 폭언을 일삼은 것이 대표적인 예시.] 그래도 이연지는 바자회 당일에 대놓고 패드립 날린 것으로 자폭한 이후인 51화부턴 등교 거부로 학교에 나오지 않으면서 비중이 없어졌고,[* 다만 가끔씩 직접 등장하지 않는 화에도 굳이 언급되는 것을 보아 다시 주요 악역으로 재등장 할 가능성이 높다. 결국 108화 후반에 다시 학교에 온 것으로 재등장 하였다.] 혜주의 엄마는 85화에서부턴 남편에게 버림 받는 것으로 리타이어 한 이후엔 비중이 비교적 줄어들었다. 88화부터 사랑이 부모님의 이야기가 공개되고 이후 사랑이와 은조와 나머지 학교 친구들 위주로 스토리가 진행되면서 구도준도 이전에 비해 비중이 많이 줄어들었다.[* 다만 작가가 인터뷰에서 2부를 언급한 것을 보아 굳이 말하자면 1부는 은조의 가정사를 중심으로, 2부는 사랑이의 과거사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 === 길어지는 휴재 === 2022년 7월 초부터 휴재에 들어갔는데 작가의 회복과 더불어 작품의 재정비를 위한 휴재는 좋으나 문제는 '''그 기간이 너무 길다는 것.''' 작가도 이에 대한 독자들의 의견을 인지하는지 SNS에서 근황을 알려주면서 곧 돌아오겠다는 공지를 올리고 그러는데, 정확한 날짜가 나오지도 않았고 또한 복귀 기간도 계속 번복되니 이를 비판하는 독자들도 늘고 있다. 휴재가 길어지는 다른 작품들도 최소 SNS에 공지를 올리거나 복귀 일정을 올려주기라도 하는데 이쪽은 정확한 복귀 기간을 올려주지도 않으니. 그러다 2023년 5월 8일, '''드디어''' 복귀 기간을 자세히 올려주었다. 대략 5월 말에서 6월 초에 복귀 예정이라고. == 기타 == * 2022년 만우절 #깜짝반전 일러스트는 장르반전으로 아포칼립스물 장르 분위기의 주연 4인방의 모습이다. 특히 일러스트 속 사랑이의 모습이 할리퀸 같다는 반응이 많다. * 가끔 띄어쓰기 오류가 나온다. 예를 들면 '잘못'과 '잘 못' 등.[* 애초에 '잘못'과 '잘 못'은 뛰어쓰기 하나로 의미가 완전히 달라진다.] 종종 이에 대해 지적을 하는 댓글도 나온다. * 작중 등장하는 안경을 쓰는 캐릭터 대부분 [[달걀귀신|눈이 잘 표현되지 않는다]]. * 휴재 특별편에 의하면 작중 대부분의 조연들의 이름은 작가의 동생이 지어준 것이라고 한다. 주로 주변인들의 이름에서 따서 지었다고. == 관련 문서 == * [[웹툰 관련 정보]] * [[네이버 웹툰/연재 목록]] == 외부 링크 == * [[https://webtooninsight.co.kr/Forum/Content/5443|작가 수상 인터뷰]] * [[http://cafe.naver.com/black7jqqx|칼가는 소녀 팬카페]] - 작가까지 탈퇴하면서 사실상 망했다. * [[https://www.webtoonguide.com/ko/board/rds01_interview/15446|웹툰가이드 작가 인터뷰]] * [[https://instagram.com/home_duck_?igshid=5s1ami1w6qmg|작가 인스타]] == 둘러보기 == [include(틀:2018 네이버웹툰 최강자전 수상작)] [[분류:칼가는 소녀]][[분류:웹툰/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