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셀틱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D2C5A 5%, #00003E 5%, #00003E 10%, #1D2C5A 10%, #1D2C5A 15%, #00003E 15%, #00003E 20%, #1D2C5A 20%, #1D2C5A 25%, #00003E 25%, #00003E 30%, #1D2C5A 30%, #1D2C5A 35%, #00003E 35%, #00003E 40%, #1D2C5A 40%, #1D2C5A 45%, #00003E 45%, #00003E 50%, #1D2C5A 50%, #1D2C5A 55%, #00003E 55%, #00003E 60%, #1D2C5A 60%, #1D2C5A 65%, #00003E 65%, #00003E 70%, #1D2C5A 70%, #1D2C5A 75%, #00003E 75%, #00003E 80%, #1D2C5A 80%, #1D2C5A 85%, #00003E 85%, #00003E 90%, #1D2C5A 90%, #1D2C5A 95%, #00003E 95%);" {{{#ffffff '''칼럼 맥그리거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850 0%, #009850 30%, #009850 70%, #009850)" {{{#ffffff ''' 셀틱 FC 주장 ''' }}} }}} || || [[스콧 브라운]][br]{{{-1 (2010~2021) }}} || {{{+1 {{{#206b48 ▶ }}} }}} || '''{{{#206b48 칼럼 맥그리거[br]{{{-1 (2021~ )}}}}}}''' || {{{+1 {{{#206b48 ▶ }}} }}} || ''현직'' || ---- [include(틀: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주장)]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D2C5A 5%, #00003E 5%, #00003E 10%, #1D2C5A 10%, #1D2C5A 15%, #00003E 15%, #00003E 20%, #1D2C5A 20%, #1D2C5A 25%, #00003E 25%, #00003E 30%, #1D2C5A 30%, #1D2C5A 35%, #00003E 35%, #00003E 40%, #1D2C5A 40%, #1D2C5A 45%, #00003E 45%, #00003E 50%, #1D2C5A 50%, #1D2C5A 55%, #00003E 55%, #00003E 60%, #1D2C5A 60%, #1D2C5A 65%, #00003E 65%, #00003E 70%, #1D2C5A 70%, #1D2C5A 75%, #00003E 75%, #00003E 80%, #1D2C5A 80%, #1D2C5A 85%, #00003E 85%, #00003E 90%, #1D2C5A 90%, #1D2C5A 95%, #00003E 95%);" {{{#ffffff '''칼럼 맥그리거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선수 #s-2|[[파일:PFA Scotland.jp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D2C5A; font-size: 0.8em;"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선수 #s-2|{{{#fff '''2021-22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선수'''}}}]]}}}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파일:PFA Scotland.jp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D2C5A; font-size: 0.9em;"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fff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 ||<-3>[[틀:2018-19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2018-19]] · [[틀:2021-22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2021-22]] · 2022-23 || || [[파일: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D2C5A; font-size: 0.9em;" {{{#fff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올해의 팀'''}}}}}} ||<-3>2018-19 · 2019-20 · 2021-22 · 2022-23 || ---- [include(틀:셀틱 FC/올해의 선수)]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23-24_Celtic.png|width=100%]]}}} || ||<-4> '''{{{#ffffff 셀틱 FC No. 4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018749 '''C'''}}}}}} || ||<-4> {{{#018749 {{{+1 '''칼럼 맥그리거[* McGregor의 영어 발음은 '맥그리거'가 아닌 '머그레거(/məˈɡrɛɡər/)'에 가깝다.]'''}}}[br]'''Callum McGregor'''}}} || ||<-2> {{{#ffffff '''풀네임'''}}} ||<-2>칼럼 윌리엄 맥그리거[br]Callum William McGregor || ||<|2><-2> {{{#ffffff '''출생'''}}} ||<-2>[[1993년]] [[6월 14일]] ([age(1993-06-14)]세) || ||<-2>[[영국]]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 ||<-2> {{{#ffffff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include(틀:국기, 국명=스코틀랜드)]) || ||<-2> {{{#ffffff '''신체 조건'''}}} ||<-2>178cm, 67kg || ||<|2><-2> {{{#ffffff '''등번호'''}}} ||[[셀틱 FC]] || '''42''' ||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8'''[* 유로 2020부터 사용한 등번호. 이전에는 주로 10번을 달았다.] || ||<-2> {{{#ffffff '''포지션'''}}} ||<-2>'''[[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 ||<-2> {{{#ffffff '''주발'''}}} ||<-2>왼발(양발)[* 오른발도 주발처럼 잘 쓰는 편으로 양발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 ||<|2> '''{{{#ffffff 소속}}}''' || '''{{{#ffffff 유스}}}''' ||<-2>[[셀틱 FC]] (2001~2013) || || '''{{{#ffffff 선수}}}''' ||<-2>'''[[셀틱 FC]] (2013~ )'''[br]'''{{{-1 → [[노츠 카운티 FC]] (2013~2014 / ^^임대^^)}}}''' || ||<-2> {{{#ffffff '''국가대표'''}}} ||<-2>58경기 3골[* 2023년 11월 20일 기준]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2017~ )^^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League Champions.jpg|width=100%]]}}} || [[스코틀랜드]] 국적의 [[셀틱 FC]] 소속 축구 선수. [[글래스고]]에서 태어난 로컬보이이며, 한 시즌 임대를 제외하면 유소년 시절부터 셀틱에서만 활약한 프랜차이즈 스타다. 뛰어난 실력을 가졌기에 많은 [[프리미어 리그]] 구단들이 그를 노렸지만 셀틱에 대한 높은 충성심을 보이며 팀에 잔류했고, 현재 셀틱팬들이 가장 사랑하는 선수가 되었다. 셀틱에서만 400경기 이상 뛴 레전드이며 클럽의 주장이다. == 클럽 경력 == === 프로 이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Youth.jpg|width=100%]]}}} || 맥그리거는 어린 시절부터 [[셀틱 FC 아카데미]]에서 성장했다. 2012년에 [[햄던 파크]]에서 열린 [[퀸 오브 더 사우스 FC]]와의 스코티시 유스컵 결승전에 출전해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팀은 8:0으로 승리하며 우승컵을 들어올렸으며,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스코티시 유스컵을 우승시키는 데 크게 일조했다. 맥그리거가 후에 밝히길 어린 시절, 팀의 레전드이자 당시 1군 코치와 유소년 담당이었던 [[타미 번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번스 역시 맥그리거가 나중에 대단한 선수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 [[셀틱 FC]]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1.jpg|width=100%]]}}} || ==== 2013-14 시즌 ==== ===== [[노츠 카운티 FC]] (임대)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Notts County_1.jpg|width=100%]]}}} || 맥그리거는 2013년 8월, 성인무대에 올라오자마자 잉글랜드 [[EFL 리그 원|풋볼리그 리그 1]]에 소속되어 있던 [[노츠 카운티 FC|노츠 카운티]]로 2014년 1월까지 임대이적했다. 당시 [[아스톤 빌라 FC|아스톤 빌라]]의 유망주였던 [[잭 그릴리쉬]]도 같은 시기에 임대이적했다. 8월 7일, [[플릿우드 타운 FC|플릿우드 타운]]와의 [[EFL컵|리그컵]] 경기에서 첫 출전했고, 데뷔골을 기록했다. 이어서 치러진 [[크루 알렉산드라 FC|크루 알렉산드라]]와의 리그 경기에서도 두 골을 집어넣으며 최고 출발을 했고, 2014년 1월까지 시즌 10골 가까이 기록하며 셀틱에서 미래가 어둡던 유망주가 빛을 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리그컵에서 미래에 스승과 제자로 만나게 되는 [[브렌던 로저스]]가 이끄는 [[리버풀 FC|리버풀]]을 만났다. [[스티븐 제라드]], [[라힘 스털링]] 그리고 [[다니엘 스터리지]]가 버티고 있는 리버풀과 치열한 접전을 펼쳤고, 연장 끝에 2:4로 아쉽게 패배했다. 노츠와 임대가 종료되는 2014년 1월에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울버햄튼 원더러스]]의 관심을 받기도 했지만 노츠 카운티와 임대 연장에 관한 협상에 들어갔고, 이 때문에 3경기 가량 결장했다. 1월 24일, 시즌 종료까지 노츠 카운티와 임대 계약을 연장했다. 임대 연장 발표가 나온 후 곧바로 [[월솔 FC|월솔]]과의 리그 경기에 투입되었고, 25야드 거리의 프리킥을 골로 연결시켰다. 맥그리거는 이 시즌에 모든 대회에서 14골을 기록했고, 팀 내 최다득점자였다. 당시 노츠 카운티의 감독이었던 숀 데리 감독은 "그와 함께 한 건 환상적이었다"라고 말했고, 맥그리거와 그릴리시가 없었다면 팀의 강등을 막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2014-15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14-15.jpg|width=100%]]}}} || 그는 2014년 여름에 셀틱으로 돌아와 바로 데뷔전을 치르게 되는데, [[KR 레이캬비크]]와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전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데뷔골까지 넣게 된다. 그리고 [[레기아 바르샤바]]와의 챔피언스리그 예선 [[NK 마리보르]]와의 [[UEFA 유로파 리그]] 예선에서도 골을 기록했다. 얼마 뒤 치러진 [[세인트 존스턴 FC|세인트 존스톤]]과의 [[스코티시 프리미어십|스코티시 프리미어 리그]] 개막전 경기에서도 골을 넣으며 그야말로 새로운 스타의 탄생을 알렸다. 이러한 활약에 그의 잠재력을 높게 산 셀틱은 맥그리거와 5년 재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 [[셀틱 FC/2016-17 시즌|2016-17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16-17_1.jpg|width=100%]]}}} || 맥그리거는 2017년 3월 19일, [[던디 유나이티드 FC|던디 유나이티드]]와의 경기에서 셀틱 통산 100번째 경기를 치르게 된다. 또한 16-17시즌 숙명의 라이벌 [[레인저스 FC|레인저스]]가 다시 1부리그로 복귀하게 됐는데 레인저스와의 두 번의 경기에서 모두 골을 넣으며, 각각 2:0, 5:1로 승리를 하는데 공헌을 한다. 그리고 맥그리거의 다재다능함을 느낄 수 있는 경기가 생기는데, 2016-17 시즌 [[스코티시컵]] 결승에서 왼쪽 풀백인 [[키어런 티어니]]가 부상을 당하자 맥그리거가 그 자리를 메꾸며 상대에게 빈틈을 주지 않는 경기를 보여주며 팀이 도메스틱 [[트레블]]을 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 [[셀틱 FC/2017-18 시즌|2017-18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17-18.jpg|width=100%]]}}} || 2017년 10월 31일, [[FC 바이에른 뮌헨]]과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경기에서 [[제임스 포레스트]]의 어시스트를 받아 자신의 챔피언스 리그 본선 첫 골을 기록했다. 팀은 1:2로 패배했다. 셀틱은 챔피언스리그 조별리그 단계에서 3위를 기록해 유로파리그에 진출했다.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와의 32강 1차전에서 골을 기록했다. 2018년 5월 19일, 스코티시컵 결승에서 선제골을 기록했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으로 셀틱은 2년 연속 도메스틱 트레블을 달성하게 되었고, 스코틀랜드 축구 역사상 처음 달성된 기록이다. ==== [[셀틱 FC/2018-19 시즌|2018-19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18-19.jpg|width=100%]]}}} || 2018년 12월, 셀틱과 2022-23시즌까지 재계약을 체결했다. 같은 달 [[히버니언 FC]]와의 리그 경기에서 그의 구단 통산 200번째 경기를 달성하게 되었다. 2019년 5월, 자신의 팀 동료인 [[제임스 포레스트]]와 함께 PFA 스코틀랜드 선수들이 뽑은 올해의 선수상 후보에 선정되었지만 수상에 실패했다. 그러나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맥그리거는 2018-19시즌 동안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경기에 출장한 선수가 되었다. 그는 이 시즌동안 모든 대회를 통들어 구단에서만 59경기를 뛰었고 국가대표 경기까지 포함하게 되면 한 시즌 동안 60경기 이상을 뛰었다. 그리고 셀틱은 이 시즌에도 도메스틱 트레블을 기록했다. ==== [[셀틱 FC/2019-20 시즌|2019-20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thode-times-prod-web-bin-071d0082-b986-11ea-84a6-a03a9956ea0a.jpg|width=100%]]}}} || 맥그리거는 이 시즌 동안 치러진 리그 30경기[* 코로나19로 인해 리그가 조기 종료되었다]에 모두 선발출장했고[* 단 26분만 그라운드에 없었다], 리그컵 4경기 그리고 스코티시컵 5경기[* 코로나19로 인해 스코티시컵도 준결승까지만 치러져 나머지 두경기는 2020-21 시즌 도중에 치러졌다]도 뛰었다. 맥그리거의 이러한 활약으로 4시즌 연속 도메스틱 트레블을 달성했다. 또한 14번의 유럽대항전 경기와 6번의 국가대표 경기도 치렀다. 이 시즌 동안 유럽에서 가장 많은 경기를 소화한 선수로 기록되었다. ==== [[셀틱 FC/2020-21 시즌|2020-21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20-21.jpg|width=100%]]}}} || 이 시즌엔 충격적으로 무관을 기록한 시즌이었고 [[레인저스 FC]]와의 [[올드 펌]]에서도 한 번도 승리하지 못했다. 부진한 시즌이었지만 맥그리거는 이 시즌에도 많은 경기를 소화했는데, 셀틱 소속으로 모든 대회를 통틀어서 49경기[* 4,256분]를 소화했고, [[UEFA 유로 2020]] 본선 3경기를 포함한 14번의 국가대표 경기도 소화했다. ==== [[셀틱 FC/2021-22 시즌|2021-22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21-22.jpg|width=100%]]}}} || 2021년 7월 19일, [[스콧 브라운]]이 떠나 약 한 달간 공석이었던 셀틱 주장 자리에 지난 시즌 부주장이었던 맥그리거가 선임되었다. 선임될 당시 맥그리거는 셀틱에서만 326경기를 소화했고, 53골과 14개의 트로피를 들어올린 상태였다. 맥그리거는 팀의 22번째 주장으로 선임되었고, 선임될 때 맥그리거는 "오늘이 나와 우리 가족들 그리고 나와 친분이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자랑스러운 날이 될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맥그리거를 주장으로 선임한 [[엔지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매우 쉬운 결정이었고, 최고의 결정이었다"라고 말했고, "내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주장이고,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능력이 있다"라고 덧붙였다. 7월 20일, [[FC 미트윌란]]과의 [[UEFA 챔피언스 리그]] 2차 예선 1경기에서 MOM에 선정되었다. 맥그리거는 이 25야드 거리에서 왼발 발리슛으로 골을 기록했다. 하지만 2경기에서 1:2로 패하며 다음 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9월 24일, 맥그리거는 셀틱과 2026년까지 5년 재계약을 체결했다. 12월 20일, [[스코티시 리그 컵]] 결승에서 [[히버니언 FC|히버니언]]을 꺾고, 자신의 15번째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이 경기에서 동점골을 어시스트하기도 했으며, 주장으로 정식 임명된 뒤 첫 우승컵 트로피를 들어올리게 되었다. 2022년 4월 26일, PFA 스코틀랜드가 선정한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5월 2일, 셀틱 선수들이 뽑은 올해의 선수와 셀틱 구단이 선정한 올해의 선수 그리고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선수에 선정되었다. 5월 12일, [[던디 유나이티드 FC]]와의 리그 37라운드에서 1:1 무승부를 거두며 리그 우승을 확정지었다. 주장이 된 후 첫 리그 우승 트로피이며 이번 시즌 2관왕이다. 5월 14일, [[머더웰 FC]]와의 리그 최종전을 6:0 대승으로 마무리하며 우승 셀레브레이션을 진행했고, 주장으로서 트로피를 높이 들어올렸다. 6월 9일,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 [[셀틱 FC/2022-23 시즌|2022-23 시즌]]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22-23.jpg|width=100%]]}}} || 2022년 8월 1일, 셀틱은 전 시즌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디펜딩 챔피언이기 때문에 [[애버딘 FC|애버딘]]과의 개막 경기 시작 전에 플래그 데이가 열려 맥그리거가 주장으로서 챔피언 깃발을 게양했다. 이날 맥그리거는 선발출장했고, 팀의 2:0 승리에 기여했다. 9월 1일, [[로스 카운티 FC|로스 카운티]]와의 [[스코티시 리그컵]] 16강전에 선발출장해 전반 21분에 [[데이비드 턴불]]의 도움을 받아 시즌 첫 골을 기록했다. 팀은 4:1로 대승을 거두었다. 9월 7일, [[레알 마드리드 CF|레알 마드리드]]와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1차전에 선발출장했다. 이 경기에서 전반전에 골대를 한 차례 맞추었고, 몇 차례 패스 미스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경기운영을 펼쳤다. 팀은 0:3으로 패배했으나, 맥그리거는 중원에서 좋은 플레이를 했다. 10월 1일, [[머더웰 FC|머더웰]]과의 리그 9라운드 경기에 선발출장 해 좋은 경기를 펼쳤으나, 후반 막판에 상대의 유망한 골 찬스 상황에서 반칙을 범해 다이렉트 퇴장을 당하며 시즌 첫 퇴장을 당했다. 2020-21 시즌 이후 첫 퇴장이다. 팀은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이 퇴장으로 리그 1경기 출장정지 징계를 받았다. 10월 6일, [[RB 라이프치히]]와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3차전에 선발출장했다. 전반 내내 좋은 경기 조율 능력을 보여주었지만, 전반 27분에 맥그리거의 턴오버로 인해 선제골을 내주는 아쉬운 장면이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경기장 잔디로 인해 무릎이 꺾이는 장면이 나왔고, 이 때문에 전반 37분 만에 교체아웃되었다. 10월 8일, [[세인트 존스톤 FC|세인트 존스톤]]과의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10라운드 경기 시작 전에 있었던 [[엔지 포스테코글루]]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맥그리거가 챔피언스리그에서 당한 부상으로 인해 11월에 열리는 월드컵 이후에 복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12월 17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 카타르 월드컵]] 이후 처음으로 열린 [[애버딘 FC|애버딘]]과의 리그 17라운드 경기에서 부상 이후 2개월 만에 복귀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애버딘이 우주방어를 하며 좀처럼 선제골을 만들어내지 못하던 셀틱이었지만, 87분에 맥그리거가 환상적인 왼발 중거리슛으로 선제골을 기록했다. 이 골로 셀틱은 1:0 승리를 거두었다. 2023년 1월 30일, [[던디 유나이티드 FC|던디 유나이티드]] 리그 23라운드 경기에서 선발출장했다. 이 경기를 통해 셀틱 통산 400번째 경기를 치르게 되었고, 팀은 2:0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2월 19일, [[애버딘 FC|애버딘]]과의 리그 26라운드 경기에서 선발출장해 전반 2분 만에 낮게 깔리는 왼발 중거리 슛으로 선제골을 만들어냈다. 팀은 4:0 대승을 거두었다. 2월 27일, [[스코티시 리그컵]] 결승에서 숙명의 라이벌인 [[레인저스 FC|레인저스]]를 2:1로 꺾고 리그컵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주장으로 임명된 후 세번째 트로피이며, 리그컵 2연패를 달성했다. 4월 23일, [[머더웰 FC|머더웰]]과의 정규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선발출장해 전반 24분에 [[이와타 토모키]]의 어시스트를 받아 오랜만에 골을 기록했다. 그러나 팀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맥그리거는 이날 MOM에 선정되었다. 5월 9일,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5월 20일, [[세인트 미렌 FC|세인트 미렌]]과의 리그 36라운드 경기에서 선발출장해 81분에 2:2를 만드는 동점골을 기록했으나, 팀은 추가골을 기록하지 못하며 무승부를 기록했다. 6월 4일, [[인버네스 캘리도니언 시슬 FC|인버네스 CT]]와의 [[스코티시컵]] 결승에서 [[리엘 아바다]]의 골을 어시스트하며 팀의 3:1 승리에 기여했다. 셀틱은 이 승리로 세 시즌 만에 도메스틱 트레블을 달성했다. 통산 8번째이며 세계 기록이다. 6월 13일,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 [[셀틱 FC/2023-24 시즌|2023-24 시즌]] ==== 2023년 7월 10일, 셀틱과 5년 재계약을 체결했다.[[https://www.celticfc.com/news/2023/july/10/callum-mcgregor-pens-new-five-year-deal/|#]] 9월 16일, [[던디 FC|던디]]와의 리그 5라운드 경기에서 선발출장 해 1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시즌 첫 공격포인트를 기록했다. 팀은 3:0 대승을 거두었다. 9월 30일, [[머더웰 FC|머더웰]]과의 리그 7라운드 경기에서 선발출장했고, 88분에 터진 [[루이스 팔마]]의 골을 어시스트했다. 팀은 [[맷 오라일리]]의 극적인 역전골에 힘입어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10월 7일, [[킬마녹 FC|킬마녹]]과의 리그 8라운드 경기에서 [[하타테 레오]]의 골을 어시스트하며 팀의 3:1 승리에 기여했다. 11월 4일, [[로스 카운티 FC|로스 카운티]]와의 리그 12라운드 경기에서 선발출장해 [[루이스 팔마]]의 골을 어시스트했고 팀의 3:0 승리에 기여했다. 12월 3일, [[세인트 존스톤 FC|세인트 존스톤]]과의 리그 15라운드 경기에서 선발출장해 팀이 0:1로 끌려가던 67분에 상대 수비가 걷어낸 볼을 환상적인 왼발 하프발리 골로 동점을 만들어냈고, 팀의 3:1 역전승에 크게 기여했다. 12월 7일, [[히버니언 FC|히버니언]]과의 리그 16라운드 경기에서 오랜만에 메짤라로 선발출장했다. 기존 홀딩 미드필더 위치에서 뛰었기에 공격적으로 제한된 모습을 보였지만, 지속적으로 공격에 관여하고 중앙에서 밸런스를 잡아줘 과거에 보여줬던 박투박 스타일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55분, [[오현규]]의 멀티골을 어시스트하며 공격포인트를 기록했고, 82분에 [[파울루 베르나르두]]와 교체되며 그라운드를 빠져나왔다. 팀은 4:1로 승리를 거두었다. == 국가대표 경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allum McGregor_Scotland.jpg|width=100%]]}}} || 맥그리거는 2014년 8월에 처음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에 합류하게 된다. 그 이후 한동안 국가대표팀에 합류하지 못하다가 2017년 10월,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와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베니아]]와의 [[2018 러시아 월드컵]] 예선 명단에 포함되면서 국가대표에 재승선 했지만 두 경기 모두 벤치에 머물렀다. 그리고 마침내 2017년 11월 9일에 열린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와의 친선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르게 된다. 이후에도 맥그리거는 매번 국가대표팀에 뽑히며 [[존 맥긴]], [[스콧 맥토미니]] 등과 함께 중원 조합을 이루며 국가대표팀을 이끌고 있다. 스코틀랜드가 [[유로 2020]] 본선에 진출하면서 첫 국가대표 메이저 대회를 참가하게 되었다. 첫 경기였던 [[체코 축구 국가대표팀|체코]]와의 경기에서 2대0으로 지고 있던 67분경 교체출전했고, 유로 데뷔전을 치르게 된다. 2차전인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선 선발출전해 [[빌리 길모어]]와 함께 잉글랜드의 공격을 잘 저지했고 풀타임 출전하며 팀의 0대0 무승부에 기여했다. 3차전인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와의 경기에서 전반 42분에 오른발 중거리 슛으로 동점골을 만들어냈다. 이 골은 스코틀랜드의 해당 대회 첫 골이자 맥그리거의 국가대표 데뷔골이었다. 이후 중원에서 [[빌리 길모어]]의 자리까지 메꾸며 중원에서 잘 조율했지만 팀은 1대3으로 패배하며 1무 2패라는 성적으로 대회를 마감했다. 2022년 6월 2일, 맥그리거는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의 [[햄든 파크]]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와의 2022 카타르 월드컵 유럽지역예선 플레이오프 준결승에서 0:2로 끌려가던 중 만회골을 기록했지만 팀은 막판에 추가실점을 하면서 1:3으로 패배하였다. 2023년 3월 25일, [[키프로스 축구 국가대표팀|키프로스]]와의 유로 2024 지역예선 첫 경기에서 선발출장했다. 이 경기 출장으로 A매치 50번째 경기를 달성했고,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공로자 명단]]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이날 스코틀랜드는 3:0으로 승리를 거두었고, 맥그리거는 MOM에 선정되었다. 6월 21일,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조지아]]와의 [[UEFA 유로 2024/예선|유로 2024 예선]] 4차전에서 전반 6분에 코너킥 찬스에서 나온 세컨드볼을 오른발로 강하게 슈팅해 선제골을 만들어냈다. 팀은 2:0으로 승리했다. == 플레이 스타일 == 뛰어난 체력을 잘 활용해 엄청나게 많은 활동량을 경기 내내 가져가는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로, 많이 움직이면서 공을 받아주고 다시 내주면서 공격이 원활하게 전개되게 만드는 역할을 맡는다. 또한 3선으로 내려와 중원에서 전방으로 길게 뿌려주는 패스의 퀄리티도 나쁘지 않는 선수다. 팀의 주장을 역임할 만큼, 전반적인 멘탈리티도 좋은 편. 다만, 좋은 전개력에 비해 발밑이 투박한 편이고 수비력에 있어서는 아쉬운 모습을 보인다. == 기록 == === 클럽 기록 === '''* 2023년 12월 17일 기준''' ||<|2> {{{#fff '''시즌''' }}} ||<|2> {{{#fff '''팀''' }}} ||<|2> {{{#fff '''소속 리그''' }}} ||<-3> {{{#fff '''리그''' }}} ||<-3> {{{#fff '''국내 컵''' }}} ||<-3> {{{#fff '''리그 컵''' }}} ||<-3> {{{#fff '''유럽 대항전''' }}} ||<-3> {{{#fff '''기타''' }}}[* [[EFL 트로피]]] ||<-3> {{{#fff '''총합''' }}} || || {{{#000 '''경기''' }}} || {{{#000 '''골''' }}} || {{{#000 '''도움''' }}} || {{{#000 '''경기''' }}} || {{{#000 '''골''' }}} || {{{#000 '''도움''' }}} || {{{#000 '''경기''' }}} || {{{#000 '''골''' }}} || {{{#000 '''도움''' }}} || {{{#000 '''경기''' }}} || {{{#000 '''골''' }}} || {{{#000 '''도움''' }}} || {{{#000 '''경기''' }}} || {{{#000 '''골''' }}} || {{{#000 '''도움''' }}} || {{{#000 '''경기''' }}} || {{{#000 '''골''' }}} || {{{#000 '''도움''' }}} || || 13-14 || [[노츠 카운티 FC]][br](임대) || [[EFL 리그 원|리그 원]] || 37 || 12 || 0 || 1 || 0 || 0 || 2 || 1 || 1 || - || - || - || 1 || 1 || 0 || 41 || 14 || 1 || || 1시즌 ||<-2> '''합계''' || '''37''' || '''12''' || '''0''' || '''1''' || '''0''' || '''0''' || '''2''' || '''1''' || '''1''' || '''-''' || '''-''' || '''-''' || '''1''' || '''1''' || '''0''' || '''41''' || '''14''' || '''1''' || ||<|2> {{{#fff '''시즌''' }}} ||<|2> {{{#fff '''팀''' }}} ||<|2> {{{#fff '''소속 리그''' }}} ||<-3> {{{#fff '''리그''' }}} ||<-3> {{{#fff '''국내 컵''' }}} ||<-3> {{{#fff '''리그 컵''' }}} ||<-3> {{{#fff '''유럽 대항전''' }}}[*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리그]] 예선 포함] ||<-3> {{{#fff '''기타''' }}} ||<-3> {{{#fff '''총합''' }}} || || {{{#018749 '''경기''' }}} || {{{#018749 '''골''' }}} || {{{#018749 '''도움''' }}} || {{{#018749 '''경기''' }}} || {{{#018749 '''골''' }}} || {{{#018749 '''도움''' }}} || {{{#018749 '''경기''' }}} || {{{#018749 '''골''' }}} || {{{#018749 '''도움''' }}} || {{{#018749 '''경기''' }}} || {{{#018749 '''골''' }}} || {{{#018749 '''도움''' }}} || {{{#018749 '''경기''' }}} || {{{#018749 '''골''' }}} || {{{#018749 '''도움''' }}} || {{{#018749 '''경기''' }}} || {{{#018749 '''골''' }}} || {{{#018749 '''도움''' }}} || || 14-15 ||<|10> [[셀틱 FC]] ||<|10>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 18 || 2 || 2 || - || - || - || 2 || 0 || 0 || 11 || 3 || 1 || - || - || - || 31 || 5 || 3 || || 15-16 || 27 || 4 || 6 || 3 || 1 || 1 || 2 || 0 || 1 || 2 || 1 || 0 || - || - || - || 34 || 6 || 8 || || 16-17 || 31 || 6 || 7 || 4 || 1 || 1 || 2 || 0 || 2 || 9 || 0 || 1 || - || - || - || 46 || 7 || 11 || || 17-18 || 36 || 7 || 4 || 5 || 2 || 2 || 4 || 1 || 1 || 10 || 2 || 1 || - || - || - || 55 || 12 || 8 || || 18-19 || 35 || 3 || 14 || 4 || 0 || 1 || 4 || 0 || 0 || 16 || 3 || 1 || - || - || - || 59 || 6 || 16 || || 19-20 || 30 || 9 || 7 || 4 || 1 || 0 || 4 || 1 || 0 || 14 || 2 || 3 || - || - || - || 52 || 13 || 10 || || 20-21 || 37 || 3 || 7 || 1 || 0 || 0 || 1 || 0 || 0 || 10 || 1 || 0 || - || - || - || 49 || 4 || 7 || || 21-22 || 33 || 2 || 2 || 3 || 1 || 1 || 3 || 0 || 1 || 13 || 1 || 1 || - || - || - || 52 || 4 || 5 || || 22-23 || 31 || 4 || 0 || 5 || 0 || 1 || 3 || 1 || 0 || 3 || 0 || 0 || - || - || - || 42 || 5 || 1 || || 23-24 || 17 || 1 || 5 || - || - || - || 1 || 0 || 0 || 6 || 0 || 0 || - || - || - || 24 || 1 || 5 || || 10시즌 ||<-2> '''합계''' || '''295''' || '''41''' || '''54''' || '''29''' || '''6''' || '''7''' || '''26''' || '''3''' || '''5''' || '''94''' || '''13''' || '''8''' || '''-''' || '''-''' || '''-''' || '''444''' || '''63''' || '''74''' || || '''11시즌''' ||<-2> '''통산''' || '''332''' || '''53''' || '''54''' || '''30''' || '''6''' || '''7''' || '''28''' || '''4''' || '''6''' || '''94''' || '''13''' || '''8''' || '''1''' || '''1''' || '''0''' || '''485''' || '''77''' || '''75''' || === 국가대표 기록 === '''* 2023년 11월 20일 기준''' * '''출전 기록''' || '''{{{#ffffff 소속 대표팀}}}''' || '''{{{#ffffff 연도}}}''' || '''{{{#ffffff 경기}}}''' || '''{{{#ffffff 득점}}}''' || ||<|7>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2017 || 1 || 0 || || 2018 || 8 || 0 || || 2019 || 10 || 0 || || 2020 || 7 || 0 || || 2021 || 15 || 1 || || 2022 || 8 || 1 || || 2023 || 9 || 1 || * '''득점 기록''' || {{{#ffffff '''날짜''' }}} || {{{#ffffff '''장소''' }}} || {{{#ffffff '''상대팀''' }}} || {{{#ffffff '''결과''' }}} || {{{#ffffff '''대회명''' }}} || || 2021.6.23 || [include(틀:국기, 국명=스코틀랜드, 출력= )] [[글래스고]] || [include(틀:국기, 국명=크로아티아, 출력= )]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 || 1:3 패 || [[UEFA 유로 2020|유로 2020]] || || 2022.6.2 || [include(틀:국기, 국명=스코틀랜드, 출력= )] [[글래스고]] ||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출력= )]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 1:3 패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플레이오프|2022 카타르 월드컵 유럽예선 플레이오프]] || || 2023.6.21 || [include(틀:국기, 국명=스코틀랜드, 출력= )] [[글래스고]] || [include(틀:국기, 국명=조지아, 출력= )] [[조지아 축구 국가대표팀|조지아]] || 2:0 승 || [[UEFA 유로 2024/예선 |유로 2024 예선]] || === 수상 === ==== 대회 기록 ==== * [[셀틱 FC]] (2013~ )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1-22, 2022-23 * [[스코티시컵]]: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2-23 * [[스코티시 리그컵]]: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1-22, 2022-23 ==== 개인 수상 ==== *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선수]]: 2021-22 *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 2018-19, 2021-22, 2022-23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올해의 팀]]: 2018-19, 2019-20, 2021-22, 2022-23 * [[틀:셀틱 FC/올해의 선수|셀틱 FC 올해의 선수]]: 2018-19, 2021-22 * [[셀틱 FC]] 선수들이 뽑은 올해의 선수: 2021-22 *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공로자 명단]]: 2023 == 여담 == * 이스터하우스에 있는 로켄드 커뮤니티 고등학교 학생이었다. * 2016년 2월, 음주운전 혐의로 기소된 적이 있다. 이 때문에 1년간 면허 정지 처분을 받았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셀틱 FC)] ---- [include(틀: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include(틀: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UEFA 유로 2020))] [[분류:1993년 출생]][[분류:2013년 데뷔]][[분류:스코틀랜드의 축구선수]][[분류:셀틱 FC/현역]][[분류:노츠 카운티 FC/은퇴, 이적]][[분류:스코틀랜드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20 참가 선수]][[분류:글래스고 출신 인물]][[분류:축구 주장]][[분류:미드필더]][[분류:중앙 미드필더]][[분류:수비형 미드필더]][[분류:원클럽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