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칼브럭, 칼블럭, 칼부록 [[영어]] wall plug (영국식)[* 미국에서는 벽면의 전원 아울렛(콘센트)의 뜻으로 쓰인다.], rawlplug[* 원래는 고유명사인 상표였다.], screw anchor [[일본어]] カールプラグ, コンクリートプラグ, オールプラグ [[중국어]] 壁塞[bìsāi], 胀钉[zhàngdīng] ||[[파일:carl_plug.jpg|width=250]]||[[파일:칼브럭 원리.gif]]|| || ||<:>칼브럭 작동 원리|| [목차] == 개요 == 콘크리트, 벽돌, 블럭 등에 나사못(피스)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플라스틱 못집. 위 재료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나서, 맞는 사이즈의 칼브럭을 박아 넣은 다음 나사못을 조이면 나사못과 재료 사이에서 팽창[* 이 까닭에 expansion plug/anchor라고도 부르고, 중국어의 胀钉은 '부푸는 못'의 뜻이다.]하면서 단단하게 고정된다. 칼브럭이 쓰이기 전에는 나뭇조각을 구멍에 채워서 썼는데 지금도 칼브럭이 없다면 이 방법을 쓸 수 있다. 다만 욕실이나 옥외처럼 습기에 노출되는 장소에서는 오래되면 나무가 삭아 부스러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역사 == 1911년에 John Joseph Rawlings이라는 영국 사람이 발명하여 Rawlplug라는 상표로 판매한 것이 시초이다. == 명칭 및 어원 == Carl Plug 넓은 의미로는 anchor(앵커/앙카)에 속하지만, 보통 앵커는 앵커볼트와 함께 중량물을 고정하는 데 쓰이는 금속제를 가리키고, 칼브럭은 경량물 고정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제품을 가리킨다. 칼브럭은 칼블럭, 칼부록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는데 이 때문에 ‘브럭/블럭’을 block으로 오해[* 칼브럭에 관한 특허출원을 하면서 영문 번역을 calblock으로 한 것도 있다. Calblock은 물 속의 칼슘 이온을 제거해 연수화하는 제품, 또는 칼슘 채널 차단제(의약품)의 상표명으로 칼브럭과 무관하다. ~~이 특허출원은 심사에서 거절되었다.~~]하기도 하지만 실은 '''plug(플러그)'''에서 온 말이다. 일본말 [[http://web.archive.org/web/20150129021351/http://ono-machine.co.jp/carl01.html|カールプラグ(카루푸라구, Carl plug, 칼 플러그)]]가 어원이다.[* 원래는 납을 포함한 합금으로 만들어져 나무못을 박는데 사용되는 특정한 용도의 상품명이지만, 현재는 칼브럭을 가리키는 보통명사처럼 쓰이기도 한다.] == 기타 == 최근에는 콘크리트나 블럭, 벽돌에 칼브럭 없이 바로 박을 수 있는 [[피스#s-6|피스]] 제품도 출시되어 있다. 나사산이 일반 피스보다 높고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서 직접 콘크리트를 파고들어 고정력을 확보하는 원리다. 코브라탭(CobraTab)이라는 제품이 대표적이다. [[분류:공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