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캄프토사우루스}}}[br]Camptosaurus}}}'''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amptosaurus_dispar_skeleton.jpg|width=100%]] || ||<#F93> '''학명''' || ''' ''Camptosaurus dispar'' '''[br][[오스니얼 찰스 마시|Marsh]], 1879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조반목]]^^Ornithischia^^|| || '''아목''' ||†각각아목^^Cerapoda^^|| || '''하목''' ||†조각하목^^Ornithopoda^^|| || '''계통군''' ||†안킬로폴렉시아^^Ankylopollex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캄프토사우루스과^^Camptosaur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캄프토사우루스속^^''Camptosaur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캄프토사우루스 디스파르(''C. dispar'')^^{{{-1 [[모식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amptosaurus.jpg|width=500]] 복원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amptoSkull.jpg|width=500]] 두개골 화석 [목차] == 개요 == [[중생대]]의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던 [[조각류]] [[공룡]]으로 화석은 [[미국]]의 [[모리슨층]]에서 발견되었다. 속명은 '구부러진 도마뱀'이라는 뜻인데, 명명 당시 척추엉치뼈가 매우 유연하게 움직였을 것으로 추정했기 때문.[* 때문에 당초 [[오스니얼 찰스 마시]]가 붙여준 학명은 '구부러진 등'이라는 뜻의 캄프토노투스(''Camptonotus'')였으나, 이 학명은 어느 [[귀뚜라미]]종이 선점하고 있었음이 밝혀져 재명명되었다.] == 연구사 == 1879년 9월 4일 와이오밍에서 첫 번째 표본이 발견된 이래 미국과 유럽에서 수많은 캄프토사우루스의 화석들이 연달아 발견되고 추가적인 종들이 명명되었다. 하지만 이들 중 대부분은 모식종에 통합되거나 우테오돈, 쿰노리아, 테이오피탈리아, 오스마카사우루스, 칼로보사우루스 등의 별개의 속으로 독립되어서 현재는 모식종인 디스파르 종 하나만이 유효하다. 몸길이 최소 5m에 몸무게 최소 500kg[* Paul, G.S., 2010,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84]으로 뼈가 굵고 앞다리는 뒷다리보다 짧으며 삼각형 두개골의 끝에 붙은 뽀족한 부리 모양의 입에는 [[이빨]]이 없었는데 이빨은 입 안쪽에 빽빽하게 나있어서 먹이를 잘 으깨기 적합했었다. 중앙능선과 모서리의 치상돌기들은 드리오사우루스의 것과 비슷했지만 보다 더 발달한 상태였다. 또한 이빨이 매우 마모되어 있었기 때문에 매우 질기고 거친 식물들을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숨쉬기 위해 식사를 중단해야 했던 조상들과 달리 캄프토사우루스는 길고 단단한 구개가 입천장에 붙어 있어서 호흡과 식사를 동시에 할 수 있었다. 캄프토사우루스는 견고한 뒷다리와 넓은 발을 가졌던 육중한 조각류로, 아직 네 번째 발가락을 유지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생김새가 [[이구아노돈]]과 비슷하지만 이구아노돈과 달리 뒷발가락이 4개나 달려있으며, 사족보행보다는 주로 이족보행을 했을 것으로 보이며, 근연종들의 신체 구조를 분석한 결과 최대 시속 25km까지 속도를 낼 수 있었을 것이다.[* 사람과 비슷한 달리기 속도다. 물론 훈련한 사람만 해당되며 일반인은 시속 20km도 나오기 힘들다.] == 대중 매체 == [[파일:external/2a26add9394384d8dd508e5343ec6fddebbbe943546ef1055c44bca67fd77770.jpg|width=500]] 공룡 관련 서적에서 자주 소개된 것과 달리 대중매체에서의 출현은 적은 편이다. [[BBC]]의 [[다큐멘터리]] [[Planet Dinosaur]]에서 본격적으로 출현하였으며, 작중에서는 실제 크기보다 작고 아담하게 나온다. 화석 증거를 바탕으로 [[스테고사우루스]] 무리와 함께 지내는 모습으로 복원되었는데 후반부 에피소드에서 무리와 떨어진 두 마리가 알로사우루스에게 쫓기다가 한 마리는 [[알로사우루스]]에게 잡아먹힌다. [[쥬라기 공원]] 소설에서도 언급되는데, '''백악기에 살던 공룡으로 왜곡당한다(...).'''[* 사실 왜곡이라 하기 좀 그런게, 소설이 나온 당시에는 캄프토사우루스가 쥐라기 후기, 백악기 전기에 걸쳐 살았다고 여겨 졌었다. 벨로시랩터의 경우처럼 시대적 한계라고 봐야 할 것이다.] 초등과학만화 Why? 시리즈에서도 출연한 적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케라토사우루스]]와 함께 출연하였다. 그것도 케라토사우루스의 먹이로만 출연했는데 이것 때문에 캄프토사우루스의 주된 천적이 케라토사우루스라는 인식이 초등학생들 사이에 퍼져나갔다고 한다.[* 실제로도 캄프토사우루스는 케라토사우루스가 사냥하기에 적당한 크기였다. 물론 케라토사우루스가 정말 캄프토사우루스를 유난히 선호했는지는 알 수 없다.] [[분류:캄프토사우루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