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ff>[[파일:1280px-Rugby_Canada_logo.png|width=100%]]|| ||<-2>
<#d80621> '''{{{+1 캐나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2><#fff> '''{{{#d80621 Canada national rugby union team}}}'''[br] {{{#d80621 '''Équipe du Canada de rugby à XV'''}}} || || '''별칭''' ||'''Canucks''', '''Les Rouges'''[* The Reds] || || '''소속단체''' ||[[럭비 캐나다]] || || '''감독'''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25]] 킹슬리 존스 (Kingsley Jones) || || '''주장''' ||루카스 럼볼 (Lucas Rumball) || || '''최다 출전자''' ||애런 카펜터 (Aaron Carpenter) 80회 || || '''최다 득점자''' ||제임스 프리처드 (James Pritchard) 607득점 || || '''최다 트라이''' ||[[DTH 반더머버]] (DTH van der Merwe) 38회 || || '''홈 구장''' || - || || '''첫 국제경기''' ||VS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일본]] (8:9 패), 1932년 1월 31일 || || '''최다 점수차 승''' ||VS 바베이도스 (69:3 승), 2006년 6월 24일 || || '''최다 점수차 패''' ||VS [[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잉글랜드]] (0:70 패), 2004년 11월 13일 || || '''[[럭비 월드컵]]''' ||9회 출전, 최고 기록 8강(1991) || || '''[[월드 럭비 랭킹]]''' ||최고 '''11위'''^^(2011)^^ / 최저 '''24위'''^^(2017)^^ || || '''역대 전적''' ||290전 113승 6무 171패 (39.0%)[* 2022년 11월 20일 기준, [[https://en.wikipedia.org/wiki/Canada_national_rugby_union_team#Overall|출처]]] || [목차] [clearfix] == 개요 == [[캐나다]]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2010년대 초반엔 랭킹 11~14위 사이에 있었으나 현재는 서서히 내리막을 걸으며 20위 밖으로 떨어진 상황이다. 심지어 2022년엔 처음으로 [[칠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칠레]]에게 져 럭비 월드컵 예선에서 탈락했다. 의외로 아마추어 시대에는 상당한 강호였다. 1983년부터 2002년까지 1티어 국가에 대해 7번 승리를 거뒀는데, 그중에 가장 놀라운 것은 1993년 [[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웨일스]]를 상대로 26:24 승리를 거두었다. 그것도 어웨이인 [[카디프 암스 파크]]에서. 이듬해 1994년엔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프랑스]]마저 18:16으로 꺾었다. 참고로 '''1993년엔 프랑스가, 1994년엔 웨일스가 [[식스 네이션스]]에서 우승한 해다.''' 둘 다 한창 잘했을 시기였던 것. == 역대 감독 == 감독별 전적은 확인할 수 없다. || '''이름''' || '''기간''' || ||잭 터윗 || 1932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맥스 하웰 || 1959 || ||버즈 무어 || 1962 || ||켄 뱅크스 || 1966 || ||조지 세이나스 || 1967 || ||딕 엘리스 || 167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맥스 하웰 || 1971 || ||조지 카슨 || 1973~1974 || ||돈 스펜스 || 1976~1978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브루스 하우 || 1979~1982 || ||틸먼 브릭스 || 1983~1984 || ||배리 레흐 || 1985 || ||개리 존스턴 || 1985~1989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이안 버트웰 || 1989~1996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 패트릭 파프리 || 1996~1999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데이비드 클라크 || 2000~2001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5]] 이안 버트웰 (임시) || 2001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데이비드 클라크 || 2001~2003 || ||릭 서지트 || 2004~2007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키어런 크롤리]] || 2008~2015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프랑수아 라티에 (임시) || 2016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5]] 마크 앤스컴 || 2016~2017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25]] '''킹슬리 존스''' || 2017~ || 킹슬리 존스는 2003년부터 [[돈커스터 나이츠]] 수석 코치를 시작으로 [[세일 샤크스]], [[러시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러시아]], [[드래곤스]] 감독을 맡은 경력이 있다. == 역대 전적 == === 주요 대회 성적 === ||<-4> '''[[럭비 월드컵|{{{#fff 럭비 월드컵}}}]]''' || || '''연도''' || '''개최국''' || '''최종 순위''' || '''비고''' || || [[1987 럭비 월드컵|1987]]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br][[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 조별리그 ||조 3위 || || [[1991 럭비 월드컵|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br][[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br][[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br][[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8강 ||8강전 vs 뉴질랜드(13:29) || || [[1995 럭비 월드컵|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공 || 조별리그 ||조 3위 || || [[1999 럭비 월드컵|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 조별리그 ||조 3위 || || [[2003 럭비 월드컵|2003]]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 조별리그 ||조 4위 || || [[2007 럭비 월드컵|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조별리그 ||조 5위 || || [[2011 럭비 월드컵|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 조별리그 ||조 4위 || || [[2015 럭비 월드컵|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 조별리그 ||조별리그 4전 전패 || || [[2019 럭비 월드컵|2019]]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 조별리그 ||조별리그 3전 전패[* [[나미비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나미비아]]와의 경기가 취소되어 무승부 처리되었다. 득실차에 의해 조 5위.] || || [[2023 럭비 월드컵|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 --예선 탈락-- ||북미 2위 || [[나미비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나미비아]] 같은 농어촌 전형까지는 아니어도 예선의 구조상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미국]]만 제끼면 바로 본선 진출이 가능한 최고의 꿀 자리다[* 아시아는 1.5장이던 시절 예선이 4경기, 아프리카와 유럽은 5경기 이상이다.]. 고작 홈&어웨이 2경기로 본선 진출이면 고속도로가 닦여 있는 수준이다. 비록 미국에게 진다고 아메리카 플레이오프는 한참 아래인 우루과이고, 대륙간 최종전에 가면 더 못하는 팀들밖에 없다. 그 덕에 1987년부터 2019년까지 꾸준히 본선에 진출했고 1991년엔 8강에 진출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상술했듯 [[2023 럭비 월드컵]]엔 처음으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우루과이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우루과이]]와 [[칠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칠레]]의 실력이 상상 이상으로 좋아진 것이 화근. ||<-7> '''[[아메리카스 럭비 챔피언십|{{{#fff 아메리카스 럭비 챔피언십}}}]]''' {{{#fff (2016 ~ )}}} || || '''참가국''' || '''우승'''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XV || 2회 || 20전 || 17승 || 2무 || 1패 || 85%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 2회 || 20전 || 14승 || 2무 || 4패 || 70%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우루과이 || || 20전 || 13승 || || 7패 || 65%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캐나다 || || 20전 || 7승 || || 13패 || 35%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브라질 || || 20전 || 6승 || || 14패 || 30%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칠레 || || 20전 || 1승 || || 19패 || 5% || 2009년 자국의 클럽팀 BC 베어스와 온타리오 블루스를 참가시켰고, 2010년부터 2014년까지는 2군 대표팀을 보냈다. 2016년부터 아르헨티나를 제외한 모든 나라가 최상위 팀을 참가시키며 [[테스트 매치]]로 칠 수 있는 대회가 되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2015 럭비 월드컵]] 이후 조금씩 내리막을 걸으며 이렇다할 성적은 내지 못했다. === 국가별 상대전적 === || '''상대국'''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7전 || || || 7패 || 0%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30]] [[뉴질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뉴질랜드]] || 6전 || || || 6패 || 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호주]] || 6전 || || || 6패 || 0% || ||[[파일:사모아 국기.svg|width=30]] [[사모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사모아]] || 6전 || || || 6패 || 0%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남아공]] || 3전 || || || 3패 || 0% || ||[[파일:IRFU 로고.png|width=30]]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아일랜드]] || 8전 || || 1무 || 7패 || 0% || ||[[파일:웨일스 국기.svg|width=30]] [[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웨일스]] || 13전 || 1승 || || 12패 || 7.7%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프랑스]] || 9전 || 1승 || || 8패 || 11.1%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10전 || 2승 || || 8패 || 20%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30]] [[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스코틀랜드]] || 5전 || 1승 || || 4패 || 20% || ||[[파일:피지 국기.svg|width=30]] [[피지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피지]] || 12전 || 3승 || || 9패 || 25%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루마니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루마니아]] || 8전 || 2승 || || 6패 || 25% ||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일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일본]] || 25전 || 8승 || 2무 || 15패 || 32%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 9전 || 3승 || || 6패 || 33.3%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30]] [[조지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조지아]] || 7전 || 3승 || || 4패 || 42.9%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브라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브라질]] || 4전 || 2승 || || 2패 || 50% || ||[[파일:통가 국기.svg|width=30]] [[통가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통가]] || 9전 || 5승 || || 4패 || 55.6%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미국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미국]] || 65전 || 39승 || 2무 || 24패 || 60%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우루과이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우루과이]] || 13전 || 8승 || || 5패 || 61.5% || ||[[파일:나미비아 국기.svg|width=30]] [[나미비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나미비아]] || 3전 || 2승 || || 1패 || 66.7%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스페인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스페인]] || 3전 || 2승 || || 1패 || 66.7%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포르투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포르투갈]] || 5전 || 4승 || || 1패 || 80%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러시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러시아]] || 5전 || 4승 || || 1패 || 80%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30]] [[홍콩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홍콩]] || 7전 || 6승 || || 1패 || 85.7%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칠레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칠레]] || 9전 || 8승 || || 1패 || 88.9% || ||[[파일: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 로고.svg|width=30]] [[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B&I 라이언스]] || 1전 || || || 1패 || 0% || || 그외[* 바베이도스 [[벨기에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벨기에]] [[독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독일]] [[케냐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케냐]] [[네덜란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네덜란드]]] || 5전 || 5승 || || || 100% || == 개인 기록 == || '''타이틀''' || '''이름''' || '''포지션''' || '''기록''' || '''기간/시점''' || '''비고''' || ||최다 출전 || 애런 카펜터 || No.8 || 80회 || 2005~2017 || ||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 앨 차론 || 플랭커 || 25회 || 1996~2003 || || ||최다 트라이 || [[DTH 반더머버]] || 윙 || 38회 || 2006~2019 ||경기당 0.63개 || ||최다 득점 || 제임스 프리처드 || 풀백 || 607점 || 2003~2015 ||경기당 9.79점 || ||한 경기 최다 득점 || 제임스 프리처드 || 윙 || 36점 || 2006.8.12 ||vs 미국 || ||한 경기 최다 트라이 || 카일 니콜스 || 센터 || 4개 || 2000.7.15 ||vs 일본 || == 선수단 == 국가대표팀의 70%가량은 [[메이저 리그 럭비]] 구단 소속이고 20%는 7인제 대표팀, 나머지 서너명은 타국에서 뛰고 있다. == 문제점 == 캐나다의 문제점은 '''참가할 대회가 마땅히 없다'''는 것이다. [[퍼시픽 네이션스 컵]]도 가끔 얼굴을 비추기만 했지 대부분 불참했고 2019년을 마지막으로 아직 한 번도 참가하지 않았다. [[아메리카스 럭비 챔피언십]]도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부터 개최되지 못하고 있다. 3년동안 투어 경기와 월드컵 예선을 제외하면 아무런 정기전이 없는 것이다. 클럽 리그의 문제도 있다. 원래는 4개의 클럽으로 "캐나다 럭비 챔피언십"이라는 전국 단위 리그를 운영하고 있었는데 2017년부터 [[메이저 리그 럭비]]에 [[토론토 애로우스]]라는 프로팀을 조직해 참가시키기면서 전국 단위 리그를 폐지해 버렸다. 이제는 주 단위 리그밖에 없다. 큰 땅덩이에 비해 적은 인구, 그리고 가까운 주변국이랄게 미국 말고는 딱히 없는 지리적 위치때문에 어려운 상황이다. 러시아도 동부는 텅텅 빈 땅이고, 그렇다고 대서양을 건널 수도, 중남미와 교류하기도 힘들다. 한동안 정기적으로 참가하는 대회가 없어 대표팀이 쇠퇴하고 있었는데, 2024년부터 [[퍼시픽 네이션스 컵]]에 정식으로 편성되어 매년 3~4경기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됐다. 럭비 유니언이 프로화될 무렵부터 지금까지 오랜 세월동안 심각한 수준으로 전력이 약화되었는데, 이것이 반전의 기회가 될 진 두고 봐야 한다. [[분류:캐나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