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두 가지의 서로다른 주파수 대역을 하나의 대역으로 묶어주는 기술이다. 자세한 설명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s-2|항목 참조]]. 본 항목에서는 [[Wi-Fi]]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만 다룬다. == 상세 == 원래는 와이파이쪽에서는 와이파이 채널 본딩[* 직역하면 2.4 GHz와 5 GHz, 양쪽 대역을 하나로 묶는다는 의미다.]으로 불리었던 기술이나, 보다 넓은 의미를 넣기위해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라 칭한다. 용어 자체는 [[LTE]]에 적용되는 2013년부터 대중화 되기는 했었지만 기존에 있던 용어이며 [[Wi-Fi]]에서는 802.11n 시절부터 이미 사용이 가능했던 기술이다. 단지, 규모와 대역폭을 볼 때 [[Wi-Fi]]는 2.4 GHz와 5 GHz의 고 주파수 대역을 사용했을 뿐이다. 또한 기술적으로 [[LTE]]보다 쉽다. 때문에 설정만 제대로 한다면 캐리어 애그리게이션과 같이 두 대역에서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다. 특히 최근에는 공유기 제조사에서 5 GHz 대역에 연결하면 2.4 GHz와 5 GHz를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게 하거나, 그 구분조차 안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200,000원에 육박하는 고가의 [[공유기]]일 가능성이 높다.~~[* 진짜로 이런 기능만으로 저런 가격을 가지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칩셋 자체도 브로드컴 등 메이커 제품을 사용하며 안정성 역시 매우 높고 고급설정 기능이 있는 등 거의 준전문가용 수준이다. 예를들면 [[Mikrotik]]이 있다.] 2013년 9월 현재, [[Wi-Fi]]는 IEEE 802.11ac 규격(이하 802.11ac)까지 상용화된 상태이며 '''기가 와이파이'''라는 이름으로 마케팅되고 있다. 5 GHz 대역 160 MHz를 이용하여 안테나 8개까지 사용한다면 이론 상 '''6.93 Gbps'''의 속도까지 가능하다.[* 일단 현재 가격이나 기술 진척도 등을 생각하면 3R3T 및 4R4T( N'''R'''N'''T'''. 송신과 수신에 필요한 안테나의 개수가 N개라는 의미)정도가 대중화될 예정이다. 따라서 최대속도의 2분의 1 정도.] 대중적인 802.11n은 3R3T로 450 Mbps정도이다. 다만, 802.11ac는 5 GHz의 상당히 높은 주파수 대역[* 주파수 대역이 높을수록 직진성이 강해 회절율이 떨어져 반사되거나 흡수된다.]을 사용해서 속도는 빨라지기는 하지만 나무벽이나 장애물에 취약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체감속도는 저 정도까지 나오지는 않는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기존 2.4GHz에서 더이상 속도를 높이기가 힘들어서 성과를 내야하는 연구원들이 5GHz로 할때 속도만 빠르면 감소폭이 커도 전보다는 통신속도가 빠르다고 생각해서 나온 결론이다. 어찌해서 그 목적은 개활지 한정으로 성공했지만 우리가 인터넷을 하는곳은 어떤 장소일까?~~ == 기술적 전망 == 공유기에서는 현재 보급이 된 규격인 802.11n/ac가 해당된다. 지금 시중에 있고 그나마 가격이 싼 dir-850L을 예로 들면 80 MHz 대역폭에서 1R1T시 433 Mbps의 속도를 내고 2R2T시 866 Mbps 정도의 속도를 내지만, 160 MHz 대역을 사용하면 1R1T로 866 Mbps의 속도를 낼수있다.[* KT의 광대역 [[LTE]]와 비슷한 방식이라 보면 된다.] 이렇게 여러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속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은 기술 발전속도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 대역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그 과도기를 대체하는 형식으로 매우 유용하다. == 관련 문서 == *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 [[공유기]] [[분류:Wi-F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