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 정당별 마스코트)] [include(틀:한국 진보진영 관련 문서)] ||<-2> '''{{{+1 {{{#231815 캐치}}}}}}''' || ||<-2> [[파일:캐치.png|width=100%]] || ||<-2> '''{{{#FFFFFF 프로필}}}''' || || '''이름''' ||'''캐치''' || || '''출생''' ||[[2010년]] [[1월 30일]] || || '''정당''' ||[include(틀:민주노동당)] || || '''이미지 컬러''' ||{{{#EE7700 ■}}}{{{#EE7700 ,,#EE7700,,}}} 주황색[br]{{{#231815 ■}}}{{{#231815 ,,#231815,,}}} 검정색 || || '''모티브''' ||[[고양이]]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귀여운 캐치.jpg|width=100%]]|| || '''{{{#fff △ 캐치 팻말}}}''' || [[민주노동당]]이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대비해서 만들었던 마스코트. [[고양이]] [[수인]], 특히 [[아깽이]]의 형상을 하고 있다. [[코리안 숏헤어]] 중 턱시도라 불리는 하얀 양말을 신은 듯한 검은 고양이가 모티브인 듯. [[슈퍼맨]]이 연상되는 망토를 두르고 있는 등 귀여운 외형 때문에 인기가 많았다. 서민들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통칭 "MB 잡는 고양이"라고도 불렸다. 그리고 캐치가 고양이인 이유는 그 당시 [[이명박]]의 외형이 쥐를 닮았다 하여 쥐가 별명 이었는데 이를 통해 민주노동당은 쥐를 잡는 동물, 즉 고양이를 마스코트로 내세웠다고 한다 [* 위 사진에서도 [[이명박|MB]]잡는 고양이라고 써져있다] == 활동 == ||[[파일:52f7779c09bbda99c18e.jpg|width=100%]]|| || '''{{{#fff △ 캐치 소개}}}''' || ||[[파일:요망한 캐치.jpg|width=100%]]|| || '''{{{#fff △ 캐치 애니메이션 중}}}''' || [[민주노동당]]은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0년 재보궐선거]] 등에서 선거 운동에서 캐치를 사용했다. 특유의 귀여운 고양이 형 외모로 인해 아이들, 젊은 세대에게 큰 인기를 끌었고, 캐치 인형탈이 동공이 작아 다소 무섭게 느껴지기도 한다는 말도 있었지만 [[펭수]]의 사례처럼 아이들에겐 그러한 외형으로도 인기를 끌었다. 귀여운 고양이인 외형으로 인해 [[팬아트]]도 존재했다. 다만 현재는 민주노동당 사이트가 사라지며 볼 수 없다. 캐치가 인기를 끌자 민노당은 캐치를 이용한 플래시 애니메이션도 제작했다. [[https://noooco.tistory.com/m/17|애니메이션]] 당시엔 등한시 되던 [[유튜브]]에 캐치를 이용한 영상을 올려 캐치가 노래 [[검은 고양이 네로]]에 맞춰 춤을 추는 영상을 제작하기도 했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est1best5&logNo=150086966354&parentCategoryNo=&categoryNo=28&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블로그 링크,,(영상삭제),,]] 민주노동당 유튜브 채널이 사라지며 아쉽게도 지금은 볼 수 없다. 캐치가 나온 선거송도 있다. [[https://youtu.be/EHCCOd9fgLw|#]] 민주노동당에서는 캐치를 적극 활용했지만 이를 탐탁지 않아 하는 이들도 있었다.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별명인 '쥐'를 이용해 'MB 잡는 고양이'라는 별명을 밀었는데, 이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것. == 현재 == 캐치의 등장 시기인 2010년은 당시 민주노동당이 주류 세력인 NL 세력에 의해 PD, 신좌파, 참여계 계열 등과 갈등을 빚으며 이미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으로 갈라져 있는 상황이었기에 민주노동당이 약해지고 있던 시점이다. 이 때문에 [[2011년]] 민주노동당이 진보신당([[새진보통합연대]]), 국민참여당과 함께 [[통합진보당]] 신설합당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며 캐치 또한 1년의 짧은 활동을 끝으로 사라지게 되는 줄 알았지만... [[통합진보당]]에서 이어서 사용하며[[http://www.ohmynews.com/NWS_Web/View/img_pg.aspx?CNTN_CD=IE001516566|#]] 수명을 연장했다. 하지만 통합진보당에서 다시 NL계열과 PD, 신좌파, 참여계가 내홍을 빚으며 [[진보정의당]]이 분당되고 결국 강제 해산되며 이후에는 분당된 정당인 [[정의당]], [[진보당(2020년)|진보당]]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사실 정의당은 자체 마스코트인 [[땀이]]가 있기 때문에 사용할 이유가 없기도 하다. [[자민이]]와 마찬가지로 해산된 정당 소속이지만 자민이와 달리 통합진보당은 해산 이후 어딘가로 고스란히 넘어간 것도 아니고 [[민중연합당]], [[새민중정당]], [[국민모임]] 등으로 갈라졌으며 그 중 두 정당은 진보당이, 국민모임은 정의당으로 넘어가며 소재지가 애매하다. == 소속 정당 == || {{{#ffffff 소속}}} || {{{#ffffff 기간}}} || {{{#ffffff 비고}}}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010 - 2011 || 정계 입문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2011 - 2014 ||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4 - 현재 || [[통합진보당 해산|강제 해산]][br]정계 은퇴 || [[분류:마스코트]][[분류:민주노동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