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주한미군]][[분류:군사기지]] [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include(틀:대한민국의 공항)] [include(틀:주한미군의 군사기지)] ||<-2> {{{+1 {{{#fff '''캠프 페이지'''}}}}}}'''[br]'''{{{#fff '''Camp Pag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캠프 페이지.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Camp Page, 너비=100%, 높이=100%)]}}} || || '''{{{#fff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근화동(춘천)|근화동]] || || '''{{{#fff 주둔부대}}}''' || [[미합중국 육군]] [[제2보병사단(미국)|제2항공연대]][br][[미합중국 육군]] 제542의무후송중대[br][[미합중국 공군]] 제4미사일사령부[* 1990년 9월 해체.][br][[주한미군 군사 고문단]] || ||<-2> '''{{{#ffffff 공항코드}}}''' || || [[IATA]] ||QUN || || [[ICAO]] ||RKNC || || [[K-Site]] ||K-47 || ||<-2> {{{#fff '''활주로'''}}} || ||<-2> '''03/21''' (1,220m × 25m) || ||<-2> {{{#fff '''소유 기관'''}}} || ||<-2> [[미합중국 육군|[[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width=53]]]] || ||<-2> {{{#ffffff '''운영 기관'''}}} || ||<-2> [[미합중국 육군|[[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width=53]]]] [[미합중국 공군|[[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width=53]]]] || [목차] [clearfix] == 개요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근화동(춘천)|근화동]]에 [[2005년]]까지 존재했던 [[주한미군]] [[육군]] 기지. [[6.25전쟁]] 당시부터 만들어진 주둔지로 이름은 [[장진호 전투]] 중 전사한 존 U. D. 페이지 [[대령]]으로부터 따왔다. 일부 도로안내 표지판 등에서는 두개의 p를 연음으로 발음해 '캠페이지'라고도 하였다. == 역사 == 캠프 페이지는 2005년 경 대부분의 부대시설이 철거된 후 2007년 [[미군]]으로부터 [[춘천시]]에 반환되었으나 [[용산기지]]와 마찬가지로 상당한 양의 각종 군사 부산물[* 폐[[항공유]] 등]로 인한 토지오염이 발견되어 정화작업이 수년동안 이루어졌다. 2010년 경 [[춘천역]]이 다시 문을 열면서 부대 부지 한가운데를 관통하는 도로인 [[평화로(춘천)|평화로]]가 새로 개설되었다. 그 후 정화작업 끝에 2013년 2/4분기부터 주말농장 분양 시작으로 6월 시민들에게 처음 공개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7&aid=0000425596|마임축제 행사지 후보 중의 하나로 고려되었지만 각종 문제들로 인해 무산되었다.]] 200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고슴도치섬에서 진행했고, 고슴도치섬이 공사장이 되자 어린이회관으로 2000년대 후반부터 지금까지 쭉 진행했었다. 그외에도 2013년 행사지 후보에는 남이섬도 있는데, 남이섬의 특성상 지역 수익이 가평으로 돌아가는 거 아니냐는 논란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결국 2013년도 종전처럼 어린이회관 일대로 결정된 듯 하다. 이후에도 부지에 계절별로 메밀꽃과 해바라기, 코스모스 등의 꽃을 심어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였고, [[닭갈비]]•[[막국수]] 축제 등의 대형 축제는 물론 기능경기대회나 축산물경진대회 그리고 [[제2군단]]이 주최하는 [[춘천지구전투]] 전승 행사와 10월 [[국군의 날]] 행사까지 등 각종 행사도 이곳에서 개최되고 있다. 2013년 겨울쯤에 월드라이트 파크라는 루미나리에 시설이 설치될 예정이었으나,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공사가 지연되다가 중국에서 자재를 들여온다는 것도 사실상 무산되고 공사가 무기한 휴지되었다. 2014년 4월에는 어린이 놀이공간인 꿈자람어린이공원과 장애인용 체육시설이 같은 건물 안에 들어섰다. 2016년 여름에는 구 캠프페이지 부지에 있던 미군 물탱크를 개조해서 물탱크 주변에 [[http://www.kwnews.co.kr/nview.asp?aid=215040100081&s=|준 워터파크급]] 시민수영장을 조성할 계획을 발표하여 2016년 7월 5일 꿈자람물정원이라는 이름으로 선개장했지만 ([[http://blog.naver.com/songsg53/220761121601|이렇게 생겼다]]) 안전 문제 때문에 약간의 개수 후 15일 제대로 개장했다. 겨울에는 썰매장으로 활용한다고 한다. 2018년 초 이미 지어진 꿈자람 부지 등을 제외한 구 캠프페이지 구역의 전면 개발이 확정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8407123|구획 기획안]]. 2023년까지 전면 조성할 계획이라고. 그중 캠프 페이지 시절 사건을 소재로 한 [[중공 여객기 불시착 사건|중국민항기불시착광장]]이 조성안에 있다는 것이 눈에 띈다. 그렇게 나머지 구획도 개발하는 건 시간문제일 줄 알았으나... 2020년 캠프페이지를 철거하는 과정에서 잔류해있던 오염물(유류 찌꺼기 등)의 정화를 주먹구구로 했다는 부실 정화 논란이 불거지면서 나머지 캠프페이지의 개발공사계획은 상당히 난항을 겪어서 수년간 연기되는 것이 불가피해졌다.[[http://www.kwnews.co.kr/kwnews/sokbo_view.asp?aid=AKR20200604127100062|#]] ||[[파일:캠프페이지.jpg]]|| || 캠프 페이지 및 춘천역 역세권 개발 개획 || == 사건 사고 == * [[1983년]] [[중공 여객기 불시착 사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근화동(춘천), version=192, paragraph=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