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1948년 출생]][[분류:1966년 데뷔]][[분류:웨스트민스터 출신 인물]][[분류:영국 남가수]][[분류:영국의 무슬림]][[분류:그리스계 영국인]][[분류:스웨덴계 영국인]][[분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40%, #a09e90)" '''{{{#!html 캣 스티븐스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0C0000>'''{{{#ffd700 이름}}}'''||<:><#0C0000>'''{{{#ffd700 캣 스티븐스[br]CAT STEVENS}}}'''|| || '''{{{#ffd700 헌액 부문}}}''' || '''{{{#ffd700 공연자 (Performers)}}}''' || ||<:><#0C0000>'''{{{#ffd700 멤버}}}'''||<:><#0C0000>{{{#ffd700 (개인자격)}}}|| ||<:><#0C0000>'''{{{#ffd700 입성 연도}}}'''||<:><#0C0000>'''{{{#ffd700 2014년}}}'''||}}} || ---- [include(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앨범))] }}} || ---- ||<-2>
{{{#ffffff '''{{{+1 캣 스티븐스}}}'''[br]Cat Steven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ages.radiotimes.com/webcatstevens2.jpg|width=100%]]}}}|| ||<-2><#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1 '''▲ 1960년대 당시 모습'''}}}}}}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tatic.guim.co.uk/YusufCat-Stevens--014.jpg|width=100%]]}}}|| ||<-2><#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1 '''▲ 현재'''}}}}}} || || '''본명''' ||유수프 이슬람(Yusuf Islam) || || '''출생''' ||[[1948년]] [[7월 21일]]([age(1948-07-2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런던]] 매릴번 || || '''직업''' ||[[싱어송라이터]], 교육ㆍ인권 자선 운동가 || || '''데뷔''' ||1966년 1집 앨범 || || '''활동''' ||[[1966년]] ~ [[현재]] || || '''종교''' ||[[이슬람교]] || || '''링크''' ||[[https://instagram.com/yusufcatstevens?utm_medium=copy_link|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교육]], [[인권]] 자선운동가이다. [[그리스]]/[[스웨덴]]계 [[영국인]]이다.[* 정확히 따지면 [[키프로스]]계.] [[런던]]의 매릴번 출생으로 [[1965년]]부터 '캣 스티븐스'라는 예명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1977년]] 12월,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이듬해 '유수프 이슬람 (Yusuf Islam)'이라는 새 이름을 받아들여 [[개명]]하였다. 개종 이후 별다른 음악활동을 하지 않다가 [[2006년]] "An Open Cup"이라는 앨범을 발표해 간혹 라이브 공연을 펼치곤 한다. [[한국]]에서는 인지도가 거의 없지만 '''70년대의 [[싱어송라이터]] 운동을 선두한 인물'''로, 멀티 플래티넘 레코드 가수이자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도 당당히 끼어있는 뮤지션이다. [[2014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경력 == 런던에서 식당을 운영하던 [[키프로스]]인 [[아버지]]와 [[스웨덴인]] [[어머니]]에서 '스티븐 조지유'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가톨릭]]계 학교를 다니면서 [[비틀즈]]에 열광하던 스티븐은 [[피아노]]와 [[기타]]를 배우기 시작했고, 남몰래 공연도 보러 다녔다고 한다. 이 시절 보았던 [[뮤지컬]]인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가 자신의 인생을 바꿔놨다고. 잠시 어머니랑 함께 스웨덴으로 넘어가 그림 공부를 하다가[* 그림 실력이 상당한 수준으로 훗날 "[[Tea For The Tillerman]]"을 비롯한 [[앨범 아트]]도 직접 담당하기도 했다.] 영국에 돌아와서 진학을 했는데 예술 빼고는 공부는 전혀 못하는 아이였다고 한다. '스티브 애덤스'라는 이름으로 무대에 서곤 했던 스티븐스는 [[1965년]] 작곡 계약을 하고 본격적으로 음악계에 들어서게 된다. 런던 카페와 술집을 돌면서 무명 생활을 보내던 스티븐은 곧 '캣 스티븐스'리는 이름으로 바꾸게 된다.[* 가장 잘 알려진 이유로는 당시 [[여자친구]]가 스티븐스에게 눈이 고양이를 닮았다는 말에서 착안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본인 말로는 본명이 앨범에 걸리는 게 이상해서라고 밝혔다.] [[더스티 스프링필드]]가 속해있던 '스프링필드'의 프로듀서였던 '마이크 허스트'에 눈에 띈 스티븐스는 그랑 계약을 하면서 첫 앨범을 내놓게 된다. 비록 [[1970년]]대 찬란한 성공과 명성에 밀려서 잘 언급되지 않을 뿐이지 당시 판매고나 반응도 꽤나 괜찮았고 일종의 [[아이돌]]같은 이미지로 인기를 얻기도 했다. 이 때 [[지미 헨드릭스]]와 투어를 도는 모습도 보였다. 그러나 2집이 실패하고 [[결핵]]에 걸리면서 침체기를 겪게 되고, 전작의 성공을 반복하고자했던 '마이크 허스트'랑 갈등이 심해지던 그는 결국 [[고소드립]]과 다툼 끝에 허스트와 결별하게 된다. 그리고 요양하던 도중 써 내렸던 곡을 들고 당시 신생 레코드였던 '아일랜드 레코드 (Island Records)'랑 계약하고 'Mona Bone Jakon'이라는 앨범을 내놓게 된다. [[미국]] 진출에도 고심을 기울인 이 앨범은 준수한 평을 얻으며 영국 차트 8위에 랭크되고 미국 방송국에도 인기를 얻었다. 훗날 골드를 따낸 이 앨범은 당시 일기 시작했던 싱어송라이터붐과 'Tea For The Tillerman'의 영광을 예견하고 있었다. 이 때 만난 '앨룬 데이비스'라는 포크 뮤지션과의 친분은 훗날 계속 이어지게 된다. == 여담 == * 아무래도 [[한국]]에서는 "Morning Has Broken"이 가장 잘 알려진 곡일 것이다. 이걸 부른 가수가 [[이슬람]]으로 [[개종]]했다는 뉴스를 접하곤 기겁한 음악 팬들이 한둘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렇다고 해도 기독교와 이슬람의 신앙의 대상이 다르지 않기 때문에 해당 노래의 마지막 구절('''God's''' recreation of the new day)을 개종 이후에도 그대로 부른다. 다만 개종 이후 [[악마의 시]] 관련으로 [[살만 루시디]] 파트와에 찬성하는 언행을 하는 바람에 욕을 잔뜩 먹기도 했다. [* 상당히 논란이 되어서 [[10000 매니악스]]은 In My Tribe에 실었던 스티븐스의 'Peace Train' 커버를 미국반에서 황급히 빼야 했다.] 본인은 기레기들이 날조했다고 억울해하는 중. "Oh Very Young"이라는 곡도 한국에서는 꽤 친숙하다. == 대표곡 == * [[https://m.youtube.com/watch?v=txDMiD8ia50|Father And Son]][*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2]]의 엔딩 직전에 흘러나오는 곡이다. [[피터 퀼(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피터 퀼]]과 [[욘두 우돈타(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욘두]]의 끈끈했던 정을 느끼게 한다.] * [[https://www.youtube.com/watch?v=HG7woCQkGUw|Matthew And Son]] * [[https://www.youtube.com/watch?v=hr0rDW5j1KU|Moonshadow]] * [[https://www.youtube.com/watch?v=U5sSEkZ86ts|Morning Has Broken]][* [[1931년]]에 기독교 성가로 발표된 것으로 잘 알려져있으며, 가사는 영국 여성 작가인 'Eleanor Farjeon'이 붙인 것이다. 후에 1971년 스티븐스가 불러서 빌보드 6위에 올랐고, 1978년 미국 이지리스닝 차트 '''1위'''에 오르기도 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b_eUnxDE8YY|Oh Very Young]] * [[https://www.youtube.com/watch?v=aBccr-aLu4I|The First Cut Is The Deepest]][* 곡은 스티븐스가 썼으나 P.P. Arnold라는 여성 소울가수에게 주어 먼저 [[https://www.youtube.com/watch?v=y1-g5VG2pWg|발표]]하게 되었다. 다음 스티븐스 본인의 2집 'New Masters'에 수록되었다. 후에 '키스 햄프셔', '로드 스튜어트', '[[셰릴 크로우]]' 등이 리메이크하기도 했다. ] * [[https://m.youtube.com/watch?v=eguD5AljSCI|Do The Children Play?]] * [[https://www.youtube.com/watch?v=y8pvXLVu8Yk|Wild World]][* 미국의 록밴드 [[미스터 빅(밴드)|미스터 빅]]이 커버해서 국내에서 인기를 얻었다.] == 디스코그래피 == 【Cat Stevens】 * Matthew And Son ([[1967년]]) * New Masters ([[1967년]]) * Mona Bone Jakon ([[1970년]]) * [[Tea For The Tillerman]] ([[1970년]]) * Teaser And The Firecat ([[1971년]]) * Catch Bull At Four ([[1972년]]) * Foreigner ([[1973년]]) * Buddha And The Chocolate Box ([[1974년]]) * Numbers ([[1975년]]) * Izitso ([[1977년]]) * Back To Earth ([[1978년]]) 【Yusuf Islam】 * An Open Cup ([[2006년]]) * Roadsinger ([[2009년]]) * Tell 'Em I'm Gone ([[2014년]])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