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슈츠슈타펠/장성급 지휘관)] |||| '''슈츠슈타펠 상급집단지도자[br]{{{+2 커르트 폰 고트베르크}}}[br]Curt von Gottberg''' ||||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커르트 폰 고트베르크.jpg|width=100%]]}}}|||| || {{{#FFF 이름}}} ||<(>'''Curt Gustav Friedrich Walther von Gottberg'''[br] 커르트 구스타프 프리드리히 발터 폰 고트베르크[*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대로는 '폰고트베르크'로 표기한다.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붙임표]]로 이어진 인명 등의 경우, 여러 요소가 하나의 단어를 이루는 복합어로 보고, 한글로 표기할 때에는 붙여 적는 것이 규정 용례이다.]|| || {{{#FFF 출생}}} ||<(>[[1896년]] [[2월 11일]] [br] [[독일제국]] [[프로이센 왕국]] [[동프로이센]]주 프로이시슈빌텐[br]{{{-1 (現 [[러시아 연방]] [[칼리닌그라드]]주 프라브딘스키군)}}} || || {{{#FFF 사망}}} ||<(>[[1945년]] [[5월 31일]] (향년 49세) [br] [[연합군 점령하 독일]] [[플렌스부르크]] || || {{{#FFF 신체}}} ||<(>'''192cm'''|| || {{{#FFF 복무}}} ||<(>[[슈츠슈타펠]] (1931년 ~ 1945년) || || {{{#FFF 최종계급}}} ||<(>[[슈츠슈타펠]] [[무장친위대]] [[대장(계급)|대장]] (상급집단지도자) [br] [[질서경찰]] [[대장(계급)|대장]] || || {{{#FFF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br] [[제2차 세계 대전]] || || {{{#FFF 주요 서훈}}} ||<(> [[철십자 훈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고트베르크 중장.jpg|width=100%]]}}} || ||<#ddd> 친위대 집단지도자 폰 고트베르크 || [[나치 독일]]의 [[슈츠슈타펠]] [[무장친위대]] [[대장(계급)|대장]] == 초기 행적 == [[동프로이센]]의 프로이시슈빌텐[* Preussisch Wilten]에서 정원사의 아들로 태어난 폰 고트베르크는 대학졸업 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14년]] [[8월]]에 지원병으로서 기병연대 그라프 브란겔에 입대해 [[1915년]] 근위 제1 보병연대로 이적 후 [[서부전선]]에서 싸우다가 [[1917년]]에 중상을 입고 1, 2급 철십자 훈장과 전상훈장을 받았다. == [[나치당]] 행적 == 독일의 패전 후 [[1919년]] [[4월]]에 에어하르트 여단에 참가한 후 [[1923년]] [[11월 9일]]에 [[뮌헨 폭동]]에도 참가했다. [[1924년]]부터는 [[스웨덴]]과 [[이탈리아]]에서 농지관리사로 일했다. [[1931년]] [[11월 15일]]에 친위대에 입대하고 [[1932년]] [[2월 1일]]에 [[나치당]]에 입대한 폰 고트베르크는 이전에 몸담았던 [[SA|돌격대]]를 떠났다. [[1934년]] [[3월 25일]]에 친위대 특무부대의 대대장이 되었는데 [[1935년]] [[6월 1일]]에 브라운슈바이크의 친위대 제49연대의 지휘관이 되었지만 [[1936년]] [[1월 5일]]에 교통사고로 왼쪽 다리 종아리 아랫부분이 절단되어 [[의족]]을 착용했다. [[1937년]] [[7월 1일]]부터 친위대 인종 및 이주본부의 이주부문 국장이 되어 [[1939년]] [[4월 18일]]부터 [[체코슬로바키아]]로 파견되어 [[프라하]]에 국토사무국을 설치했다.[* 하지만 돈 문제로 인한 과실로 인해 [[11월 7일]]에 폰 고트베르크는 해임되어 일시 직무를 맡지 못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고트베르크 대장.jpg|width=100%]]}}} || ||<#ddd> 친위대 상급집단지도자 폰 고트베르크 || [[1940년]] [[10월 1일]]부터 친위대 본부의 보충국장, [[1941년]] [[1월 10일]]에 훈련부 국장이 되었다. [[1942년]] [[7월 21일]]에 백러시아 친위대 및 경찰지도자로 임명되어 [[동부전선]]으로 이동한 폰 고트베르크는 [[11월 16일]]부터 빨치산 토벌작전에 종사했다. [[1943년]] [[7월 5일]]에 중앙 러시아 및 백러시아 친위대 및 경찰고급지도자 대리가 되었는데, [[9월 22일]]에 백러시아 행정위원이던 [[빌헬름 쿠베]]가 암살당한 후 후임이 되었다. 폰 고트베르크는 백러시아에서 독립정부 수립과 벨라루스 국민군의 창립을 승인하지 않아 현지인의 원망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1944년]] [[8월 7일]]에 제12 SS군단장으로 취임해 동부전선의 제3 전차군 아래 있다가 [[1944년]] [[9월]]말부터 서부전선의 제1 강하수렵병 야전부대의 지휘관이 되었지만 병으로 인해 입원했다. == 전후 행적 == 종전 당시 그는 [[네덜란드]]의 북서군 집단에 소속되어 있었는데 전후 [[영국군]]의 포로가 된 폰 고트베르크는 [[1945년]] [[5월 31일]]에 플렌스부르크 수용소에서 자살했다. [[분류:1896년 출생]][[분류:1945년 사망]][[분류:독일의 귀족]][[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 제국의 군인]][[분류:나치당원]][[분류:슈투름압타일룽/인물]][[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질서경찰/인물]][[분류:자살한 나치 관련자]][[분류:칼리닌그라드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