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뱀파이어(유희왕))] [목차] == 원작 == || 한글판 명칭 ||<-4>'''커스 오브 뱀파이어'''|| || 일어판 명칭 ||<-4>'''カース・オブ・ヴァンパイア'''|| || 영어판 명칭 ||<-4>'''Vampire's Curse'''||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유희왕/속성|어둠]] || [[언데드족]] || 2000 || 800 || ||<-5>플레이어의 피로 인해 재생한다.|| 원작 [[유희왕 R]] 1권에서는 [[카드 프로페서]]인 [[틸라 무크]]의 에이스 몬스터로,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했다. 불사의 재생력을 자랑하며, 듀얼이 종료될 때까지 필드에 계속 군림하는 '황폐한 정원의 주인'이라고 한다. 그 표현대로 원작에서는 소생될 때마다 계속 공격력이 올라갔다. 하지만 [[위압하는 마안]]처럼 한 번밖에 부활하지 못했다. 문제는 원작에선 지불하는 라이프가 '''1000 포인트'''였다. 초기 라이프가 4000인 코믹스에서 저렇게 지불하다니, 겁도 없다. [[파일:쭉쭉 빨기 위해서다.jpg|width=550]] 소생하면서 공격력이 상승하는 효과는 '''플레이어의 피를 빨아먹어 부활'''이라는 설정인 듯. 공격명은 '네일 팽 블로우', 자신의 효과로 공격력이 상승한 후에는 '샤프 네일 블레이드'. == OCG == [[파일:attachment/커스 오브 뱀파이어/Example.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커스 오브 뱀파이어, 일어판명칭=カース・オブ・ヴァンパイア, 영어판명칭=Vampire's Curse, 몬스터=, 효과=, 레벨=6, 속성=어둠, 종족=언데드족, 공격력=2000, 수비력=800, 효과1=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500 라이프 포인트를 지불하는 것으로 발동할 수 있다. 다음 턴의 스탠바이 페이즈시에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또한 이 효과에 의해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을 500 포인트 올린다., )] 전투로 파괴된 다음 스텐바이 페이즈에 코스트를 지불하여, 자신을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유발효과]], 그 방법으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자신의 공격력을 상승시키는 [[유발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 [[리미티드 에디션]] 7의 메인 카드로, 상당히 값이 비쌌지만 스트럭쳐 덱 [[언데드 월드]]에서 노말로 풀리면서 많이 싸졌다. [[뱀파이어 로드(유희왕)|뱀파이어 로드]]가 효과에 의해 파괴되었을 때 소생한다면, 이 녀석은 전투로 파괴됐을 경우 코스트로 500 라이프 포인트를 지불하고 특수 소환되면서 공격력이 500 올라간다. 다만 이 덕분에 공격력이 계속 오른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지만 일단 묘지에서 소생될 경우 공격력이 리셋되기 때문에 2500이 한계라는 점을 알아두자. 그래도 2500이면 어지간한 상급은 때려눕힐 수 있고, [[스타더스트 드래곤]]이나 [[No.39 유토피아]] 같은 2500라인도 자폭으로 별 문제없이 없애버릴 수 있는 수치다. 조건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파괴되면 다음 턴에 묘지에서 소생할 수 있는 효과도 그렇고 거기다 똑같이 미형의 청년이라는 점 때문에, [[뱀파이어 로드(유희왕)|뱀파이어 로드]]나 [[뱀파이어 제네시스]]의 '''자매품'''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게다가 [[섀도우 스펙터즈]]에서 [[뱀파이어(유희왕)|카드군으로 지정되고 동료들도 생겨서]] 이제는 진짜로 한꺼번에 묶어서 굴릴 경우 어느 정도 시너지가 있다. 다만 새로 생긴 에이스인 에델리터가 랭크 5라서 레벨이 안 맞는 게 흠. == 관련 카드 == === [[뱀파이어 로드(유희왕)|뱀파이어 로드]] === [[분류:유희왕/OCG/언데드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