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k5HrTM4quqg)] 아케이드판 [youtube(ATlFoGv_UCA)] [[아미가]]판. 무적치트 사용 플레이이다. == 개요 == Continental Circus / コンチネンタルサーカス [[1987년]]에 [[타이토]]에서 만든 오락실용 [[레이싱 게임]]. [[포뮬러 원]] 레이스를 게임화한 것이다. 당시 타이토에서 체감형 게임에 주로 사용한 Z 시스템 기판을 처음으로 사용한 게임. == 상세 == 상하단 기어를 사용하며, 장애물이나 다른 차에 충돌하면 차에 불이 붙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차에 불이 붙었을 경우 피트인으로 가면 차를 고쳐주며 (물론 피트 인 시스템이 있는 게임이 그렇듯 피트인 중에는 다른 차들이 추월한다) 피트인을 하지 않고 계속 주행하거나 아니면 또 부딪혔을 경우 그때서야 차가 폭발한다. 장애물 뿐 아니라 다른 차와 부딪혀도 불이 붙기 때문에 제법 어려운 편이다. 이 차량의 폭발은 플레이어의 차량 뿐만 아니라 CPU가 조종하는 NPC 차량에도 적용되어서 주행하다가 상대 차량이 폭발하는 장면도 볼 수 있는 보기 드문 게임. 또한 플레이 도중 랜덤하게 비가 내리기도 하는데 이 때도 피트인을 해서 타이어를 교체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스테이지에서 컨트롤이 심하게 어려워진다. 등장하는 스테이지는 실제로 F1에서 쓰인 서킷들이다. 라이센스 문제로 서킷 이름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레이아웃은 원래 서킷에 충실한 편이다. 1스테이지 [[브라질]] - [[인터내셔널 넬슨 피케 자동차 경주장]], 클리어 커트라인 80위 2스테이지 [[미국]] - [[왓킨스 글렌 인터내셔널]], 클리어 커트라인 60위 3스테이지 [[프랑스]] - [[디종-프레누아]], 클리어 커트라인 50위 4스테이지 [[모나코]] - [[모나코 서킷]], 클리어 커트라인 40위 5스테이지 [[독일]] - [[호켄하임링]], 클리어 커트라인 30위 6스테이지 [[스페인]] - [[하라마 서킷]], 클리어 커트라인 20위 7스테이지 [[멕시코]] - [[롱 비치 시가지 서킷]][* 실제로는 미국에 있다. 2스테이지에 이미 왓킨스가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멕시코로 넣은것이다.], 클리어 커트라인 10위 8스테이지 [[일본]] - [[스즈카 서킷]], 클리어 커트라인 3위 시간제한과 순위 커트라인을 도입하였으며, 체크포인트를 통과하면 타임 익스텐디드가 되고, 스테이지를 특정한 순위 내로 클리어하지 못하면 제한시간 안에 들어오더라도 게임오버된다. 오락실판에서는 [[셔터글라스]] 방식의 [[3D 안경]]을 도입하였는데, 에뮬레이터 및 이식판에서는 3D 디스플레이가 재현되지 못했다. 플레이어의 차량은 [[카멜(담배)|카멜]] 스폰서 스티커가 붙은 노란색의 [[로터스(자동차)|로터스]] 99T 차량인데, 이 차량은 실제로 당시에 [[아일톤 세나]]가 1987 시즌에 운용한 차량이다. 엔딩에서 보이는 우승한 플레이어의 모습도 자세히 보면 아일톤 세나의 모습. 미국판 기기의 경우에는 캐비넷에 Continental Circuit이라고 써있는데, 원래 이 게임 제목을 '컨티넨탈 서킷츠'(Continental Circuits)라고 하려다가 전달 과정의 실수로 뜬금없이 [[서커스]]가 제목에 붙게 되었다는 뒷사정이 있다. 스테이지를 시작할 때 [[데이토나 USA|Gentleman, start your engines]] 음성이 나온다. == 이식 == 당대에는 일본 쪽에서 콘솔이식은 되지 않았으나 서구권의 컴퓨터인 [[코모도어64]], 암스트레드 CPC, [[ZX 스펙트럼]], [[아타리 ST]], [[아미가]]로 이식되었다. 이식판의 발매는 버진 게임즈, 개발은 세일즈 커브에서 했다. 먼 훗날 나온 [[플레이스테이션2]]용 [[타이토 메모리즈]] 2 상편에 실린게 일본쪽 가정용 이식작의 전부. 플스2용 레이싱 휠에도 대응된다. 그 외 서구권의 플스2/XBOX/PC로 발매된 타이토 레전드에도 본작이 수록되어 있다. [[분류:1987년 아케이드 게임]][[분류:레이싱 게임]][[분류:타이토의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