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컬쳐랜드 BI.svg|width=300]] 컬쳐랜드 BI [[파일:한국문화진흥 CI.svg|width=300]] 컬쳐랜드 문화상품권을 발행하는 주식회사 한국문화진흥 CI [목차] [[http://www.cultureland.co.kr|컬쳐랜드 사이트]] == 소개 == 문화상품권은 ㈜한국문화진흥이 발행하는 상품권의 한 종류이다. 1998년 3월부터 문화상품권을 발행했다. 2023년 1월 1일부터 '모바일 문화상품권'만 발행한다. 종이 문화상품권, 온라인 문화상품권은 ㈜문화상품권이라는 회사로 독립했다. [[계좌이체]]나 [[체크카드]] 등의 결제수단을 사용하기 어려운 초중등학생 사정상 거의 유일한 온라인 결제 수단으로 [[온라인 게임]]을 위한 필수 [[현질]]템으로서 고급 아이템 취급을 받는다. [* 이 문화상품권이 아닌 다른 결제 수단이 [[Google Play 기프트 카드|하나]]가 더 있긴 하다. 23년 1월부터는 [[Google Play 기프트 카드|이것]]밖에 쓸 게 없다.] 성인이라 해도 문화상품권은 [[간편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신용카드 등으로 결제시 필요한 온갖 [[액티브 X]] 보안 프로그램이나, [[공동인증서]] 따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문화상품권을 애용하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에는 가끔 온라인에서 문화상품권을 할인판매할 때 대량으로 액면가보다 싸게 구매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비슷한 상품권으로 [[북앤라이프 도서문화상품권|도서문화상품권]]과 [[해피머니 문화상품권]]이 있다. 틴캐시, 에그머니라는 것도 있다. 북앤라이프의 경우 상품권 사업 자체는 더 먼저 시작했으나 처음에는 '도서상품권'만 만들었고, 그 사이 컬쳐랜드가 '문화상품권'이란 이름을 선점하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도서문화상품권]]'이라고 명명해야 했다. 간혹 어떤 사람들은 '문상 번호 아무거나 찍으면 되지 않을까?' 하는 경우도 있는데, 번호 18자리를 찍어서 맞힐 확률은 (발행 수)/ 10(숫자0~9사이의 갯수)^18, 즉 '''100경 분의 문화상품권 총 발행 수'''다. 이는 전국에 문화상품권이 1억 장이 발행됐다고 가정해도 로또 1등 당첨 확률인 8백만 분의 1보다도 작은, 사실상 0이나 다름 없는 확률.[* 번호 규칙이 존재하기는 한다. 첫번째 자리 4자리는 발행시기가 근접하다면 거의 같거나 똑같다. 2.3번째 라인은 비슷하다. 결국 6개만 잘 찍는다면 성공할 가능성이 있다.~~~그래봤자 800만분의 1~~~] 설령 맞혀서 성공했다 하더라도 '''무단 사용으로 적발되어 계정이 정지당하고[* 만약 번호를 연속적으로 찍을시 당일 충전 제한을 하고 그래도 계속 하면 영구 정지를 받는다.] 집에 경찰이 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그냥 돈 주고 사자. 이는 구글 기프트카드나 다른 문화상품권도 마찬가지. 컬쳐랜드 캐시를 [[네이버 페이]] 포인트, [[L.포인트]], [[현대백화점]] h.point, [[SK페이]] point로도 바꿀 수 있다. 전환 시 6%의 수수료가 부과되며 취소가 불가능하다. == 온라인 문화상품권의 분리 == 2022년을 끝으로 컬쳐랜드와 ㈜문화상품권의 제휴 계약이 종료되어, 2023년 1월 1일부터 발행하는 지류 문화상품권, 온라인 문화상품권은 컬쳐캐쉬로 전환이 불가능하다.[[https://m.cultureland.co.kr/tgl/noticeBoard.do?NoteID=1959|#]] 컬쳐랜드는 '모바일 문화상품권'이라는 이름을 주력으로 사용하고, 갈라져 나온 ㈜문화상품권은 컬쳐랜드 이름을 떼고 '온라인 문화상품권' 이름을 주력으로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 종류 == 문화상품권의 종류로는 문화상품권, 쇼핑 문화상품권, 모바일 문화상품권, 게임 문화상품권이 있으며 특징은 각각 다르다. === 문화상품권 === [[파일:9eGlR2u.png]] 기본적인 상품권이다. 흔히 '''지류상품권'''하면 가장 많이 떠올리는 그것. 1998년 3월부터 5천원권을, 1999년 4월부터 1만원권을 발행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2017년 1월, '''5만원권'''이 발행되었다. [[호랑이]] 그림을 자사 문화상품권의 트레이드마크로 쓰는 듯. 한편 [[헌혈]]시 주는 적십자 문화상품권에는 [[헌혈의 집]] 마스코트가 함께 그려져 있다.[[https://www.cultureland.co.kr/voucher/voucher.do|#]] 서점, 영화관, 음반점, 공연장, 놀이공원, 편의점[* 전국에 있는 편의점 모두 발급된다.], 스포츠관람 등 전국 2만여 오프라인 가맹점과 스크래치 번호를 컬쳐캐쉬로 충전하여 영화예매, 음악, 게임[* 과거엔 초중생이나 기타 이유로 인한 소수의 목적이었으나 블리자드나 스팀 등에서 이용이 가능해져 이젠 아는 게이머라면 대부분 이쪽을 애용한다. ], 쇼핑, 교육 등의 서비스를 컬쳐랜드 및 다양한 온라인 가맹점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문화상품권 뒷면에는 발행일자가 적혀있고, 발행일부터 5년이라는 유효기간이 적혀 있다. 그리고, 이 유효기간이 지나면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결제가 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컬쳐랜드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 가서 스크래치 번호를 등록하면 유효기간이 지나더라도 충전이 정상적으로 가능하다. 마지막 자리가 6자리로, 컬쳐랜드 온라인에서 선물할 때 pin번호다. 2023년 1월 1일부로 컬쳐랜드와의 제휴 계약이 종료되어 '''1월 1일 이후 발행되는 지류/온라인 문화상품권은 컬쳐랜드에서 충전할 수 없다.'''[[http://www.cultureland.co.kr/customer/notice/noticeDetail.do?NoteID=1959|컬쳐랜드 공지]] 모바일 문화상품권은 발행사가 다르므로 해당 사항이 없다. 즉, 아직도 구매자들 사이에 '문상'으로 통상적으로 불리고 있지만, 문화상품권 핀번호 16자리와 18자리는 서로 별개의 상품이므로 [[https://sunnymoneynews.com/%EC%9B%B0%EC%BB%B4%ED%8E%98%EC%9D%B4-%EB%AC%B8%ED%99%94%EC%83%81%ED%92%88%EA%B6%8C/|상품권 구별법]]을 참고하여 구매에 유의해야 한다. === 쇼핑 문화상품권 === [[파일:cYPCnfn.gif]] 2011년 1월부터 발행을 시작하였다. 온라인 쇼핑 제휴 가맹점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오프라인 통합상품권. 3만원권과 5만원권이 있다. 문화상품권과 사용처는 같으며, 문화상품권에는 없는 고액권이 있다는 특징이 있었으나... 문화상품권 5만원권이 발행되며 사실상 무의미해졌다. === 모바일 문화상품권 === [[파일:pYdKUvf.gif]] 2012년 6월부터 발행하기 시작하였다. 전국 5대 편의점 및 교보문고, CGV, 휘닉스 파크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상품권이다. 휴대용 MMS로 손쉽게 선물 또는 구매가 가능하고, 남은 금액은 다음 방문시 이용이 가능하며, 주류, 담배와 택배, 상품권, 복권, 교통카드 등의 서비스제공 상품을 제외한 편의점 내의 모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11번가 등에서 컬쳐랜드가 직접 판매하는 모바일 상품권의 경우, 문자를 실수로 삭제했더라도 ARS요청으로 문자를 재 전송 가능하다. (단, 주문번호와 보낸 사람, 발송 전화번호를 알고있어야 한다.) === 스마트 문상(구 게임 문화상품권) === [[파일:3ToySLn.gif]] --리그 오브 레전드는 3천원 충전이 불가능하다(역시 티모...)-- 2005년 5월부터 발행을 시작하였다. [[온라인 게임]]을 위해 태어난 카드식 결제 수단이며, ID/PW 입력 없이 상품권 번호 입력만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온라인 게임]] 및 컨텐츠 이용에 불편했던 결제방식을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다. 스마트 문상으로 교체되며 대형 사이트인 넥슨이 결제가능 사이트에서 빠지면서 쓸 용도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현재로선 리그 오브 레전드 충전 용도로 쓰는게 가장 많다. 컬쳐랜드를 통한 컬쳐 캐쉬 충전도 불가능한 상품권이고 안되는 사이트가 많아서 웬만하면 안쓰는것이 좋다. [[분류:유가증권]][[분류:BGF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