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은행)] [include(틀:KT)] ||<-2> {{{+2 '''케이뱅크'''}}}[br]'''Kbank''' || ||<-2> [[파일:케이뱅크 로고 화이트.svg|width=90%]] || ||<|2> '''기업명''' ||'''정식''': (주)케이뱅크[* 2021년 9월 1일 기업명을 '''(주)케이뱅크은행'''에서 '''(주)케이뱅크'''로 변경했다.] || ||'''영문''': Kbank || || '''설립일''' ||[[2016년]] [[1월 7일]] || || '''영업 개시일''' ||[[2017년]] [[4월 3일]] || || '''은행장''' ||서호성 || || '''업종명''' ||은행업 || || '''기업 규모''' ||[[대기업/대한민국|대기업]] || || '''상장 유무''' ||[[비상장 기업]][* 2023년 코스피 상장 예정.] || || '''최대 주주''' ||[[비씨카드|[[파일:비씨카드 로고.svg|width=30%]]]] (34.00%) || || [[금융공동망|{{{#fff '''은행 코드'''}}}]] ||089 || || [[SWIFT 코드|{{{#fff '''SWIFT 코드'''}}}]] ||[[한국씨티은행|CITIKRSX]]KBA[* [[카카오뱅크]]처럼 [[씨티그룹]]과의 제휴로 [[한국씨티은행]]을 경유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로 인해 송금 시 본점 표기는 씨티뱅크 본점으로 표기한다.] || || [[ISO 4217|{{{#fff '''취급 통화'''[* 환전은 불가능하며 해외 송금만 가능하다.]}}}]] ||USD, CAD, GBP, AUD, NZD, [br]EUR [* 2018년 4월 24일부터 ] ||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을지로]] 170, 동관 6층[br]([[을지로4가]], 을지트윈타워) || || '''웹 사이트''' ||[[http://www.kbanknow.com|공식 홈페이지]]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직원 수''' ||469명^^(2022년 4분기 기준)^^ || || '''자본금''' ||1조 7,979억 1,800만 원^^(2022년 기준)^^ || || '''매출액''' ||5,583억 8,700만 원^^(2022년 기준)^^ || || '''영업 이익''' ||919억 400만 원^^(2022년 기준)^^ || || '''순이익''' ||835억 6,900만 원^^(2022년 기준)^^ || || '''자산 총액''' ||16조 6,313억 4,600만 원^^(2022년 기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XlMr_VYpg8)]}}}|| >'''make money, Kbank''' [[대한민국]]의 '''첫 번째 [[인터넷전문은행]]'''이자 [[KT]]의 계열사다. [[평화은행]] 이후 24년 만에 탄생한 [[제1금융권]] 은행이다. 줄여서 케뱅으로 부르기도 한다. == 역사 == 2015년 11월 29일 [[카카오뱅크]]와 함께 예비인가되었고, 2016년 12월 14일 본인가를 받았다. 2017년 2월 2일 은행연합회 정회원으로 등록되었으며 2017년 4월 3일부터 본격적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빅 데이터 기반 중금리 신용대출, 간편심사 소액대출, [[체크카드]], [[간편결제서비스]], 휴대폰/이메일 기반 간편 송금, Robo-advisor 기반 자산관리, Real-time 스마트해외송금 등을 핵심 서비스로 내세웠으며. 자동차금융, 리스 사업 등 기존 제1금융권이 죽쑤고 있는 시장 역시 노리고 있다. 기존 은행보다 접근성이 떨어지는 탓에 저원가성 예금인 요구불예금 유치가 어렵기에[* 주요 자산 보유층인 중장년층을 노려야 하지만, 이들이 기존 거래 실적을 포기하고 불편한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이동할 이유가 없다.] 대신 [[청년|주요 고객층]]에게 어필할 만한 디지털 음원 쿠폰 등(예 : 뮤직K 정기예금)을 주는 상품을 만들었다. 케이뱅크는 [[우리은행]], [[KT]], [[NH투자증권]] 등 20개에 달하는 주주들이 있어 주도적인 대주주가 없기 때문에 의사 결정이 힘들고 주주사들 간 이해 관계도 얽혀 있었다. 2017년 유상증자를 시도했지만 주주사들의 미참여로 실권주가 발생하자 일부 대출 상품의 판매가 일시 중단되었고 전환주를 신주로 발행해 급한 불을 껐다. 2018년 다시 유상증자를 시도했지만 우리은행, KT, NH투자증권을 제외한 주주들이 참여하지 않아 일부 대출 상품 판매를 중단하고 주택담보대출 출시를 미뤘다. 몇 차례의 유상증자를 거치고 [[금융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해 결국 KT의 자회사 [[비씨카드]]가 34%의 지분을 확보해 케이뱅크의 최대주주가 되었으며[* 케이뱅크를 주도하는 기업은 KT지만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현재 케이뱅크의 대주주는 비씨카드이다.] 우리은행이 2번째로 많은 지분을 가져 두 기업이 주도적으로 의견을 낼 수 있게 되었다. 2019년 5월 30일에는 [[카카오페이]]를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2019년 6월 14일에는 [[네이버페이]]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2020년 7월부터 한국 최대 규모의 가상화폐 거래소인 [[업비트]]와의 제휴를 계기로 신규계좌와 수신금액이 크게 증가했으며 흑자전환했다. 2023년 3월 28일 부로 PC 온라인뱅킹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기존에는 인뱅 3사 중 유일하게 PC 환경을 지원해 왔었으나 타 은행 대비 이용률이 낮아[[https://m.etnews.com/20230227000072|#]], 인증서 기능이나 기본적인 CS서비스만 남기고 모두 종료한다고 밝혔다. 2023년을 목표로 [[코스피]]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 지배 구조 == 2021년 7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비씨카드|[[파일:비씨카드 로고.svg|width=70]]]] || 34.00%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우리은행|[[파일:우리은행 CI.svg|width=70]]]] || 12.68%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MBK파트너스|[[파일:MBK파트너스 흰색 로고.svg|width=65]]]] || 8.26%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베인캐피털 || 8.26%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카니예유한회사 || 6.19%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JS신한파트너스유한회사 || 5.16%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NH투자증권|[[파일:NH투자증권 로고.svg|width=85]]]] || 4.84% || == 특징 == === [[계좌개설]] 방법 === 신규 계좌개설은 다음 3단계로 진행된다. ①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혹은 공인인증서[* 본인 명의 휴대전화가 없을 시에 필요.] ② 신분증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③ 본인 명의의 타행 자유입출금계좌 혹은 상담원과의 영상통화로 인증 최초 [[계좌개설]] 시 무조건 '''한국의 통신사 [[USIM]]'''이 삽입된 스마트폰에서만 가능하며 해외 통신사 SIM 카드는 안 된다. [[계좌개설]], [[체크카드]] 발급 신청 등의 업무를 진행할 때 신분증을 실물을 촬영하는 '''비대면 본인인증''' 절차를 진행하여야하는데, 신분증 촬영 시 빛이 반사되거나 너무 어두우면 인식이 불가능하니, 주변 밝기를 적절히 조정한 상태에서 촬영하자. ID는 이메일로 등록한다. [[카카오뱅크]]와 다르게 주민등록증이 있더라도 만 19세 미만(미성년자)은 가입이 불가능했으나,[* 카카오뱅크는 마찬가지로 주민등록증이 있어야 하나 만 17세 이상 주민등록증 발급자는 개설 가능하다.] 2018년 7월 26일부터 이 제한이 풀려 만 17세 이상 주민등록증 소지자 모두가 개설이 가능하다. 청소년증은 안된다. 해외에서도 스마트폰 등의 단말에 한국의 통신사 SIM을 삽입한 상태로 WIFI로 접속하면 국내처럼 계좌개설이 가능. 또한 한 번 개설을 하면 해외 통신사 SIM을 삽입해도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내용은 [[카카오뱅크]]도 대동소이하다. 두 번째 계좌개설부터는 단말의 SIM 국적 제한이 사라진다. === ATM 수수료 면제 === [[https://www.kbanknow.com/ib20/mnu/CBRCSC110204|수수료 이용안내]] 예금상품 설명서에는 [[은행/수수료|수수료]]에 관한 내용이 없다. 다만 주주사들의 오프라인 인프라를 이용했는데 위에서 언급했듯이 전 회원에게 인터넷뱅킹 타행이체 수수료 면제, 시중은행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입출금 및 타행이체 수수료, [[GS25]]에 설치되어 있는 공동망[[CD]]기같은 제휴 ATM 입출금 및 타행이체 수수료를 시간에 관계없이 면제하고 있다. 기기 제조사를 가리지 않고 GS25에 설치된 기기라면 모두 해당된다. 그리고 해당 기기들에는 무매체출금용으로 첫 화면에 케이뱅크 버튼이 있으나 예외적으로 한네트의 기기는 들어가기가 좀 복잡하다. 한네트는 부가서비스에 들어가야 무매체출금이 나오기 때문이다. 우리은행 ATM에서 입금시 1200원 수수료가 발생한다고 화면에 나오지만 실제로는 부과되지 않는다고 공지했다. 다만 GS25에 설치되어 있는 공동망기기들 중 일부 한네트 기기는 업데이트가 늦게 되었는지 부가서비스에 케이뱅크 무매체출금 버튼이 한동안 나오지 않은 적이 있었다. 그리고 GS25 외 [[편의점]]에 설치되어 있는 공동망기기들의 바탕화면에 케이뱅크 무매체출금 버튼이 나와 있다고 해서 그거도 제휴되어 있을 거라고 생각하면 절대로 안 된다. 입금 및 추가적인 업무가 가능한 ATM과 달리 GS25에 설치된 공동망CD기는 대부분 출금만 가능하니 확인해야 한다.[* 기존 점포는 입출금이 전부 가능한 기기로 바뀌고 있고 최근에 개업하는 GS25는 무조건 입출금이 가능한 기기다.] [[http://gs25.gsretail.com/gscvs/ko/store-services/locations|점포검색]] 다만, 은행 브랜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VAN사 ATM은 수수료가 부과된다. 즉, 'OO은행', 'OO은행 제휴' ATM은 수수료가 면제되지만, 지하철 등에서 볼 수 있는 '은행공동망' ATM은 수수료가 부과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여담으로, 같은 인터넷은행으로써 비슷한 ATM 수수료 면제 정책을 펼치고 있는 [[카카오뱅크]]의 경우, VAN사 ATM에서도 수수료가[* 일정 기간까지만 적용된다고 표기되어 있으나 오픈 이후로 매년 연장되고있다. 카카오뱅크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인 데다 수수료 없이 2019년부로 흑자전환에 성공하여 앞으로도 영구히 수수료를 받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부과되지 않는다. === [[한도제한계좌]] === [[단기간 다수계좌 개설 신청서|자유입출금계좌 단기간 다수개설 제한정책]] 참조. 증빙서류가 없으면 얄짤없이 한도제한계좌로 나오지만, [[카카오뱅크]]보다 해제하기가 그나마 간단하다. 물론 증빙서류는 온라인으로 제출하여 승인받아야 하는데, 특이하게도 대출받거나 정기예금 1개월 유지(가입금액 무관), 적금 2회차 납입시 한도제한이 자동으로 해제된다.[* 미성년자의 경우 자동해제가 불가능하고 서류제출로만 해제되는데 고객센터에 문의한 결과 카뱅과 동일하게 아파트 관리 고지서를 통해 풀 수 있다. 고지서 명의 무관.] 그나마 한도제한이라도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인터넷뱅킹 각각 100만원, 총 200만원으로, 30만원 제한을 거는 다른 은행에 비해 그나마 널널한 편이다. 재직증명서를 제출하면 해당 회사에 '''재직확인 전화'''를 한다고 한다. 장학금 수령용으로 재학증명서와 장학금 수혜 증명서[* [[국가장학금]]을 받는다면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발급 가능하다. 국가장학금이 아닌 다른 장학금을 받는다면 학교 장학금은 해당 학교에 타 장학금은 해당 사이트에 접속해서 발급할 수 있다.]를 제출하면, 재학 중인 학교에 재학 확인 전화를 한다. 가장 무난한 방법은 본인의 주소지가 기재된 아파트관리비 고지서나 휴대폰 요금 고지서[* 이게 가장 무난하다. 아무리 집 없는 사람이라도 휴대폰은 없는 사람이 없으니.]를 온라인으로 인증하는 것이다. 이도 저도 안되는 최악의 경우라면, 대출을 받는 방법이 있다. 재직확인이나 공과금 고지서 없이도 대출이 가능한 상품으로도 간단히 한도제한 해제가 가능하다. 물론 한도제한을 해제하고 나서 대출철회를 해도 문제 없다. 참고로 기존 입출금계좌의 한도가 해제되었다면, 그 이후로 개설하는 계좌는 한도제한이 해제된 상태로 개설된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서류나 조건을 한 번만 제출&만족시키면 이후로는 프리패스라는 이야기. === [[해외송금]] === 2018년 4월 24일부터 [[한국씨티은행]] 대행으로 해외송금을 시작했다.[* 그런데, 타발송금과 관련하여 톡상담을 해봤더니 해외에 소재한 은행으로부터 당행 입출금계좌로 자금을 수취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고 한다. 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FAQ에도 동일한 질문과 답변이 올라와 있었다.] 송금 수수료는 4,000원이며 12월 말까지 최초 1회에 한하여 수수료를 캐시백하는 이벤트를 하고 있다. 취급통화는 USD, CAD, GBP, AUD, NZD, EUR이다. 물론 [[한국씨티은행]]이 대행하여 송금을 하기 때문에 외화예금은 불가능하다. == 상품 == === 예금 === * MY 입출금통장 : 듀얼K 입출금통장을 대체하는 상품으로, 하루만 보관해도 연 2.7%의 이율(23.02.07 기준) 혜택이 있는 플러스박스를 제공한다.[* 카카오뱅크의 세이프박스와 유사] * 듀얼K 입출금통장 : 특정 잔고(남길 금액)를 설정하고 1개월 간 그 이상을 유지하면, 설정한 금액까지 0.7%의 이율(19.09.05 기준)을 제공한다. (남길 금액 외에는 0.2%, 우대이율 적용 최대 한도는 1억원) 단, 하루라도 잔고유지 실패시에는 중도해지 이율을 적용한다. 2020년 7월 1일 단종. * [[네이버페이]] 제휴 통장 : 2019년 6월 출시. 네이버페이 모바일 홈페이지 참고. * 플러스박스 : 소유한 자유 입출금통장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통장이다. 자유입출금 통장은 아니며 따라서 계좌이체나 자동이체 등록, 카드 연결 등은 불가능하고 연결된 모 계좌(자유입출금 통장)에서만 돈을 넣고, 모 계좌로만 돈을 뺄 수 있다. 하루만 넣어도 연 2.7(23.02.07 기준)의 이율을 제공한다. * 코드K 정기예금 : 기본금리 3.8%. 구질구질한 조건이 전혀 없고 24시간 영업이므로 새벽 3시에도 상품 상담이 가능한 것 또한 장점. 인기가 꽤 있는 듯하다. 본래는 회차별로 가입을 받았으나, 2017년 11월부터 상시가입으로 변경됐다. * 주거래우대 정기예금 : 케이뱅크 영업 개시 초창기에 나온 플러스K 정기예금의 대체 상품이다. 급여조건과 케뱅 [[체크카드]]의 사용 실적(20만원 이상)이 있을 때 우대금리 0.4%를 추가로 제공해 주는 상품으로, 급여조건은 플러스K처럼 단순 문구식이다. 기본 금리는 세전 1.25% ~ 1.9%, 우대 금리는 세전 1.65% ~ 2.3%다. 현재는 단종. * 뮤직K 정기예금 : 매월 이자로 현금(1.68%, 단리)과 지니뮤직 이용권(30일) 중 선택이 가능한 예금. (2020/8/1 단종) === 대출 === 자본금의 여력이 부족했던 과거에는 매달 중순께 여신 포트폴리오 자본금이 바닥나 신규대출이 중단되었다가 다음달에 풀리는 일이 월례행사처럼 벌어졌었다. 또한 대출신청일 기준 최근 3개월 이내에 복수의 대출정보개설이력이 잡히는 경우 양사의 신용이 1등급이어도 해당 기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대출을 거절하고 있다고 하니 참고하기를 바란다.[* 다만 양사 신용등급이 2~4등급으로 양호하고 기대출금액이 크지 않은 경우 정밀심사를 통해 승인이 나기도 한다. 대출신청을 했을 때 정밀심사 중이라는 메세지가 뜨면 기대해 보자.] 또한 대출상품의 포트폴리오가 자주 바뀌는 편이다. * 신용대출 :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직장인(근로소득자)을 대상으로 하는 대출. 최대한도 2억 5천만원으로, 1억원인 [[카카오뱅크]]보다 높다. * 신용대출 플러스(구 슬림K 신용대출) : 케이뱅크 입출금통장 사용자[* 소득, 직장유무를 보지 않는다]로서 1년 이상 신용카드 사용실적[* 은행연합회에 공유된 신용카드개설일자를 기준으로 366일차 00시부터 가능]이 존재하며, 외부의 KCB나 NICE의 신용등급이 1~7등급 안에 들면 NICE의 추정소득에서 기대출을 차감하고[* 케이뱅크 전산상 한도가 1000이 나왔는데 기존의 대출 역시 1000이 있다면 대출가능한도는 0] 대출이 가능하다. * 마이너스 통장 대출(직장인K 마이너스통장) : 6개월 이상 재직 중인 직장인(근로소득자)을 대상으로 하는 대출. 최대한도가 1억 5천만원으로, 역시 3천만원에 불과한 [[카카오뱅크]]보다 훨씬 높다. * 사잇돌대출 : 3개월 이상 재직 중인 직장인(근로소득자) 또는 '''6개월 이상 사업을 영위 중이며 직전년도 신고소득 1,000만원 이상인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출. 최대한도는 2천만원으로 다소 적으며 최저금리도 5% 후반대이지만, 중저신용자도 상대적으로 승인이 잘 나는 듯. * 비상금대출(구 미니K [[마이너스통장]]) : 케이뱅크 사용자로서 신용카드를 1년 이상 보유 중[* 은행연합회에 공유된 신용카드 개설일자를 기준으로 366일차 00시부터 가능]이며 외부 CB에서 1~6등급 이상이면 대출이 가능한 [[마이너스통장]]이다 서울보증보험의 보증서 기반으로 실행되는 [[카카오뱅크]]의 비상금 대출과 사실상 동일한 상품. * 전세대출 * 아파트담보대출 * 119K 대환대출: 상기 마이너스 통장 대출 등 대출상품 연장조건이 맞지 않을 때 강제적으로 전환된다. 대략 '''연 10% 대의 이율'''에 3~7년 만기 고정으로 대출이 진행된다. 대출 절차가 여타 시중은행에 비해 굉장히 빠른 편이다. 참고로 해외에서 접속 시 대출이 불가하다. === [[체크카드]] === 모두 국내전용만 발행되고 있다가 2017년 9월 포인트적립형에 [[비자카드]]가 추가됐다. 후불교통카드 발급을 위해서는 10~30만원의 소액신용 한도를 부여해야 하는데 케이뱅크는 아직 법적으로 [[신용카드]] 사업자가 아니라서 신용한도 제공이 불가능했다. 그래서 일종의 편법으로 [[비씨카드]]에서 신용한도를 부여해주는 것처럼 우회하여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 기능을 발급하기 시작했는데 2017년 12월 출시한 네이버페이형의 VISA 버전과 함께 출시했으며 선택사양이다. 금융사에 소액신용 및 하이브리드 카드를 가지고 있거나 후불교통카드 기능의 체크카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 혹은 이와 별개로 비씨카드 자체에서 발급하고 있는 바로BC카드를 소지하고 있다면 이미 비씨카드 전산상에 한도가 부여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케이뱅크에서는 후불교통카드 기능을 타 카드를 해지하지 않고서는 이용할 수 없다고 한다. [[하이브리드 카드|하이브리드]]는 선택할 수 없다. 실물 통장 및 [[현금카드]]는 발행하지 않으며 [[체크카드]]는 [[우정사업본부|우체국]]처럼 [[비씨카드]]의 결제망을 이용하는 형태로 발행한다. 포인트형과 통신비할인형으로 나오고 [[팝카드|POP]] 서비스가 탑재된다. 체크카드 발급시 카드형 OTP나 스마트(하이브리드) OTP 기능을 넣을 수 있다. 카드에 [[OTP]]를 탑재할 수 있으나, 별도의 발급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국내전용에만 애드온이 가능하고, VISA 겸용으로는 안 된다. 이체 거래시 공인인증서 비밀번호와 보안 매체(보안카드, OTP)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없이 계좌 비밀번호와 소프트웨어 OTP만으로 거래가 가능하다. [[갤럭시 S6]] 기종 이후의 삼성 스마트폰, LG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다면 소프트웨어 OTP마저 [[지문인식]]으로 대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송금 난이도가 낮아지는 기적이 일어난다. 하지만 한꺼번에 여러 건 이체시에는 얄짤없이 공인인증서다. 플러스 체크카드 이전에 출시된 체크카드에는 [[팝카드|GS POP]] 서비스가 제공된다. VISA 겸용은 모두 해외신판 금액이 모두 실적 제외다. 요구하는 이용 실적의 경우 포인트형(포인트적립형, 네이버페이형)은 당월 실적, 나머지는 전월 실적으로 산정한다. 특이하게도 카드 뒷면에 서명란 외에 메모란이 별도로 존재한다. 2016년 11월 1일 기준으로 [[BIN]]이 등록되었으며 BIN은 국내전용[* 9440 뒤에는 [[금융공동망|은행 코드]]인 89번 대신 96XX로 붙는다.] 9440-96, VISA 4599-12, 4656-13, 4854-62로 시작한다. [[체크카드/해외사용|해외신판]] 수수료는 비자카드 로열티 1~1.1%[* 포인트적립형, 네이버페이, KT 파트너스, [[KT 멤버십]] 제휴형은 로열티 1%를 받고 플러스 체크카드는 1.1%를 받는다. 이는 현금인출할 때의 네트워크 수수료도 마찬가지다.]에 환가료 0.25%, 현금인출 수수료는 건당 3[[미국 달러|$]]에 네트워크 수수료 1~1.1%다. [[카카오뱅크]] 체크카드처럼 '''즉시출금'''이나 기내 면세점 등 해외 특정가맹점의 무승인 거래는 홀드식이다. 온라인 해외신판도 가능([[아마존닷컴/일본|일본 아마존]]에서 확인)하며 해외신판시 문자로 이용 내역이 통보된다. 환율은 대외결제 은행의 전신환 매도율이 적용된다. [[iTunes Store|아이튠즈 스토어]]에 결제용 카드 등록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카카오뱅크의 [[마스터카드|마스타]] 체크카드도 마찬가지다.[* 유달리 비씨카드에서 나오는 마스타 체크카드가 아이튠즈 스토어와 친하지 않기 때문이다.] 비씨카드의 전산을 이용하다 보니, 온라인에서는 얄짤없이 [[ISP]]를 등록해서 이용해야 한다. 다행히 [[비밀번호]]는 숫자 6자리로 등록한다. ISP/페이북 앱에서도 [[JUSTOUCH|RED Pay]]로 등록된다. 하지만 [[GS25]]에서 ISP/페이북 앱의 RED Pay로 계산하면, [[팝카드|POP]] 연동이 안 된다는 단점이 있다. 팝 혜택을 받으려면, 반드시 실물 카드로 이용해야 한다. ISP/페이북 앱의 [[모든페이|QR결제]]도 지원한다. 네이버페이 1,2 체크카드와 [[해피포인트]] 체크카드, 포인트적립형 해외겸용(VISA), 플러스체크에 한하여 카드번호가 후면에 프린팅되어 발급된다. 그 외 포인트적립형 일반형과 OTP 겸용형, [[KT]] 통신 캐시백형 등의 오픈 초기부터 발급된 카드들은 앞면에 카드 번호가 양각되어 발급된다. 네이버페이나 [[카카오페이]]같은 웬만한 [[간편 결제 서비스]]에도 비씨카드로 연동해서 잘 등록되나,[* 심지어 비씨카드의 다른 고객사와 달리 [[JUSTOUCH]]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카뱅 체크카드와 달리 [[삼성 페이 mini]]도 가리지 않는다. 반면 카뱅은 예정보다 1개월 연기해 가면서 영업을 개시한 주제에 아직 협의를 마치지 못해서, 카뱅 체크카드는 카카오페이(오프라인 카드 결제 포함)/[[삼성 페이]](오프라인 한정)/[[스마일페이]]/[[SK페이]]/[[SSG PAY]]/[[L.포인트|L.pay]]/[[페이코]] 등에만 등록 및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삼페의 경우 삼페의 온라인 결제만 카뱅과 제휴되어 있지 않은 어정쩡한 상황인지라, 온라인 결제만 타사 스마트폰에 개방한 형태인 삼페미니에는 아예 카뱅 체크카드를 등록할 수 없다.] 페이코 삼성 페이와 카카오페이 오프라인 카드 결제는 지원하지 않는다. 2020년 9월에 나온 케이뱅크 플러스 체크카드는 페이코 삼성 페이와 카카오페이 오프라인 카드 결제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승차권]] 결제도 가능하다. [[고속버스]] 승차권은 예매/매표소 모두 케이뱅크 체크카드의 이용이 가능하나, 주의해야 할 점은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코버스]] PC 홈페이지에서 예약 후 결제[* 코버스는 본래 카드로 예약한 후 해당 카드를 매표소에서 건네서 최종 결제하는 방식이었으나, [[E-Pass|고속버스모바일]] 기반으로 공홈을 싹 갈아엎은 후에는 카드로 예약시 예약과 함께 바로 결제된다.]시 신용카드사는 "BC"가 아닌 "기타"로 선택해야 한다. 비씨로 선택하면 에러 메시지가 뜨고 예약되지 않는다. 코버스 공홈과 달리, 고속버스모바일 앱에서는 비씨카드로 선택해도 에러 없이 결제됐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톡]])에서도 직접적으로 카드 번호를 입력해 놓고 비밀번호와 생년월일을 입력하는 결제에서 문제 없이 결제됐으며, [[SRT]]에서도 결제되는 것이 확인했다. [[시외버스]] 역시 [[이비카드|버스타고]]에서 예약과 함께 곧바로 승인 및 결제된 게 확인됐다. 참고로 전 상품 [[MIFARE]] Classic 방식[* 보안성이 '''가장 낮아''' 대부분 지역과 교통카드 업체에서 퇴출되는 방식이다.]을 사용하는 PayOn 후불교통카드만 지원하며, 만 18세 이용자가 발급하더라도 청소년 요금은 적용되지 않는다. 결제일은 매월 15일이며, 시스템 점검 시간은 매일 오후 11:57분부터 5분 동안이라고 한다. 결제가 안 된다고, 당황하지 말고 조금 기다려 보자. 수령은 본인이 아닌 제3자도 가능하다. [[파일:card_fpm_05.png|width=285]]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2> [[KT]] 파트너스 복지카드 || Local || 면제 || || || [[비자카드|[[파일:비자카드 로고.svg|width=50]]]] || 면제 || || 2018년 3월 28일 출시. [[연회비]] 5,000원. [[KT]] 복지몰 회원만 신청 가능. [[파일:kt_membership_new.png|width=300]]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 케이뱅크 X [[KT 멤버십]] 더블혜택 체크카드 || [[비자카드|[[파일:비자카드 로고.svg|width=50]]]] || 면제 || || 2019년 1월 2일 출시. [[KT]] 모바일, IPTV, 인터넷, 집전화, 인터넷전화, 와이브로 상품을 1개 이상 본인의 명의로 사용 중인 고객들만 신청이 가능하다. 전월 실적 20만 원 이상[* 대학등록금, 아파트 관리비, 상품권, 기프트카드 결제금액, 제세[[공과금]],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 이용 금액은 실적에서 제외] 사용 시, [[KT 멤버십]] 할인적용 및 잔여금액 결제를 동시에 진행한 건에 대하여 차감된 멤버십 포인트 만큼 결제계좌로 캐시백되며, KT 유무선 통신요금 자동이체시 1건에 한하여 전월 이용금액에 따라 5%~20%(월 1회) 캐시백된다.(통신요금에 대한 캐시백은 그 다음달 3일에 일괄 지급) [[파일:img_pluscheckcard-new.png |width=300]]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 플러스 체크카드 || [[비자카드|[[파일:비자카드 로고.svg|width=50]]]] || 면제 || || 2020년 9월 1일 출시. 무실적으로 한도 없이 국내외 모든 가맹점[* 다만, 대학등록금, 아파트관리비, 상품권 및 기프트카드 결제금액, 각종 수수료, 이자, 제세공과금, 사회보험료, 교통카드 이용 금액은 캐시백 제외다.] 이용 금액의 0.3% 캐시백이 기본이며, 0.3% 캐시백은 [[카카오뱅크]] 체크카드[* 사용월의 익월에 일괄 캐시백한다.]와 달리 카드 사용일로부터 며칠 있다가 들어온다. 그리고 옥션/쿠팡/G마켓/넷플릭스/유튜브 프리미엄/구글플레이/앱스토어/배달의민족/요기요/배달통/지니뮤직/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이용 금액에 대해 3% 캐시백해 주며, 횟수 제한은 없다. 실적은 전월 최소 30만 원에 통합한도 1만 원이고, 50만 원 이상 채우면 한도는 2만 원이다. [[체크카드/해외사용|해외신판]] 금액은 실적에 포함 했던 것으로 보이나, 언제부터인지 약관에서 실적 제외 대상이 됐다가 다시 포함됐다. [[팝카드]] 로고는 없는 것으로 보아, 달리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BIN]]은 4854-62[* 4854 전체 대역을 사용중이 아니며, 해당 대역 상당수는 NH농협카드에 할당되어 있다.]로 시작한다.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는 선택이다. [[페이코]] [[삼성 페이]](MST)와 [[카카오페이]] 오프라인 카드 결제가 가능한 것이 확인됐다. [[파일:image_2022newcheckcard_all.png|width=500]]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 MY 체크카드(알뜰교통 플러스) || [[비자카드|[[파일:비자카드 로고.svg|width=50]]]] || 면제 || || 2022년 11월 1일 출시. 무실적으로 5천원 이상 결제 시 300원 캐시백[* 전월 실적 30만원 이상 시 500원 캐시백]이 주요 혜택이다. 2023년 7월 3일 [[알뜰교통카드]] 기능이 추가되었다. 아래 10가지 영역에서 각 영역별로 하루에 한 번 제공된다. ||캐시백 영역 ||대상 가맹점 || ||편의 ∙ 생활 ||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br]미니스톱, 올리브영, 다이소, 노브랜드 || ||커피 ∙ 음료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메가커피,[br]이디야, 빽다방, 공차, 메머드커피 || ||패스트푸드 ||맥도날드, 롯데리아, 버거킹,[br]서브웨이, KFC, 맘스터치, 쉐이크쉑 || ||베이커리 ∙ 디저트 ||파리바게뜨, 던킨도너츠, 뚜레쥬르,[br]이삭토스트, 베스킨라빈스, 설빙 || ||패션 ||지그재그, 무신사, 에이블리,[br]브랜디, SSF, W컨셉, ZARA || ||영화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 ||도서 ||교보문고, 영풍문고, 알라딘, Yes24 || ||택시 ||카카오택시, 타다 || ||OTT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 ||어학 ||TOEIC (TOEIC 등 어학시험) || === PLCC === ==== 바로BC카드 ==== [[파일:img_simplecard.png|width=300]]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2> BC바로 케이뱅크 SIMPLE || [[비자카드|[[파일:비자카드 로고.svg|width=50]]]] [br] || 12,000 || [[Visa 탭 투 페이|[[파일:컨택리스 표시.svg|width=20&theme=light]][[파일:EMV 비접촉 결제 로고 (흰색).svg|width=20&theme=dark]]]] || || Local(BC) [br] || 10,000 || || 같은 KT 계열사인 [[비씨카드]]와 제휴해 출시한 신용카드다. 전에는 ISP/페이북 어플 또는 비씨카드 홈페이지에 접속해야 했는데, 2021년 7월 말부터 케이뱅크 앱에서도 발급 가능하다. 혜택은 [[현대카드/카드상품#s-2.5|현대카드 Zero Edition2]]와 거의 비슷하다. '''전 가맹점에서 0.8% 청구할인'''을 제공하고, 아래 영역에서 1.5% 청구할인을 제공한다. 생활밀착영역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고 가정해도 한 달에 125,000원을 사용하면 연회비는 회수할 수 있다. 즉, 연회비 값은 충분히 하는 카드다. BC바로카드 중 비슷한 혜택을 제공하는 K-FIRST보다 카드 자체 혜택은 살짝 떨어지지만, ATM에서 케이뱅크 현금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생활밀착영역 1.5% 청구할인''' * '''온라인 간편결제''': 삼성 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스마일페이, 쿠페이, SSG PAY, SK pay, L.pay, 페이코 * '''편의점''': 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 * '''커피전문점''': 스타벅스, 커피빈, 투썸플레이스, 이디야, 폴바셋 * '''교통''': 후불교통요금(시내버스, 지하철), 택시 * '''이동통신요금(자동이체)''': KT, SKT, LG U+ * '''디지털(자동이체)''':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웨이브, 티빙, 왓차 === 제휴 신용카드 === 롯데, 삼성, 국민 공통으로 현금카드 기능은 탑재되지 않는다. 또한 3개 상품 모두 연회비, 요구 실적 대비 혜택이 [[창렬|영 좋지 않다]]. 바로BC 제휴 케이뱅크 심플카드는 현금카드 기능은 물론 연회비 대비 혜택이 좋다. ==== [[롯데카드]] ==== [[파일:kbank_lottecard.png |width=300]]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4> 케이뱅크 롯데카드 || [[UnionPay|[[파일:유니온 페이 로고 (2022).svg|width=50]]]] ||<|4> 15,000 || ||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파일: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심볼.svg|width=45]]]] || || || [[마스터카드|[[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width=50]]]] || [[마스터카드#s-6|[[파일:컨택리스 표시.svg|width=20&theme=light]][[파일:EMV 비접촉 결제 로고 (흰색).svg|width=20&theme=dark]]]] || || Local [br] || || 무실적 전 가맹점 0.5% 캐시백. 전월실적 40만원 이상 달성시 전 가맹점 1% 캐시백, 이하 가맹점은 월 1만원 한도 내에서 5~50% 캐시백. || 구분 || 대상 가맹점 || 캐시백률 || || 페이 ||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 5% || || 배달·마켓 || 쿠팡이츠, 요기요, 배달의민족, 마켓컬리, 오아시스 ||<|3> 10% || || 멤버십 || 스마일클럽, 쿠팡 로켓와우클럽, 네이버플러스 || || 스트리밍 ||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왓차, 웨이브, FLO || || 커피 || 스타벅스 사이렌오더 ||<|2> 50% || || 대중교통 || 버스, 지하철 || ==== [[삼성카드]] ==== [[파일:kbank_samsungcard.png|width=300]]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3> 케이뱅크 삼성 iD 카드 || [[UnionPay|[[파일:유니온 페이 로고 (2022).svg|width=50]]]] ||<|3> 15,000 || || || [[마스터카드|[[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width=50]]]] || [[마스터카드#s-6|[[파일:컨택리스 표시.svg|width=20&theme=light]][[파일:EMV 비접촉 결제 로고 (흰색).svg|width=20&theme=dark]]]] || || Local [br] || || 월 통합 할인한도 내에서 스트리밍/웹툰 50%, 교통/이동통신/배달앱/커피전문점/여행 10%, 쇼핑 업종 5%, 해외/항공 1% 할인. ||<-3> 전월 이용금액대별 통합 월 할인한도 || || 40만원 이상 || 70만원 이상 || 100만원 이상|| || 5,000원 || 10,000원 || 15,000원 || ==== [[KB국민카드]] ==== [[파일:KB국민 톡톡 with Kbank 카드.png|width=320px]]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2> KB국민 톡톡 with Kbank 카드 || [[비자카드|[[파일:비자카드 로고.svg|width=50]]]] ||<|2> 12,000[br]모바일 단독 6,000 || || || Local || || 혜택을 받기 위해 필요한 전월 이용 실적은 40만원 이상이며, 할인 혜택을 받은 거래 건은 결제 금액 전체가 실적 산정 시 제외된다. ||<-2> 구분 || 청구할인 || 월 할인한도 || 비고 || || 스타벅스 || 스타벅스(사이렌오더 포함) || 50% || 10,000원 || 상품권(선물하기 등)/선불카드 충전 제외 || || 구독 || YouTube Premium,[br]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 20% || 3,000원 || 간편결제/인앱 결제건 제외 || || 온라인 간편결제 || KB Pay, 삼성페이, LG페이,[br]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PAYCO,[br] 쿠페이, 스마일페이, SSGPAY,[br] L.pay || 10% || 3,000원 || 오프라인(QR/바코드/제휴 삼성페이 등) 제외[br]스타벅스/배달 청구할인과 중복 적용 가능 || || 배달 || 배달의 민족, 요기요 || 5% || 5,000원 || || || 대중교통 || 버스, 지하철 || 5% || 3,000원 || 시외/고속/공항버스 제외 || === 케이뱅크 Hi Teen === 만 14세~만 18세가 가입 대상이며 잔고 보유 한도 50만원, 일 이체한도 30만원, 월 이체한도 200만원 제한이 있다. 입출금 통장과 다른 점은 휴대폰 번호만 있으면 만들 수 있으며, 1인당 1계좌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금융법상 선불전자지급수단이기 때문에 예금자 보호 대상이 아니며 예금 이자도 없다. 카카오뱅크의 카카오뱅크 mini, 신한은행/카드의 신한 밈, KB국민은행의 리브넥스트와 같은 서비스로 전용 선불카드인 Hi Teen 카드만 연결할 수 있다. 수수료는 일반 입출금통장과 동일하게 면제된다. 여타 다른 계좌와 같은 취급을 하는 것이 아닌 선불전자지급수단으로 따로 분류하고 있어 토스나 뱅크샐러드 등 오픈뱅킹에 계좌 등록이 불가능하다.[* 법적으로 선불전자지급수단 산하의 '''가상계좌'''로 취급되기 때문] Hi Teen 체크카드를 통해 전국 모든 은행[* 지역 농축협, 새마을금고, 신협, 수협, 산림조합, 우체국 및 증권사 포함] ATM, GS25 ATM에서의 입출금 수수료가 일반 케이뱅크 고객과 같이 전면 면제된다. 계좌번호는 888-XXX-XXXXXX 형태이다.[* 왜인진 모르겠으나 청소년 대상의 선불전자지급수단 계좌번호 형태는 카카오뱅크 mini의 7777, KB국민은행 리브넥스트의 252525 처럼 같은 숫자를 반복하는 것을 좋아한다.] ==== Hi Teen 카드 ==== [include(틀:청소년선불카드)] [[파일:케이뱅크_하이틴즈.png]] >진짜 내 돈 관리, Hi Teen으로 시작해보세요! 케이뱅크 Hi Teen과 같이 출시되었으며 홀로그램/스티커[* 검은색 버전만 홀로그램]가 적용된 Hi Teen 문구가 적용되어 있다. 케이뱅크 Hi Teen에만 연결 가능하며 [[캐시비]]가 기본으로 탑재되었다. 로카M충전소 앱 또는 편의점을 통해 충전 가능하다. 최초 발급은 무료지만 재발급시부터 3천원의 수수료가 발생한다. 국내 전용으로 해외 결제는 불가능하며, 인터넷에서의 사용에 경우 페이북 ISP를 통해 가능하다. 전산에서는 법인카드 및 학생증 체크카드와 같은 클린카드로 취급하기에 유흥업소, 주점 등 청소년 유해 업소에서는 결제가 불가능하다.[* [[비씨카드]]의 기준을 따른다.] \ BIN은 9441-96으로 시작하며 BC카드의 결제망을 사용한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등의 간편 결제 서비스에 등록 및 사용이 가능하다. === 단종 상품 ===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 [[네이버페이]] I || Local || 면제 || || 네이버페이형 II가 출시되면서 단종됐다. [[파일:new_pay_card_default_1.png|width=280]]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2> [[네이버페이]] II || Local || 면제 ||<|2> 2020.6.18 단종 || || [[비자카드|[[파일:비자카드 로고.svg|width=50]]]] || 면제 || 2017년 8월 18일 출시. 당월 국내 가맹점 이용금액 24만원 이상 시 '''국내외 가맹점 1.2%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체크카드/해외사용|해외신판]]금액은 실적 제외.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 이용금액은 실적, 포인트 적립 모두 제외된다. 포인트적립형 [[체크카드]]에서 케이뱅크 포인트 대신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으로 바꾼 것이다. 적립률은 1.2%에 월 3만점 한도며, [[신한카드|신한]] [[네이버 페이]] [[체크카드]]와 달리 카드 사용월의 매 익월에 [[네이버페이]] 포인트가 적립된다. [[라인프렌즈]] 캐릭터형([[브라운(라인프렌즈)|브라운]], [[초코(라인프렌즈)|초코]], [[코니(라인프렌즈)|코니]], [[샐리(라인프렌즈)|샐리]])도 있다. 캐릭터형은 카드 번호가 뒷면에 프린팅되어 나오며, 테두리가 투명하다. 2017년 12월 21일에 [[네이버페이]]2가 출시되었다. 캐릭터형의 디자인이 변경되고 [[비자카드|비자]] 브랜드가 추가됐으며, [[비씨카드]]와 제휴하여 케이뱅크 최초로 [[체크카드]]에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가 적용됐다.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는 옵션이지만, 특이하게도 비교통형 역시 바로BC카드로 우회해서 나온다. 기존에 출시한 네이버페이형1[* 흰색 바탕(기본) or [[라인프렌즈]] 캐릭터형 4가지]은 신규 발급이 중단되었다. [[네이버페이]]2는 검은색 바탕(기본) or [[라인프렌즈]] 캐릭터형 4가지로 나오는데, 캐릭터 모양이 서로 다르다. [[네이버페이]]1과 함께 카드를 갖고 있을 때 [실적은 [[네이버페이]]1의 이용 금액과 [[굴비(동음이의어)#s-5|합산하여 산정]]되며, 포인트는 각 카드별 이용 금액 기준으로 적립된다.[* 즉, 1 + 2 도합 24만원이어도 적립 가능. [[네이버페이]] 포인트는 카드별로 따로 적립된다.] 2020년 6월 18일 신규/추가/갱신발급 중단. [[파일:K bank 체크카드 포인트적립형.png|width=280]]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2> 포인트적립형 || Local || 면제 || 전면 양각 || || [[비자카드|[[파일:비자카드 로고.svg|width=50]]]] || 면제 || 후면 프린트 || '''당월''' 국내 가맹점 이용금액 24만원 이상 시 '''국내외 가맹점 1% 케이뱅크 포인트 적립.''' [[2017년]] [[9월 18일]]에 [[비자카드]]가 추가됐으며, [[체크카드/해외사용|해외신판]] 금액도 포인트를 적립해 준다. 사실상의 현금 캐시백형 카드로, 월 10,000포인트 한도가 있지만 가맹점 구분 없이 막 쓰기에 아주 좋다. 특히 [[신한카드|신한]] [[네이버페이]] [[체크카드]]와 달리 케이뱅크 포인트를 1:1로 현금화할 수 있으며, [[신한카드|에스모아]]같이 현금화할 때 최소 금액 제한은 없다. 포인트는 매월 1일부터 말일까지 매입건에 대해 익월 15일(결제일)의 다음 날에 적립된다. 무실적이 아닌 것이 흠이지만, 전월 실적이 아닌 당월 실적이라서 안 쓰다가 갑자기 써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포인트의 유효 기간은 10년이다. '''하지만 [[카카오뱅크|카뱅]]과 달리, [[체크카드/해외사용|해외신판]]금액은 통으로 실적 제외다.''' [[페이코]] [[삼성 페이]]와 [[카카오페이]] 오프라인 카드 결제는 지원하지 않는다. 2020년 9월 8일 17:00에 신규/추가/갱신발급 중단. [[파일:K bank 체크카드 통신캐시백형.png|width=280]]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 통신 캐시백형 || Local || 면제 || 2018.3.23 단종 || '''전월''' 30만원 이상 사용시 '''카드 자동이체로 결제된''' [[KT]] 유무선 통신 요금을 3,000원 캐시백해 준다. 프로모션으로 24개월 간 전월 실적에 따라 8,000원 ~ 30,000원(30만원 이상 8,000원 할인, 70만원 이상 16,000원 할인, 120만원 이상 3만원 할인)까지 캐시백해 준다. 비슷한 포지션에 있는 [[체크카드]]로는 [[KT]] 신한 [[체크카드]], 리뉴널되어 나온 케이뱅크 더블혜택 체크카드가 있다. [[파일:HappyPointChkcard_01.png|width=280]] || 상품명 || 브랜드 || 연회비 || 비고 || || [[해피포인트]]형 || Local || 면제 || || 2017년 9월 28일 출시. 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시 [[해피포인트]] 가맹점에서 10% 캐시백해 주며 통합 할인한도는 4,000원, 60만 원 이상시 20% 캐시백해 주는 동시에 통합 할인한도는 8,000원이다. 캐시백은 해피포인트 가맹점에서 이용한 날로부터 2영업일 후 연결 계좌로 들어온다. 또한 해피포인트 가맹점에서 1,000원 이상 구매시 1~5% 해피포인트가 적립된다. 이 카드도 [[네이버페이]]형처럼 테두리가 투명하게 되어 있다. == 주거래 기업 == ||<-8> {{{#ffffff '''케이뱅크를 거래하는 기관/기업'''}}} || ||<-8> {{{#ffffff '''기업'''}}} || ||<-2> '''비씨카드''' || == 역대 로고 == || [[파일:케이뱅크 로고(2016-2021).svg|width=45%]] || [[파일:케이뱅크 로고.svg|width=45%]] || || {{{#ffffff '''2016~2021'''}}} || {{{#ffffff '''2021~ '''}}} || == 역대 은행장 == * 심성훈 (2016~2020) * 이문환 (2020~2021) * 서호성 (2021~ ) == 광고 == [youtube(d5DJ4HxwKr0)] [[타이포그래피]] 형식에 리듬감 넘치는 BGM을 사용한 독특한 TV CF가 인상적이다. CF에 항상 '''제1금융권 1호 인터넷전문은행'''을 강조하는 게 특징. [youtube(TnmcoYVw50w)] 2017년 10월 기준 [[이병헌]]을 모델으로 한 광고를 방영했다. [youtube(VZYoahE2sDg)] 2021년 8월 CI를 리뉴얼하고 새로운 로고와 브랜드 슬로건 'make money' 를 알리는 온라인 광고. 반복적인 모션을 통해서 브랜드 디자인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형식이 특징 [youtube(EXlMr_VYpg8)] 2022년 6월 시작한 TV CF == 기타 == * 2004년 [[KTF]]가 런칭했던 모바일 뱅킹 서비스 이름이 Kㆍbank였다. 당시 BI 컬러도 이전의 케이뱅크 BI의 컬러와 비슷한 빨간색과 검은색. 당시 KTF가 은행업을 하는건 아니었고 [[KB국민은행]], [[한미은행]], [[부산은행]] 등 제휴은행의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 다른 금융기관의 경우 은행이 카드사를 소유한 형태지만 [[케이뱅크]]는 대주주의 변경을 통해 카드사가 은행을 소유한 형태라는 특이점을 보유하고 있다. * 업비트와의 제휴 이후 업비트에 원화를 입출금하기 위해서는 케이뱅크 계좌가 필요하기 때문에, 2021년 [[암호화폐]] 투자가 유행하면서 회원이 급증하였다. 다만 이로 인해 이 즈음부터 케이뱅크로부터 대출을 받은 고객들의 연체율 역시 2022년부터 증가하였고 그 원인이 업비트와의 제휴가 아닌지 의심받고 있다.[[https://www.sedaily.com/NewsView/29OC7RFLI2|#]] 국회의원 김한규 의원실 등에 의해 공개된 바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케이뱅크의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은 0.98%로 국내 은행의 연체율인 0.46%의 2배에 달한다고 지적되는 등 여러 자료를 토대로 재정건전성 개선을 촉구하였다. 이에 대해 케이뱅크는 해당 수치들에 큰 상관관계가 없으며 유동성 면에서도 250% 수준에서 운영되는 등 안정적인 상태라고 밝혔다.[[https://www.nspna.com/news/?mode=view&newsid=632463|#]] == 관련 문서 == * [[인터넷전문은행]]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인터넷전문은행, version=19, paragraph=2.2)] [[분류:KT]][[분류:대한민국의 은행]][[분류:서울특별시의 기업]][[분류:2016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