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케이세이 전철의 노선)] [include(틀:일본의 공항철도)] ||<-2><)>{{{#!wiki style="margin: 0px -5px" [[케이세이 전철|[[파일:Keisei_Wlogo.pn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케이세이 전철|{{{#fff 케이세이 전철}}}]]}}}||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KS-NAL.svg|width=50]]||{{{#ff8620 '''{{{+1 [ruby(成, ruby=なり)][ruby(田, ruby=た)][ruby(空, ruby=くう)][ruby(港, ruby=こう)][ruby(線, ruby=せん)]}}}'''[br]Narita Airport Line[br]나리타 공항선}}}||}}}|| ||<-2>{{{#!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AE%EF%BC%88%E2%85%A1%EF%BC%89kei_naritayugawa.jpg|width=100%]]}}}|| ||<-2> 특급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스카이라이너]]' || ||<-2> '''{{{#fff 노선도}}}'''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HSKN_Line_Vroutemap.svg|width=100%]]}}}||}}}}}}}}} || ||<-2> '''{{{#fff 노선 정보}}}''' || || '''애칭''' ||나리타 스카이액세스선[br](成田スカイアクセス線)|| || '''분류''' ||간선, [[공항철도]]|| || '''기점''' ||[[케이세이타카사고역]]|| || '''종점''' ||[[나리타 공항역]]|| || '''역 수''' ||8|| || '''노선기호''' ||{{{#ff8620 {{{+1 '''KS'''}}}}}}|| || '''개업일''' ||[[2010년]] [[7월 17일]]|| ||<|4> '''소유자''' ||[[호쿠소 철도|[[파일:호쿠소 철도 로고.svg|width=200]][br]{{{#12284d,#b2c8ed 호쿠소 철도}}}]] {{{-4 (케이세이타카사고~코무로)}}}|| ||치바 뉴타운 철도 {{{-4 (코무로~인바니혼이다이)}}}|| ||[[http://www.nra36.co.jp|나리타 고속철도 액세스]] {{{-4 (인바니혼이다이~분기점)}}}|| ||[[나리타 공항 고속철도|[[파일:NKT_logo.svg|width=100]][br]{{{#0056a7 나리타 공항 고속철도 주식회사}}}]] {{{-4 (분기점~나리타공항)}}}|| || '''운영자''' ||[[케이세이 전철|[[파일:케이세이전철 로고.svg|width=200]][br]{{{#0a3788,#1e54ae 케이세이 전철}}}]]|| || '''사용차량''' ||[[케이세이 AE형 전동차|케이세이 AE]]・[[케이세이 3000형 전동차|3000]]・[[케이세이 3100형 전동차#s-2|3100]]・[[케이세이 3700형 전동차|3700형 전동차]][* 3700형은 정규 운용은 없고 3000형 및 3100형 투입이 불가능한 경우 대신 투입][br][[도쿄도 교통국 5500형 전동차]][* 2022년 2월 26일부터 액세스특급 운용 개시][br][[케이큐 600형 전동차|케이큐 600]]・[[케이큐 1700형 전동차|1700]]・[[케이큐 1000형 전동차|1000형 전동차]]|| || '''차량기지''' ||타카사고 검차구, 소고 차량기지|| ||<-2> '''{{{#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51.4km|| || '''궤간''' ||1435mm|| || '''선로구성''' ||[[복선(철도)|복선]]: 케이세이타카사고~나리타유카와[br][[단선(철도)|단선]]: 나리타유카와~나리타공항|| ||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 '''신호장비''' ||C-[[열차자동정지장치|ATS]]|| || '''최고속도''' ||160km/h||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Keisei_NAp_Line_linemap.png|width=100%]]}}}|| || 실측 지도상의 나리타 공항선 ||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HY7EVg9ltkk, start=2990,width=100%)]}}}|| || 액세스 특급 하행 전구간 주행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케이세이 전철]]의 노선 중 하나로, '나리타 스카이 액세스'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노선 색상은 주황색이다. 말 그대로 [[도쿄도]]와 [[나리타 국제공항]]을 빠르게 이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케이세이타카사고역]] - [[인바니혼이다이역]] 구간은 [[호쿠소 철도]] [[호쿠소 철도 호쿠소선|호쿠소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호쿠소선과는 선로만 공유할 뿐 다른 노선 취급이라 운행하는 승무원도 열차에 따라 다른데, 호쿠소선 운용 열차는 [[케이세이타카사고역]]에서 케이세이와 호쿠소의 승무원이 교대하지만, 나리타 공항선 열차는 케이세이의 승무원이 교대없이 우에노/오시아게~나리타 공항 전구간을 그대로 운행한다. 1982년 사실상 좌초된 상태였던 [[나리타 신칸센]]을 대신할 공항철도 계획으로서 운수성에 제출된 A, B, C안 중, B안이 채택되어 지금의 노선이 만들어졌으며, 개통은 2010년 이루어졌다. 특이한 건 케이세이는 노선 전 구간에서 제1종 철도사업자가 아니라 제2종 철도사업자 자격으로 운행한다. 위에서 보는 것처럼 다른 철도회사들이 이 노선들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중 호쿠소 철도와 치바뉴타운 철도는 케이세이의 자회사인 관계로 모회사가 자회사의 노선을 돈 주고 이용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되어 버렸다... 운행 등급으로는 스카이라이너, 액세스 특급이 있다. 스카이 라이너는 [[케이세이우에노역]], [[닛포리역]]에 정차하여, 그대로 [[케이세이 본선|본선]]을 타고 [[케이세이타카사고역]]에서 이 노선으로 진입, 무정차로 [[공항 제2빌딩역]]까지 간 다음, [[나리타 공항역]]에 종착한다. 액세스 특급의 경우 [[도영 지하철]][* 휴일의 경우 [[케이큐 전철]] 까지 들어온다.]의 차량도 들어오는데, [[케이큐 본선]] - [[도영지하철 아사쿠사선]] - 케이세이 나리타 공항선을 거쳐 3사 직통을 통해 [[하네다 공항]]과 [[나리타 공항]]을 잇고 있다. 시간으로 따질 경우 스카이라이너가 나리타 공항 - [[닛포리역|닛포리]]까지 36분, 액세스 특급은 나리타 공항 - [[히가시긴자역|히가시긴자]]까지 62분이 걸리는데 나리타 공항에서 긴자까지 갈 경우 우에노에서 긴자까지 가는 시간도 환승시간까지 고려하면 2~30분 정도 소요되므로 나리타 공항에서 도쿄 동 ~ 남쪽(아사쿠사, 긴자, 신바시 등)으로 간다면 저렴하고 (생각보다 빠른) 액세스 특급이 좀 더 낫다. [* 하지만 액세스 특급은 일반 열차이기 때문에 짐을 따로 둘만한 공간 따위는 없다. 단, 케이큐의 차량은 통로문 주변이 크로스 시트라서 그나마 편하게 갈 수 있다. ~~물론 케이세이 차량은 그런 거 없지만.~~ 그리고 2022년부터 나리타 공항선에서 운영을 시작한 5500형 전동차와 이미 2019년부터 운행을 시작한 케이세이 3100형 전동차는 공항 이용객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다른 열차들보다 캐리어를 실은 고객들이 훨씬 편하게 갈 수 있다.] [[케이세이 3400형 전동차]], [[호쿠소 철도]](와 치바 뉴타운 철도) 소속 차량은 120km/h 운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호쿠소 차량은 가능하지만 소속별 공통 다이아로 운행하기 때문에 다른 차량과 같은 취급을 받는다. 지금은 폐차된 도영 5327편성과 같은 케이스.] 호쿠소선 인바니혼이다이역까지만 운행하고 그 이후로는 운행하지 않는다. 상술했듯이 선로만 공유할뿐 호쿠소선과 나리타 공항선은 다른 노선이다. ===# 노선 데이터 #=== * 관할, 구간 : 전장 51.4km * 케이세이 전철 (제2종 철도사업자), 호쿠소 철도 (제3종 철도사업자) * 케이세이타카사고~코무로 19.8km * 케이세이 전철 (제2종 철도사업자), 치바 뉴타운 철도 (제3종 철도사업자) * 코무로~인바니혼이다이 12.5km * 케이세이 전철 (제2종 철도사업자), 나리타 고속철도 엑세스 (제3종 철도사업자) * 인바니혼이다이~나리타공항 고속철도선 분기점 10.7km * 케이세이 전철 (제2종 철도사업자), 나리타 공항 고속철도 (제3종 철도사업자) * 나리타공항 고속철도선 분기점~나리타 공항 8.4km * 궤간 : 1435mm * 역 수 : 8 * 신호장수 : 2 * 복선구간 : 케이세키타카사고~나리타유카와 * 전화구간 : 전구간 (직류 1500V)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 보안장치 : C-ATS * 최고속도 * 케이세이타카사고~인바니혼이다이 : 130km/h (스카이라이너) * 인바니혼이다이~공항 제2빌딩 : 160km/h (스카이라이너) * 케이세이타카사고~공항 제2빌딩 : 120km/h (엑세스특급) * [[교통카드]] 호환지역 : 전구간 == 운행 등급 ==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파일:Skyliner_tlogo.png|width=125]]]]||모든 열차가 [[케이세이우에노역|케이세이우에노]]에서 착발하며, 공항선 내에서는 [[공항 제2빌딩역]]과 [[나리타 공항역]]에 정차한다. 2022년 11월 26일부터는 1시간에 1대 간격으로 [[신카마가야역]]에도 정차한다. || ||<:>{{{-2 {{{#ffffff 액세스 특급}}}}}}||[[케이세이우에노역|케이세이우에노]]·[[하네다 공항 제1·제2터미널역|하네다 공항]]·[[게이큐쿠리하마역|게이큐쿠리하마]](주말)·[[니시마고메역|니시마고메]] 착발 편성이 있으며, 스카이액세스선 내 모든 역에 정차한다. 하네다발은 케이큐선-아사쿠사선내 [include(틀:글배경, 배경색=#f38f34, 글자색=#ffffff, 내용=에어포트쾌특)]이며, 일부 열차는 케이큐선내 [include(틀:글배경, 배경색=#489245, 글자색=#ffffff, 내용=쾌특)]/[include(틀:글배경, 배경색=#2983a5, 글자색=#ffffff, 내용=에어포트급행)], 아사쿠사선내 각역정차한다. 하네다 이외 착발편성은 케이큐선내 [include(틀:글배경, 배경색=#489245, 글자색=#ffffff, 내용=쾌특)]/[include(틀:글배경, 배경색=#de2627, 글자색=#ffffff, 내용=특급)], 아사쿠사선내 각역정차한다.|| ||<-2><:>나머지 [include(틀:글배경b, 배경색=#e7364a, 글자색=#ffffff, 내용=특급)], [include(틀:글배경b, 배경색=#00a9ab, 글자색=#ffffff, 내용=급행)], [include(틀:글배경b, 배경색=#58585a, 글자색=#ffffff, 내용=보통)]은 [[호쿠소선]] 문서 참조.|| 이 중에서 액세스 특급의 경우, 스카이라이너에 시간 경쟁력을 부여하기 위해 나리타 공항선과 호쿠소선 내에서는 정차시간을 의도적으로 길게 잡는 경우가 있다. 특별히 대피하는 열차가 없음에도 정차하는 역마다 3~4분 이상 대기하기도 한다. == 역 목록 == ||<:>표기||<:>이름|| ||<:>{{{#203367,#018fd9 '''S'''}}}||<:>[[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스카이라이너]]|| ||<:>{{{#f57b22 '''A'''}}}||<:>액세스 특급|| ||<-2><:>통과하는 열차는 {{{#e0e0e0,#383b40 '''흐리게'''}}} 표기되어 있다.|| ||<-2><:>일부 열차만 정차하는 역은 __밑줄__로 표기되어 있다.|| ||<-7><:>{{{#ffffff '''케이세이 전철 나리타 공항선'''}}}|| ||<:>{{{#ffffff km}}}||<:>{{{#ffffff 번호}}}||<:>{{{#ffffff 역명}}}||<:>{{{#ffffff 우등}}}||<:>{{{#ffffff 환승노선}}}||<-2><:>{{{#ffffff 소재지}}}|| ||<:>↑||<-6>'''스카이라이너/액세스특급''' : [[파일:KS-blue.svg|width=17]][[케이세이 본선|본선]] [[케이세이우에노역|케이세이우에노]]까지 직통 '''액세스특급''' : [[파일:KS-blue.svg|width=17]][[케이세이 본선|본선]]·[[케이세이 오시아게선|오시아게선]], [[도에이 지하철]]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width=17]][[도에이 아사쿠사선|아사쿠사선]] 경유  1.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width=17]][[도에이 아사쿠사선|아사쿠사선]] [[니시마고메역|니시마고메]]까지 직통  2. [[케이큐 전철]] [[파일:Keikyu-KK.svg|width=17]][[케이큐 본선|본선]] 경유 [[파일:Keikyu-KK.svg|width=17]][[케이큐 공항선|공항선]] [[하네다 공항 제1·제2터미널역|하네다 공항 제1·제2터미널]]까지 직통  3. [[케이큐 전철]] [[파일:Keikyu-KK.svg|width=17]][[케이큐 본선|본선]] 경유 [[파일:Keikyu-KK.svg|width=17]][[케이큐 쿠리하마선|쿠리하마선]] [[케이큐쿠리하마역|케이큐쿠리하마]]까지 직통|| ||<:>0.0||<:>KS10||<:>[[케이세이타카사고역|케이세이타카사고]][br]京成高砂||<:>'''{{{#e0e0e0,#383b40 S}}} {{{#f57b22 A}}}'''||¶[[케이세이 전철]] [[파일:KS-blue.svg|width=17]][[케이세이 카나마치선|카나마치선]], [[파일:KS-blue.svg|width=17]][[케이세이 본선|본선]] '''(직통운행)'''[* 야와타, 치바, 후나바시 방면 환승필요]||<-2><:>[[도쿄도]][br][[카츠시카구]]|| ||<:>7.5||<:>-||<:>[[히가시마츠도역|히가시마츠도]][br]東松戸||<:>'''{{{#e0e0e0,#383b40 S}}} {{{#f57b22 A}}}'''||¶[[호쿠소 철도]] [[파일:Hoku-HS.svg|width=17]][[호쿠소 철도 호쿠소선|호쿠소선]](HS05)[br]¶[[JR 동일본]] [[파일:JRE-JM.svg|width=17]][[무사시노선]](JM13)||<|8><:>[[치바현|치[br]바[br]현]]||<:>[[마츠도시]]|| ||<:>12.7||<:>-||<:>[[신카마가야역|신카마가야]][br]新鎌ヶ谷||<:>'''{{{#203367,#018fd9 __S__}}} {{{#f57b22 A}}}'''||¶[[호쿠소 철도]] [[파일:Hoku-HS.svg|width=17]][[호쿠소 철도 호쿠소선|호쿠소선]](HS08)[br]¶[[신케이세이 전철]] [[파일:SKS-SL.svg|width=17]][[신케이세이 전철 신케이세이선|신케이세이선]](SL11)[br]¶[[도부 철도]] [[파일:Tobu-TD.svg|width=17]][[도부 노다선|노다선]](TD30)||<:>[[카마가야시]]|| ||<:>23.8||<:>-||<:>[[치바뉴타운츄오역|치바뉴타운츄오]][br]千葉ニュータウン中央||<:>'''{{{#e0e0e0,#383b40 S}}} {{{#f57b22 A}}}'''||¶[[호쿠소 철도]] [[파일:Hoku-HS.svg|width=17]][[호쿠소 철도 호쿠소선|호쿠소선]](HS12)||<|2><:>[[인자이시]]|| ||<:>32.3||<:>-||<:>[[인바니혼이다이역|인바니혼이다이[br]{{{-2 (마츠무시히메)}}}]][br]印旛日本医大[br]{{{-2 (松虫姫)}}}||<:>'''{{{#e0e0e0,#383b40 S}}} {{{#f57b22 A}}}'''||¶[[호쿠소 철도]] [[파일:Hoku-HS.svg|width=17]][[호쿠소 철도 호쿠소선|호쿠소선]](HS14)|| ||<:>40.7||<:>KS43||<:>[[나리타유카와역|나리타유카와]][br]成田湯川||<:>'''{{{#e0e0e0,#383b40 S}}} {{{#f57b22 A}}}'''||<:>||<|4><:>[[나리타시]]|| ||<:>-||<:>-||<:>[[네코야 신호장]][br]根古屋信号場||<:>'''{{{#e0e0e0,#383b40 S A}}}'''||<:>|| ||<:>50.4||<:>KS41||<:>[[공항 제2빌딩역|공항 제2빌딩[br]{{{-2 (나리타 제2・제3터미널)}}}]][br]空港第2ビル[br]{{{-2 (成田第2・第3ターミナル)}}}||<:>'''{{{#203367,#018fd9 S}}} {{{#f57b22 A}}}'''||¶[[케이세이 전철]] [[파일:KS-blue.svg|width=17]][[케이세이 본선|본선]][* 나리타, 사쿠라, 치바 방면 환승필요][br]¶[[JR 동일본]] [[파일:JRE-JO.svg|width=17]][[나리타선]](JO36)|| ||<:>51.4||<:>KS42||<:>[[나리타 공항역|나리타 공항[br]{{{-2 (나리타 제1터미널)}}}]][br]成田空港[br]{{{-2 (成田第1ターミナル)}}}||<:>'''{{{#203367,#018fd9 S}}} {{{#f57b22 A}}}'''||¶[[케이세이 전철]] [[파일:KS-blue.svg|width=17]][[케이세이 본선|본선]][br]¶[[JR 동일본]] [[파일:JRE-JO.svg|width=17]][[나리타선]](JO37)|| == 차량 == 취소선은 은퇴 차량 === 자사 차량 === * [[케이세이 AE형 전동차#s-2|케이세이 AE형 전동차]] - 특급 스카이 라이너 열차에 운용 * [[케이세이 3000형 전동차]] * [[케이세이 3100형 전동차#s-2|케이세이 3100형 전동차]] === 타사 차량 === * ~~[[도쿄도 교통국 5300형 전동차]] - 2023년 2월 23일 은퇴. [[도에이 아사쿠사선]], [[케이큐 본선|케이큐선]] 직통 열차에 운용했었다.~~ * [[도쿄도 교통국 5500형 전동차]] - [[도에이 아사쿠사선]], [[케이큐 본선|케이큐선]] 직통 열차에 운용 * [[케이큐 1000형 전동차]] - [[도에이 아사쿠사선]], [[케이큐 본선|케이큐선]] 직통 열차에 운용 * [[케이큐 600형 전동차]] - [[도에이 아사쿠사선]], [[케이큐 본선|케이큐선]] 직통 열차에 운용 * [[케이큐 1500형 전동차]] - [[도에이 아사쿠사선]], [[케이큐 본선|케이큐선]] 직통 열차에 운용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노선 관련 정보]] * [[공항철도]] * [[나리타 국제공항/철도]] * [[케이세이 전철]] * [[케이세이 스카이라이너]] * [[호쿠소선]] * [[케이세이 본선]] * [[케이세이 오시아게선]] * [[도에이 아사쿠사선]] [[분류:케이세이 나리타 공항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