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JR 도카이의 우등열차)] [include(틀:JR 서일본의 우등열차)] ||<-2><:>{{{+1 '''こだま'''}}}[br]Kodama / 코다마|| ||<-2><:>'''정보'''|| ||<:>'''운행 국가'''||[[일본]] || ||<:>'''종별'''||신칸센 특별급행열차 || ||<:>'''현황'''||운행중 || ||<:>'''운행 지역'''||[[간토]], [[주부(일본)|주부]], [[간사이]], [[주코쿠]], [[규슈]][br]([[도쿄도]],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br][[아이치현]], [[기후현]], [[시가현]], [[교토부]],[br][[오사카부]], [[효고현]], [[오카야마현]],[br][[히로시마현]], [[야마구치현]], [[후쿠오카현]]) || ||<:>'''전신'''||특급 코다마, [[츠바메(특급)|츠바메]], 하토 외 || ||<:>'''운행개시일'''||[[1964년]] [[10월 1일]] || ||<:>'''운영자'''||[[JR 도카이|[[파일:JR 도카이 로고.svg|width=220]][br]{{{#F77321 JR 도카이}}}]][br][[JR 서일본|[[파일:JR 서일본 로고.svg|width=220]][br]{{{#0072bc JR 서일본}}}]]|| ||<-2><:>'''노선'''|| ||<:>'''기점'''||[[도쿄역]] || ||<:>'''종점'''||[[하카타역]] || ||<:>'''운행거리'''||1069.1km || ||<:>'''경유노선'''||[[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 || ||<-2><:>'''차내 서비스'''|| ||<:>'''클래스'''||그린샤, 보통차 || ||<:>'''좌석'''||그린샤 지정석[* 8량 기준 6호차(반실그린샤, N700계만), 16량 기준 8, 9, 10호차][br]보통차 지정석[* 8량 기준 4, 5, 6호차, 16량 기준 7, 11, 12호차][br]보통차 자유석[* 8량 기준 1~3, 7, 8호차, 16량 기준 1~5, 13~16호차] || ||<-2><:>'''기술'''|| ||<:>'''차량'''||[[신칸센 N700계 전동차|N700·N700S계]][br](도쿄 교번검수차량소, 오사카 교번검수차량소,[br]하카타 종합차량소, [[쿠마모토 종합 차량소]][* JR큐슈 차량들이 간혹 산요신칸센에서 코다마로 운행되는 경우가 있다. 8량이므로 신오사카역 동쪽으로는 가지 않는다.][* N700계의 산요 신칸센 구간 코다마 운용은 드물다. 모두 8량 편성이고, 아침 코쿠라 → 하카타 2회, 오카야마 → 신오사카 1회, 미하라 → 신오사카 1회, 하카타 → 신시모노세키 1회, 저녁 신오사카 → 오카야마 1회, 신오사카 → 미하라 1회, 하카타 → 코쿠라 1회가 운행된다. 신시모노세키 - 미하라 구간은 아예 운행하지 않는다.])[br][[신칸센 700계 전동차|700계]] (하카타 종합 차량소)[br][[신칸센 500계 전동차|500계]] (하카타 종합 차량소) || ||<:>'''궤간'''||1435mm || ||<:>'''전력 공급'''||교류 25000V 60Hz || ||<:>'''최고 속도'''||285㎞/h(도쿄 ~ 신오사카)[br]285㎞/h(신오사카 ~ 하카타)[br]120㎞/h(하카타 ~ 하카타미나미) || ||<:>[[파일:700-3000_17.jpg|width=100%]] || ||<:>{{{#ffffff 16량 도카이도 신칸센 코다마}}}|| || [youtube(J4Tyl_T8-68,width=100%)] || ||<:>{{{#ffffff 산요 신칸센 구간 측면 주행영상}}}|| [목차] [clearfix] == 개요 == [[도카이도 신칸센]]과 [[산요 신칸센]]의 열차 등급 중 모든 역에 서는 완행 신칸센 열차. 이름의 뜻은 [[메아리]]의 일본어 히라가나 표기를 차용했다. --[[야마비코(신칸센)|야마비코]]와 헷갈리지말자-- == 특징 == 도카이도-산요신칸센의 가장 최하 등급으로, 무조건 모든 신칸센 정차역에 각역 정차하며, 신오사카-도쿄 '''4시간''', 신오사카-하카타 '''4시간 반'''이라는 엄청난 소요시간을 자랑한다.[* 4시간 반이면 노조미로 도쿄에서 하카타까지 가는 소요시간과 맞먹는다.] 심지어 노조미같은 높은 등급의 열차를 먼저 보내주느라 역에 10분정도 정차하는 일이 많아 이 또한 소요시간을 잡아먹는 역할을 하고있다. 심지어 [[아사역]]같은 경우 통과열차를 '''두대 씩이나''' 보내주느라 15분 이상 깎아먹는다.--오카야마역의 코다마 840호에 비하면 별거 아니란게 함정--[* 다만, 가끔은 코다마 때문에 노조미가 지연되는 상황이 생긴다. 코다마가 역에서 출발하는 도중에 [[노조미(열차)|노조미]]가 역으로 진입하면서 신호를 받기 때문이다.] 사실상 도카이도 신칸센 코다마와 산요 신칸센 코다마는 다른 열차이다. 코다마에 사용되는 열차는 노조미나 히카리에서 퇴역한 비교적 구식 열차가 많았지만, 현재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은 전부 [[신칸센 N700계 전동차|N700계]]로 통일이 되었으며, [[산요 신칸센]]의 경우 원래 사용되어지던 [[신칸센 700계 전동차|700계]]와 함께 [[신칸센 N700계 전동차|N700계]]가 등장한 이후, 원래 [[노조미(열차)|노조미]]로만 뛰고있던 '''[[신칸센 500계 전동차|500계]]'''가 8량으로 개조되어 '''[[산요 신칸센]]'''에서 코다마 등급으로만 뛰기 시작했다. 이유인 즉슨 원래 500계는 16량 편성인데, 둥근 차체 때문에 공간이 비좁고 좌석배열이 기존차량들과 다르며, N700계 보다 가속성능이 떨어지며 틸팅 기능이 없어 계속 [[도카이도 신칸센]]에서 굴리기엔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이었다.[* 500계가 산요 신칸센에만 투입되는 이유는 도카이도 신칸센 처럼 시간당 열차수가 많지는 않기에 다이어에 여유가 있다는 점, 비교적 코너가 적어 틸팅 기능이 필요없다는 점, 모든 500계 신칸센은 원래 [[JR 도카이]] 소속이 아닌 [[JR 서일본]] 소속이었다는 점, 마지막으로 [[JR 서일본]]이 짠돌이라는 점(...)등이 있다.] 하지만 최대 시간당 16편수의 열차가 운행되어지는 세계최고의 고밀도 고속철도를 자랑하는 도카이도 신칸센에서는 다이어가 극히 빡빡하며 그와중에 노조미가 시간당 12편수나 되기 때문에 코다마는 노조미가 지연되는 일이 없도록 가감속 성능이 뛰어난 N700계 전동차로 통일되어있다. 또한, N700계의 특징인 뛰어난 가감속 성능을 최대한 활용해 빠르게 속도를 올려 해당구간의 최고 속도를 가능한 최대로 유지하다가 다시 급감속하여 역에 정차하고나서 수십초안에 전속력으로 뒤따라오는 노조미를 바로 통과시키는 다이나믹한 운행을 하고 있기에 N700계 열차의 성능을 만끽하기에는 가장 훌륭한 열차이기도 하다(...).[* 코다마가 완행 신칸센 등급이라서 느리게 운행한다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일단 코다마라도 달리기 시작하면 다음 역에 진입할 때까지는 노조미에 버금가는 속도로 달려야 한다. 괜히 느리게 달려봤자 노조미를 상대로 길막하는 것 밖에 안 되기 때문이다.] 신칸센 중에서 이용객이 적고 좌석상황도 여유로워 할인승차권을 거의 대놓고 팔고 있다. [[http://www.jrtours.co.jp/kodama/|푸랏토코다마]]라는 상품이며 JR 도카이의 자회사에서 내놓은 일종의 관광상품이다. 코다마의 지정석 이용이 가능하며 대략 1000엔~1500엔 정도의 추가요금을 지불하면 그린샤 이용도 가능하다. 티켓을 구매하면 음료수 교환권도 같이 준다. 일부 여행객들은 이걸 타고 정차 시간동안 에키벤 사서 먹고 홈 내 음식점에서 밥도 먹는다고.--그리고 아주 긴 16량 홈 산책도 즐길 수 있다-- 신칸센 중에서는 가장 느리지만 어쨌든 고속버스보다는 훨씬 빠르면서 요금도 저렴한 편이라[* 도쿄~신오사카까지 10700엔 정도 하며 비행기보다는 대체적으로 저렴하다. 버스는 대략 2000엔 안쪽에서 부터 시작하지만 저런버스들은 한국의 일반고속수준도 못한 버스시설을 자랑한다. 조금 괜찮은놈을 타려면 7000엔 이상은 줘야 하는데 이러면 푸랏토코다마가 가성비가 더 좋아진다.] 많이들 이용하는 편이다. JR 서일본의 산요 신칸센 구간에서도 푸랏토코다마의 산요 신칸센 버전인 [[https://www.nta.co.jp/jr/shinkansen/kodama/|바리토쿠 코다마]]가 있으며 JR 서일본의 자회사 일본여행에서 내놓고 있다. 또한 [[JR패스]]로 자유석/지정석 모두 탑승 가능하다. 코다마 열차만 정차하는 역은 [[신후지역(시즈오카)|신후지역]], [[카케가와역]], [[미카와안조역]], [[아사역]]이다. 코다마는 [[차내판매]]가 없다. 따라서 신칸센에 승차하기 전에 음식물을 사들고 타야 한다. 자유석은 16량 코다마에서는 1~6호차, 13~16호차에 설정되어있다.[* 단, JR 도카이에서는 일부 편성에 한하여 13, 14호차가 지정석이 되거나 모든 보통차(1~7, 11~16호차)가 자유석이 될 수 있음을 고지하고 있다.] 8량 코다마에서는 1~3, 7~8호차가 자유석으로 설정되는 것이 원칙이고, 8호차에 있는 4인용 별실을 사용할 수 없다.[* 예외적으로 코다마 843, 847, 849, 854, 856, 858호는 7, 8호차가 지정석이고, 별실 사용이 가능하다. 코다마 781, 789, 833, 835, 832, 876, 878호는 4호차가 자유석이다. 코다마 773, 783, 787, 831, 776, 778호는 전석 자유석으로, 원칙적으로 지정석이여야 할 6호차에 있는 대형 화물 적재공간석 사전 예약이 필요하지 않다.] 코다마에 할당된 열번은 7~800번대이다. 이중 842호[* 07:04 하카타발 신오사카행], 849호[* 11:37 신오사카발 하카타행]는 '''헬로키티 신칸센'''이다. 헬로키티 신칸센의 경우 운휴일이 불규칙적이므로 확인은 필수이다. == 과거의 특급열차 == [[파일:external/homepage1.nifty.com/Tc26003kodama590328.jpg]] 1958년의 151계 코다마. 일본 국철 특급형 전동차의 트렌드였던 '고공 운전석'이 잘 드러난다. 본디 "코다마"라는 이름은 [[도카이도 본선]]에서 [[도쿄역|도쿄]]-[[오사카역|오사카]] 구간을 왕복하던 특급열차가 사용하던 이름이었다. 1950년대 코다마(こだま)[* 신칸센 코다마와 구별하기 위해 흔히 다이이치 코다마(第1こだま)라 한다. 초기에는 1일 2왕복 운행이었기에 첫 출발편을 제1코다마(第1こだま), 두 번째를 제2코다마(第2こだま)라 했는데 여기서 유래했다.]로 운행하여 도쿄-오사카를 '''6시간 40분'''에 주파한 특급 열차가 원조. 사용되던 차량은 151계 차량으로, 등장 당시에는 20계로 불렸었다. 일본 국철 최초의 [[특급형 전동차]]로 95km/h까지밖에 못 내던 기존 국철 기관차-객차 편성을 뛰어넘는 110km/h 운행을 실현했으며, [[80계 전동차]]와 함께 현재의 일본이 [[동차]]([[동력분산식]]) 왕국이 되는 계기가 된 전동차이다. 이후 [[1964 도쿄 올림픽]]에 맞추어 신칸센이 개통할 때 최고특급의 이름은 자연스레 신칸센으로 옮겨갔으나, 이후 히카리, 노조미 등급이 등장하며 현재는 [[근성열차/일본|근성열차]]가 되었다. [include(틀:신칸센)] == 관련 문서 == * [[일본 철도 정보]] * [[신칸센]] [[분류:신칸센의 운행 등급]][[분류:도카이도 신칸센]][[분류:산요 신칸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