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코리아케라톱스}}}[* 코레아케라톱스라고 하기도 한다.][br]Koreaceratop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blogs.smithsonianmag.com/koreaceratops-skeleton.jpg|width=100%]]}}} || ||<-2> 백악기 전기[br]103,500,000 년 전 ~ 102,500,000 년 전[br]아시아 || ||<-2><#F93> '''학명''' || ||<-2> ''' ''Koreaceratops hwaseongensis'' '''[br][[이융남|Lee]] ''et al''., 2011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조반목]]^^Ornithischia^^|| || '''아목''' ||†각각아목^^Cerapoda^^|| || '''하목''' ||†[[각룡류|각룡하목]]^^Ceratopsia^^|| ||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신각룡류^^Neoceratopsia^^||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코리아케라톱스속^^''Koreaceratop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코라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K. hwaseongensis'')^^{{{-1 [[모식종]]}}}^^[br][[이융남|Lee]] ''et al''., 2011|| || [[파일:20101220-01-a.jpg|width=490]] || || 복원도 || || [[파일:Koreaceratops_skeletal_drawing_(PARK_&_SON,_2022).jpg|width=490]] || || 골격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악기]] 전기 알바절, 아시아에 서식했던 [[각룡류]] [[공룡]]. 화석은 한반도에서 발견되었는데, 2008년 무렵 [[경기도]] [[화성시]] 탄도방조에서 직원에 의해 처음 화석이 발견되었고 2011년 초 [[이융남]] 박사에 의해 "한국의 뿔 달린 얼굴"이라는 뜻의 '코리아케라톱스'라 명명되었다. 발견 당시 화석이 잘려나가 뒷부분만 발견되었는데, 해당 화석이 방조제에 쓰이기 전까지는 더 많은 부분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195667122000143?via%3Dihub|화석화된 개체는 죽을 당시 8살로 추정된다고 하며 아직 다 자란 개체가 아니라고 한다.]] == 특징 == 몸길이는 1.3m 정도 되며 아직 다 자라지 않은 모식 표본이 기준이기 때문에 성체는 더 컸을 것이다. 발견 부위는 좌골, 뒷다리 일부, 꼬리뼈로 꼬리가 비교적 두껍고 길며 발은 비교적 작다. 꼬리뼈의 구조가 [[프로토케라톱스]]와 유사한 것을 보고 각룡류임을 알아냈다고 한다. 가장 가까운 종류는 [[중국]]에서 발견된 [[아르카이오케라톱스]]. 코리아케라톱스의 가장 큰 특징은 미추의 높은 신경배돌기며 가장 높은 것은 꼬리뼈 높이의 다섯 배 정도 되었다. 다른 각룡류 분기군에서도 비슷한 특징이 나타나기에 일각에서는 프로토케라톱스와 같은 원시 각룡류가 반수생 생활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코리아케라톱스의 꼬리 구조 역시 헤엄 치기에 적합한 구조라고 주장한다.[* 고래처럼 수직으로 꼬리를 저을 수 없어 수영에 적합하지 않다는 얘기가 있지만 이는 적절한 반박의 근거가 될 수 없는 것이, 당장 [[악어]]가 헤엄칠 때 어떻게 꼬리를 사용하는지 생각해보면 답은 나온다.] 하지만 과거 [[하드로사우루스]]류 역시 비슷한 구조의 꼬리 때문에 한때 수생생활을 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후 꼬리 구조가 수생 생활과 무관하다는 것이 밝혀진 선례가 있는지라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도록 하자. 다만 수각류 중에서 [[스피노사우루스]]의 경우 정말로 지느러미가 달린 꼬리를 이용해 물 속에서 헤엄치며 반수생 생활을 했을 것으로 보고있다. 현재 화성시 공룡알 방문자 센터에 화석 레플리카와 함께 복원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파일:external/www.clevescene.com/1291657219-koreaceratops.jpg|width=500]] 현재 국내에서 묘사되는 코리아케라톱스 이미지의 기준처럼 자리잡은 [[팔레오아티스트]] 줄리어스 초토니(Julius T. Csotonyi)의 코레아케라톱스 복원도. 이 디자인은 이후 화성시 [[마스코트]] [[코리요]]에도 적용되었고 [[1억년 뿔공룡의 비밀]]에서도 이 디자인으로 나왔다.[* 이쪽 업계에서는 꽤 흔한 일로 특히 [[공룡대탐험]] 이후로 각종 매체에서 등장하는 고생물을 복원할 때 이쪽 복원도를 수렴하는 일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마이너한 속이었다가 하루아침에 인지도가 급상승한 [[리오플레우로돈]] 같은 경우가 대표적.] 이에 대해 여러모로 말들이 많지만 정작 원작자는 자신의 디자인이 널리 쓰인다며 기뻐했다고. == 각룡류 진화의 실마리 == 본래 [[각룡류]]는 쥐라기 후기 중국에서 발굴된 [[인롱]]을 시초로 아시아에서 기원하였다. [[프시타코사우루스]]가 중국, 몽골, 태국, 시베리아 등지에서 발견되었으나 대부분의 원시 각룡류의 화석은 지금까지 중국의 후기 쥐라기와 전기 백악기 지층에서만 발견됐기 때문이다. > 기존의 각룡류의 계통발생학적 연구는 주로 머리뼈에 한정되어 이루어져왔기 때문에 비록 머리뼈가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코리아케라톱스는 하반신 화석의 발견으로 인해 머리뼈와 몸뼈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포괄적으로 각룡류의 진화 과정을 밝히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위하여 기존의 data matrix에 새로운 3개의 characters를 더하여 총 136개의 characters를 21개의 ceratopsian taxa에 coding 하여 PAUP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4개의 most parsimonious trees가 구해졌는데 이들 4개의 분기도의 차이는 단지 Udanoceratops, Leptoceratops, Montanoceratops, Prenoceratops의 내부 상대적 위치(internal topology)의 차이이며 4개의 분기도를 종합한 결과 총 241개의 steps를 가진 strict consensus tree(CI 0.672, RI 0.785)가 구해졌다. > > 분기도는 각룡류의 진화방향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Ceratopsoidea는 13개의 synapomorphies로 통합되며 이들 대부분은 진화된 각룡류에 있어 몸 크기가 커지면서 몸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비례적으로 골격이 강건해지는 것과 관계가 있다. Neoceratopsia를 정의하는 세가지 몸뼈의 특징은 신경배돌기와 혈관궁에 있으며 코리아케라톱스와 더 진화된 neoceratopsians들에 적용되는 한 가지 진화된 특징은 혈관궁의 길이보다 더 긴 신경배돌기이다. 이렇게 긴 신경배돌기는 코리아케라톱스를 포함해 Montanoceratops,Udanoceratops, Protoceratops, Bagaceratops에 더 현저하게 나타나는데 이 특징은 각룡류로 진화되면서 이차적으로 사라진다. 따라서 서너 종의 원시 각룡류에서 신경배돌기가 길게 발달하는 것은 진화적인 의미를 갖기 보다는 기능적인 역할에 의한 수렴진화라 볼 수 있다. 프로토케라톱스의 높고 납작한 꼬리는 과거 여러 학자들에 의해 헤엄을 치는데 이용되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지배적이지만 지방과 물을 저장하기 위한 구조라는 주장과 열을 발산하기 위한 주장도 있었다. > > ''[[이융남]] (2011). 코리아케라톱스(Koreaceratops)에 의해 밝혀진 각룡류 공룡 진화의 새로운 증거들. 고생물학회지, 27(2), 288-289'' == 천연기념물 지정 == [include(틀: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63105710000&pageNo=1_1_1_1&sngl=Y|문화재청 홈페이지 : 화성 뿔공룡(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골격 화석 (華城 뿔恐龍(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骨格 化石)]] >한반도에서는 첫 발견된 각룡류 공룡(일명 “뿔공룡”)화석으로 중생대 전기 백악기(약 1억2천만년 전)에 각룡류 공룡이 한반도에 살았음을 알 수 있음. > >살아있을 때의 이 공룡의 전체 길이는 약 2.3미터로 추정되며, 계통발생학적 연구 결과 이족보행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각룡류의 걸음걸이 진화(이족보행에서 사족보행으로 진화) 과정을 규명하는데 있어 초기(원시적인) 각룡류의 보행특성을 이해하는 중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 > >한반도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된 각룡류 화석으로 국제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아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 (Koreaceratops hwaseongensis)(“화성에서 발견된 한국 각룡류 공룡”이란 뜻)로 명명됨. 문화재청에서 2022년 10월 7일에 위의 세 가지 근거를 들어 모식종의 골격 화석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국내의 화석 중 최초로 등재된 골격 화석이다. == 등장 매체 == [[다큐멘터리]]에서는 [[MBC]]의 [[공룡의 땅]]에서 출연. 방영 당시에는 아직 정식으로 명명되기 전이라 극중에서는 '공룡 X'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초반부에 발견되는 장면이 나오고 이후 이융남 박사가 그 화석을 연구실로 가져와 해체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후에는 [[몽골]] 탐사 파트에서 이융남 박사가 동행한 학자들에게 보여주는 사진자료로 등장.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 3D]]에 등장하는 동물들을 공개할 당시에는 정작 이 공룡과 [[코레아노사우루스]]가 없었으나, 2014년 1월 27일과 2월 3일에 MBC의 다큐멘터리인 [[1억년 뿔공룡의 비밀]]의 2부 주제로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심지어 이 공룡의 [[애니매트로닉스]]도 만들어졌다. [youtube(HIdaO6nnMfA)] [[화성시]]의 적극적인 푸시에 힘입어 현재는 [[코리요]]라는 마스코트 캐릭터로서 화성시의 상징으로 등극했다. 화성시가 운영하는 여러 공공장소에 방문해보면 이 녀석의 동상을 쉽게 볼수 있으며 화성시 곳곳에 [[코리요]]의 동상이 있다. [[H버스]] 도색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영화 [[다이노X 탐험대]]가 이 공룡에 대해 다룬다. 2021년 8월 16일 출시된 스팀의 인디게임 The Depths: Prehistoric Survival에서 등장 확정되었다. [[분류:신각룡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