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rd1=코즈워스, other1=폴아웃 4의 등장 동료)] [include(틀:주요 자동차 튜닝 브랜드)] ---- ||<-2> '''{{{+3 Cosworth}}}''' [br] {{{#ffffff 코스워스}}} || ||<-2><#ff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x-width: 260px" [[파일:6DF66FC9-927B-40C0-8735-D914798DDA53.jpg|width=300px]]}}} || || '''정식 명칭''' ||Cosworth || || '''한국어 명칭''' ||코스워스 || || '''설립''' ||[[1958년]] || || '''설립자''' ||마이크 코스틴(Mike Costin)[br]키이스 덕워스(Keith DuckWorth) || || '''본사 소재지'''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노샘프턴셔]] || || '''링크''' ||[[https://www.cosworth.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1958년 [[영국]]에서 마이크 '''코스'''틴(Mike '''Cos'''tin)과 키이스 덕'''워스'''(Keith Duck'''Worth''')가 설립한 고성능 엔진 설계 제작 회사.[* 두 사람의 성에서 글자를 따서 코스워스라 이름 지었다. 이들은 한때 [[로터스(자동차)|로터스]] 직원이었다.] 주로 [[모터스포츠]]에 특화된 엔진 제작이 특기이나, 많은 완성차 업체에도 엔진을 납품했던 회사다. 현재 승용분야는 분사되었다. 홈페이지 [[https://www.cosworth.com/|#]] == 모터스포츠용 엔진 == ||<-2><#fff> '''포뮬러 1 엔진 제조사 커리어''' || || '''첫 참가''' || 1967 [[모나코 그랑프리|모나코 GP]] || || '''마지막 참가''' || 2013 브라질 GP || || '''레이스 참가 횟수''' || 681경기 || || '''포디엄''' || 535회 || || '''폴 포지션''' || 140회 || || '''패스티스트 랩''' || 161회 || || '''레이스 우승''' || 176회 || ||<-2><#fff> '''챔피언십 횟수''' || || '''드라이버''' || 13회 || || '''컨스트럭터''' || 10회 || [[WRC]]나 [[슈퍼바이크]] 등에도 참가하고 있으나 뭐니뭐니해도 [[F1]]에서 부각받던 엔진 명가였다. 63년부터 F1에 데뷔하여 2006년에 철수하기까지 코스워스 엔진이 거둔 승수는 176승. [[파일:7EFA849E-4823-4D1D-943E-B197FA35352F.jpg|width=400]] 가장 영광을 누렸던 시기는 명기인 DFV(Double Four Valve)엔진을 내세웠던 시절로, 67년부터 83년까지 무려 154승을 거둔 코스워스 최전성기의 엔진이다. 본래 [[로터스]] F1팀을 위해 [[포드]]의 자금지원을 받아 개발된 유닛으로, 로터스뿐 아니라 당시 F1을 지배하던 영국 출신의 소자본 팀들이 하나같이 애용하던 엔진으로 60-70년대 포뮬러 원의 상징과도 같다. 직접 많은 시간과 돈을 들여 파워트레인을 개발할 필요가 없이 성능과 신뢰성이 검증된 DFV 엔진과 휴랜드(Hewland)제 기어박스를 납품받고, 남는 자금과 여력을 가볍고 공기역학적인 차체와 서스펜션 기술 등을 개발하는데 쓸 수 있었기에 많은 F1 팀들에게 애용되었다. 전성기 때는 직접 엔진을 만드는 [[페라리]]와 BRM을 빼고 참가팀 전부 DFV를 갖다 박았던 시즌도 있었다.(...) 이당시 위세가 어느 정도였는지 감이 안간다면, 최전성기를 구가하던 1973년에 총 18개 팀이 출전하여 총 15전이 열렸는데, 전경기 모두 DFV 엔진을 얹은 차가 우승을 다 해버리면서 엔진 승률 100%를 달성했다! F1 역사상 한 엔진이 승률 100%를 기록한 것은 이 해가 유일하다. 이후 F1에 [[터보]]엔진 시대가 열리고 자본을 앞세운 워크스 팀이 들어오면서 명성이 퇴색[* 그래도 F1 드라이버의 등용문인 하위 포뮬러 카테고리인 F3000(현 [[F2]])의 제식 엔진으로 90년대 초까지도 쓰였다.]하기 시작해, 돈없는 하위권 독립팀이 싼맛에 쓰는 식으로 전락했다가, 2004년에 [[포드(자동차)|포드]]가 코스워스를 챔프카(CART)팀인 포사이스에게 매각하게 되면서 2006년을 끝으로 F1에서는 완전 철수했었다.[* 2006 시즌에서 유일하게 [[윌리엄스 레이싱]]이 코스워스의 [[8기통|V8]] 엔진을 사용했었으나 이것도 본래는 2005 시즌까지는 윌리엄스 팀의 엔진은 [[BMW]]가 제공했었다. BMW가 [[자우버]]를 인수하여 [[BMW 자우버 F1 팀]]을 결성하고 2006 시즌부터 윌리엄스와의 엔진 제공 관계는 끝났고, 급했던 윌리엄스는 코스워스의 V8 엔진을 땜빵으로 쓰게 된다.] V8 엔진의 명가라서 기대를 모았지만, 결과는 끔찍했었고 윌리엄스는 시즌 말미에 바로 코스워스를 버리고 [[토요타]]를 울며 겨자먹기로 선택하였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닥친 금융 위기로 워크스 팀들이 돈 많이 드는 F1에서 잇달아 철수하면서 팀 예산을 줄이기 위한 방책으로 [[FIA]]가 제시한 저비용 엔진 및 트랜스미션 패키지 입찰에 참가하여 이를 수주하는데 성공, 2010년 시즌부터 엔진 공급자로 다시 컴백했다. 당연한 얘기지만 코스워스 엔진을 사용한 팀은 [[HRT F1 팀|캄포스 F1]], [[US F1]], [[로터스 레이싱]], [[버진 레이싱]], [[윌리엄스 레이싱|윌리엄스]]로, 윌리엄스를 빼고는 신생 독립팀들이다. 결국, 2013년 [[마러시아 F1 팀]]을 마지막으로 코스워스는 철수하였다.[* 사실 진작에 코스워스는 2010년부터 변화되는 차기 엔진규정에 맞추어 폭스바겐의 F1 참가 및 후원의 도움으로 I4 엔진과 V6 엔진 두개 레이아웃을 개발 중이었으나 2011년 6월에 폭스바겐이 F1 참가 취소를 밝혔고(취소 발표 후에 최종적으로 엔진 규정이 V6로 확정되었다) 이에 따라 코스워스의 엔진 개발 후원을 중단하였다. 폭스바겐의 이러한 결정에 코스워스는 후원사가 없으면 커스터머 팀에 엔진을 제공할 수 없다고 밝혀 최종적으로 엔진 컨스트럭터 참가는 무산되었다[[https://www.racecar-engineering.com/news/cosworth-reveals-2014-f1-power-unit/|#]].] 다만 F1 신생 팀들 목록에서 탈락한 [[애스턴 마틴]][* 물론 추후에 애스턴 마틴은 [[로렌스 스트롤]]의 인수로 2021년에 원했던 F1에 참가하게 된다.], 롤라 등이 코스워스 엔진을 쓰지 않는다는 이유로 자신들을 탈락시켰다며 FIA를 비난해 불공정 거래가 있었던게 아닌가 하는 의혹을 사고 있다. ||[[파일:Valkyrie engine(1).jpg|width=100%]]||[[파일:Valkyrie engine(2).jpg|width=100%]]|| ||<-2> 코스워스 V12 6.5L 자연흡기 엔진 || 2010년대 후반에는 [[레드불 레이싱]]과 함께 [[애스턴 마틴 발키리]]에 들어가는 V12 엔진을 공동개발하기도 했다.[* V12 6.5L '''자연흡기''' 엔진을 사용하는데, 최대 '''11,100rpm''', 최대 출력 1,000bhp를 낸다고 한다. 다만 100,000km 주행 시마다 코스워스에서 엔진을 분해하여 피스톤과 벨브를 교체하고 블록의 균열을 점검한 후 재조립해야 한다.] 하이브리드 유닛을 개발하고 있는 한편, [[맥라렌 F1]]의 설계자였던 [[고든 머레이]]와도 함께 [[고든 머레이 T.50|T.50]]이라는 경량 자연흡기 슈퍼카를 개발하였다. 성능이 공개되었는데 3.9L V12 자연흡기 엔진인데도 무려 663 ps를 내뿜는 어마어마한 성능을 보여준다. 이는 무려 리터당 170 ps라는 수치이다. 한술 더 떠서 T.50s 전용 3.9L V12 자연흡기 엔진은 T.50에 들어가는 엔진과 동일하게 11,500 rpm에서 최대 마력을 뽑아내고 12,100 rpm에서 레드 존이 시작되며 11,500 rpm에서 711 ps의 힘을 뽑아낸다. 리터당 178 ps에 해당하는 엄청난 성능을 자랑하고 심지어 엔진 무게가 178kg에서 162 kg으로 16kg 가벼워졌다. == 도로주행 차량용 엔진 == 도로주행 차량용 엔진도 만들었다. 주로 [[포드(자동차)|포드]]와의 협업[* 상술한 F1용 DFV 엔진도 원래는 포드의 투자로 만들어진 것이다.]이 가장 많았고, 포드의 고성능 양산차용 엔진을 많이 설계했다. 코스워스 엔진이 들어간 포드 차량은 [[포드 에스코트]], [[포드 스콜피오]], [[포드 시에라]], [[포드 RS200]] 등이 있다. 그리고 1998년에는 포드가 코스워스를 인수해서 '포드-코스워스'가 된 적도 있다. 의외로 [[GM]]과도 협력해 70년대 미국 시장용 소형차인 [[쉐보레 베가]]의 고성능 버전 '쉐보레 코스워스 베가'를, 70년대 말~80년대 초반 [[WRC]]에서 후륜구동 랠리카의 황혼기를 수놓은 머신인 [[오펠 아스코나]] 400/ [[오펠 만타]] 400의 엔진을 개발하기도 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s-2.1|190E(W201)]] 세나버전에 들어간 2.5L 16V엔진이 벤츠의 [[메르세데스-벤츠 M102 엔진|M102 엔진]]을 기반으로 코스워스가 튜닝한 엔진이다. 1990년대 초 DTM에 출전하여 [[BMW M3|E30 M3]]와 경쟁하던 190E Evo2는 320마력을 넘겼고 1992년 DTM 우승을 거두었다. Evo2는 [[호몰로게이션]]을 위해 502대 한정 생산 되었다. || [[파일:2.5-16_Cosworth.jpg|width=300]] || [[파일:external/gomotors.net/3d-mercedesbenz-190e-dtm_19c2e.jpg?i.jpg|width=300]] || || 190E 2.5-16V 모델에 탑재된 엔진 || 190E Evo2 DTM 출전차량 || 1998년 승용차 엔진만 따로 개발하는 '코스워스 테크놀로지'가 분사해서 [[폭스바겐]] 산하로 들어갔고, 1세대 B5 [[아우디 A4]]의 최고성능 버전인 아우디 RS4 아반트에 들어간 V6 2.7리터 DOHC 트윈터보 엔진, C5 [[아우디 A6]]의 고성능 모델인 아우디 RS6용 V8 4.2리터 DOHC 트윈터보 엔진을 개발하기도 했다. 이쪽은 2005년에 '말레(MAHLE) 파워트레인' 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승용차 엔진 개발부가 분사된 뒤에도 코스워스는 상술했듯 애스턴 마틴 발키리나 고든 머레이 T.50 등 슈퍼카들의 엔진을 개발했고,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 [[스바루 임프레자]], [[닛산 GT-R]] 등을 위한 튜닝/레이싱용 엔진 파츠를 개발해 판매하기도 했다. [[분류:자동차 튜닝 관련 기업]][[분류:1958년 기업]][[분류:엔진]][[분류:레이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