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GAME]]이 [[윈디소프트]]와 정식으로 계약을 맺고 새로이 런칭한 리그.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온라인]]을 바탕으로 하며, 코호는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의 약자인 COHO를 한글로 읽은 것이다. 스폰서는...'''[[마이크로소프트]]!''' 이전부터 코호를 광고에 자주 띄우기도 했고 레알코호브라더스 등의 프로그램 덕에 시청자들은 '''얘네 이거 리그로 밀어주려나...'''했었는데...레알코호브라더스가 끝나자마자 '''즉시''' 리그를 런칭하는 신속성을 보여주었다. MBC GAME이 [[스타크래프트]] 이외에 다른 활로를 찾기 위해 내놓은 차기 [[RTS]] 리그이다.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자체가 국내에서 꽤나 마이너한 게임이라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블리자드]]제 RTS가 아니면 성공하기 힘든 국내리그에서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 많았는데, 그래도 스폰서인 마이크로소프트라는 기업이 앵간한 거물이 아닌지라 잘 될 거라는 의견도 있기도 했다. 경기장은 역시나 문래동 룩스 [[히어로 센터]]. 여담으로 마이너라서 그런지 중계진들이 스타크래프트와 비교를 상습적으로 하면서 설명한다. 의외로 인기는 꽤나 있는 편이었다. 그냥 생각없이 봐도 펑 펑 터지는 해설진의 멘트와 코호 내부에선 원로급의 선수들의 재치있는 경기력,포탄과 총이 쉴새없이 날아다니는 그래픽 덕. 문제는 시간대가 [[암흑 시간대|오후 10시 이후다...]] 밀겠다는거야 말겠다는거야. 첫 리그의 반응을 보고 시간대를 바꿀 가능성도 있었다.[* [[테켄 크래시]]의 경우 어느정도 인기를 확보하자 스타리그가 열리는 수요일 7시 반에 배치했다. 이 전까진 양 방송사가 [[MSL]], [[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리그]] 시간대엔 주요 프로그램 배치를 피해주는것이 암묵적인 룰이었단것을 생각하면 꽤 이례적인 사건이었다.] 그런데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온라인은 [[THQ]]가 파산하면서(...) 갑작스럽게 서비스 종료를 하는 바람에 다시는 리그가 열릴 수 없게 돼버렸다.[* 일단 THQ와 얘기만 잘 된다면 그냥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패키지로 리그를 열 수 있긴 하다. 하지만 COHO로 리그를 연건 윈디소프트와 계약을 맺었기 때문이고. THQ와 계약한다고 해도 COH'''O'''리그라는 이름은 쓸 수 없게 되었다.] [[분류:MBC G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