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콘라트 하이트캄프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 {{{#333333,#cccccc '''클럽'''}}} || || [[틀:FC 바이에른 뮌헨 감독(1대~32대)|[[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65~1970).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B70919; font-size: 0.9em;" [[틀:FC 바이에른 뮌헨 감독(1대~32대)|{{{#ffffff '''바이에른 뮌헨'''}}}]]}}}[br]{{{-2 16대, 23대}}}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콘라트 하이트캄프의 기타 정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FC 바이에른 뮌헨 명예의 전당)]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독일의 축구인'''}}}}}}}}}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nny-heidkamp003.jpg|width=100%]]}}} || ||<-2> {{{#000000,#e5e5e5 '''이름''' }}} || {{{+1 '''콘라트 하이트캄프'''}}}[br]'''Konrad Heidkamp''' || ||<-2> {{{#000000,#e5e5e5 ''' 본명 ''' }}} ||콘라트 "코니" 하이트캄프 [br] Konrad 'Conny' Heidkamp || ||<-2> {{{#000000,#e5e5e5 '''출생''' }}} ||[[1905년]] [[9월 27일]] / [br] {{{-1 [[독일 제국|독일국]] [[뒤셀도르프]] }}} || ||<-2> {{{#000000,#e5e5e5 '''사망''' }}} ||[[1994년]] [[3월 6일]] (향년 88세) / [br] {{{-1 [[독일]] [[바이에른]]주 [[뮌헨]]}}} || ||<-2> {{{#000000,#e5e5e5 '''국적''' }}} ||[[독일]] [[독일|[[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 ||<-2> {{{#000000,#e5e5e5 '''신체''' }}} ||''미상'' || ||<-2> {{{#000000,#e5e5e5 '''직업''' }}} ||[[축구선수]] ([[풀백(축구)|풀백]] / ^^은퇴^^)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뒤셀도르프 SC 99 (1925~1928)[br]'''[[FC 바이에른 뮌헨]] (1928~1936)'''[br]FC 바이에른 뮌헨 (1943~1945) || || {{{#000000,#e5e5e5 ''' 감독 ''' }}} ||[[FC 바이에른 뮌헨]] (1943~1945)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9경기 1골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독일]] / 1927~1930)^^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일]]의 전 축구선수로 [[나치 독일]] 시기에 뒤셀도르프 SC 99와 [[바이에른 뮌헨]]에서 활약했다. == 생애 == === 선수 경력 === ==== 클럽 ==== 하이트캄프는 뒤셀도르프 SC 99 유소년 팀에서 축구를 하며 성장했다. 이때는 [[분데스리가]]가 없었기에 지역리그로 나눠져 있었다. 그 당시 베르그마르크 지역리그에는 두 라이벌 팀인 [[TuRU 뒤셀도르프]]와 [[포르투나 뒤셀도르프]]가 있었는데, 아쉽게도 그의 데뷔 시즌인 1924/25시즌, [[TuRU 뒤셀도르프]]가 우승을 차지했고, 뒤셀도르프 SC 99는 3위에 머물렀다. 그리고 SSV 엘버펠트와 [[포르투나 뒤셀도르프]]가 결승전에 올라갔다. 1925년 9월, 하이트캄프는 [[퓌르트]]에서 열린 서독일리그 대 남독일리그 대항전에 수비수로서 참가했다. 그리고 1928년에는 서부 독일리그[* [[에른스트 알브레흐트]], [[프리츠 스체판]], [[에른스트 쿠초라]] 등 많은 레전드들이 참가했다.] 대 북부 독일 리그 대항전 4강에서는 무려 3경기가 치러졌다. 첫 경기가 연장전 후 4-4로 끝나자 재경기가 치러졌고 또 2-2로 비기고 말았다. 2차 재경기에서 2-1로 승리를 거머쥐며 팀을 결승으로 끌어올림과 동시에 그는 뒤셀도르프 커리어의 정점을 찍었다. 1927년의 우승과 1928년의 리그 2위 이후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올림픽]]에서 만난 [[FC 바이에른 뮌헨|바이에른 뮌헨]] 선수 루트비히 호프만의 도움으로 남독일의 바이에른 뮌헨으로 이적했다. 바이에른으로 이적한 뒤 '라인(Rhine)의 수류탄병사'[* 수비수이면서도 정확하면서 강력한 슈팅으로 얻은 별명이다.] 라는 별명을 얻으며 1928/29시즌 바이에른 리그를 우승하며 남독일 컵에 진출했고, 결승에서 승리하며 독일 축구 챔피언십에 출전하게 된다. [[리하르트 호프만]]이 이끌던 드레스드너 SC를 3-0으로 완파하며 8강에 올라갔지만 8강에서 브레스라우어 SC 08에게 3-4로 패배하며 탈락하고 말았다. 1930년과 1931년에는 바이에른 리그를 2연속 우승했으나 남독일 컵에서 연속 탈락하며 고배를 마셨다. 그의 클럽 경력 커리어 하이는 1931/32시즌에서였다. 바이에른 뮌헨은 남독일컵에서 [[TSV 1860 뮌헨]]을 상대로 승리해 우승했고, 남/동독일 컵에서 [[1. FC 뉘른베르크]]를 상대로 승리 후 북/서독일 컵에서 우승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를 상대로 또 승리했다. 1932년 4월 24일에는 [[VfB 슈투트가르트]]를 상대로 2-0으로 승리했고, 5월 1일의 최종전에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 0대2로 패했지만 남부 독일리그 준우승팀 자격으로 독일 축구 챔피언십에 참가할 수 있었다. 독일 축구 챔피언십에서는 [[주장]]으로 나서 미네르바 베를린 93을 상대로 4-2 승리를 챙겼다. 준결승전에서는 [[1.FC 뉘른베르크]]를 상대로 2-0으로 승리, 6월 16일에 치러진 결승에서는 리처드 돔비 감독이 팀을 이끌었고 주장 하이트캄프와 [[지그문트 하링어|하링어]]가 수비 듀오를 결성했다. 이 승부수는 성공적이었고 팀은 무실점과 동시에 로흐와 크룸이 한골씩 넣어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를 2-0으로 완파하며 복수에 성공함과 동시에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그 해 바이에른 뮌헨은 55,000명의 팬들에게 [[바이에른 뮌헨]] 클럽 역사상 최초 독일 챔피언이라는 타이틀을 안겨주었다. 다음날 모든 대중매체는 평범한 경기에도 불구하고 뮌헨에게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잡지사들은 일제히 하링어, 하이트캄프, [[루트비히 골트브루너|골트브루너]]를 [[바이에른 뮌헨]] 최고의 선수로 뽑으며 이렇게 전했다. >'''독일 최고의 팀 바이에른 뮌헨이 챔피언이 되었다! 현재 독일 최고의 팀이 챔피언이다!"''' >---- >'푸스발' 지 그 후 몇 년동안은 [[1. FC 뉘른베르크]]가 가울리가[* [[나치 독일]] 시기의 독일 지역리그. 여기에서 우승해야 독일 축구 챔피언십에 진출할 수 있었다.] 바이에른에서 우승을 거의 독점하다시피 했고 하이트캄프는 1936년 선수 은퇴 후 1937년부터 1939년까지 잠깐 [[FC 아우크스부르크|BC 아우크스부르크]]의 코치직을 역임했다. 1943년에 38살의 나이로 깜짝 복귀하여 1945년까지 바이에른 뮌헨의 [[선수 겸 감독]]으로 일하다 은퇴함으로서 커리어를 마감했다.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 1927년 11월 20일, 하이트캄프는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를 상대로 [[쾰른]]에서 독일 국가대표팀에 데뷔했고 경기는 2-2로 비겼다.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1928년 올림픽]]에 명단에는 올라갔지만 게오르그 크뇌플레, 한스 칼브와 루트비히 라인베르게에 밀려 뛰지 못했고, 하이트캄프의 그 다음 경기는 1928년 9월16일의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덴마크]]전이었다. 독일이 덴마크를 상대로 2-1로 승리하는 과정에서 그는 그의 국가대표 커리어에서 유일한 골을 후반 13분에 1-1 동점골로 터뜨렸다. 하이트캄프의 국가대표 최고의 경기를 꼽자면 1930년 5월 10일 베를린에서 열린 그의 8번째 경기,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전이었다. 그의 팀동료인 조제프 베르크마이어, 루트비히 호프만과 조제프 푀팅거와 함께 수비진에서 팀케미를 과시했고 [[리하르트 호프만]]의 해트 트릭에 힘입어 독일은 3-3으로 비겼다. 하이트캄프는 [[드레스덴]]에서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를 5-3으로 격파한 경기를 끝으로 대표팀에 더 이상 발탁되지 못했다. 통산 9경기 출전, 1골의 기록을 남겼다. == 여담 == * 1940년 [[나치]] 독일 국가원수 [[헤르만 괴링]]의 무기 제조를 위한 '금속 [[기부]] 캠페인' 당시 팀이 보유한 [[트로피]]와 [[메달]]들을 순순히 바친 다른 클럽들과 달리 [[바이에른 뮌헨]]은 모든 트로피들을 뮌헨 중앙에 위치한 클럽 사무실에 숨겼다. 하지만 뮌헨이 나치군에게 점령당할 위기에 처하자 하이트캄프의 아내 막달레나가 아이디어를 짜내 자신이 어릴때 별장으로 사용했던 볼프라츠하우젠 근교 아쉬홀딩에 있는 농장에 이 트로피와 메달들을 숨기기로 했다. 하이트캄프와 그의 아내는 이 클럽 보물들을 나무 박스에 구겨 담고 직접 트럭으로 극비리에 운송해 마구간 근처 방에 넣어놓았다. 1945년 미군들이 바이에른을 탈환할때까지 이 보물들은 안전하게 보관되었으나, 미군들의 약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한번 더 구출 작전을 펼쳐 다른 농장으로 옮기고 땅에 박스를 묻었다. 이 트로피들은 후에 바이에른 뮌헨 수뇌부들에 의해 발굴돼 다시 클럽으로 송환됐다. 25년 뒤 하이트캄프의 아내는 새로 지은 바이에른 뮌헨 수뇌부 건물에 찾아와 박스로서만 보았던 트로피들이 전시된 것을 보니 기쁘다고 전했다. * 하이트캄프의 아들도 이름이 같은 콘라트 하이트캄프이다. 아버지가 42살에 본 늦둥이였고, [[기자]]와 [[비평가]]로 활동했다. == 수상 == === 클럽 === * 독일 축구 챔피언십 우승 1회: 1932([[FC 바이에른 뮌헨|바이에른 뮌헨]]) * 베르키슈-마르크스 지역 리그 우승 1회: 1925(뒤셀도르프 SC 99) * 베르치르크스리가 바이에른 우승 5회: 1928–29, 1929–30, 1930–31, 1931–32, 1932–33(바이에른 뮌헨) === 개인 === * 바이에른 뮌헨 명예의 전당 헌액 [각주] [[분류:1905년 출생]][[분류:1925년 데뷔]][[분류:1945년 은퇴]][[분류:1994년 사망]][[분류:뒤셀도르프 출신 인물]][[분류:독일의 축구선수]][[분류:독일의 축구감독]][[분류:FC 바이에른 뮌헨/은퇴, 이적]][[분류:독일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선수 겸 감독/축구]][[분류:FC 바이에른 뮌헨/역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