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러시아의 대공[br]{{{+1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로마노프}}}[br]Великий князь Константин Николаевич России''' || ||<-5>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97DLJ-gY62QDf9A8j3Om6G02oeu8jUUEvtXidmcPP5I9ryvaKMyI3Duj_AWxSon4dLOQLB2ryO9WprFSfBjpwRoi461wXSRfgrQ47rbIvcacCkhqQbcJCsKO2DIMYzaDSZ3ChjC9iUotLcFEA5WPLQ.webp|width=100%]]}}}|| || '''이름'''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로마노프[br](Константи́н Никола́евич Романов) || || '''출생''' ||[[1827년]] [[9월 21일]][br][[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겨울 궁전]] || || '''사망''' ||[[1891년]] [[1월 25일]] (향년 64세)[br][[러시아 제국]] 파블롭스크 파블롭스크 궁전 || || '''배우자 '''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 공녀]] ,,(1848년 결혼),, || || '''자녀''' ||니콜라이,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올가]], 베라,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 대공|콘스탄틴]], 드미트리, 뱌체슬라프 || || '''아버지''' ||[[니콜라이 1세]] || || '''어머니''' ||[[프로이센의 샤를로테]] || || '''형제''' ||[[알렉산드르 2세]], [[마리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1819)|마리야]],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1822)|올가]], [[알렉산드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알렉산드라]],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니콜라이]],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미하일]] || || '''종교''' ||[[러시아 정교회]]||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 어린시절.jpg|width=500]] 10대시절. 러시아의 황족. [[니콜라이 1세]]와 [[프로이센의 샤를로테]]의 4남 4녀 중 차남으로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그리스 왕후 올가]]와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 대공]]의 아버지다. 또한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국서 [[필립 마운트배튼]]의 외증조부이자, [[찰스 3세]]의 외현조부이다. 아버지 니콜라이 1세는 자신의 네 아들들에게 자신과 형제들의 이름을 물려줬다. 이에 장남인 [[알렉산드르 2세]]는 첫째 큰아버지인 [[알렉산드르 1세]], 차남인 콘스탄틴 본인은 둘째 큰아버지인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대공]], 삼남인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은 아버지인 [[니콜라이 1세]], 막내인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은 작은아버지인 미하일 파블로비치 대공의 이름을 물려받았다.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3세(독일 제국)|프리드리히 3세]], [[루이제 마리 엘리자베트|바덴 대공비 루이제]], [[프리드리히 카를 니콜라우스|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카를 왕자]]의 고종사촌[* 콘스탄틴의 어머니 샤를로테가 프리드리히, 루이제, 프리드리히 카를의 고모다.]이자 네덜란드 국왕 [[빌럼 3세]]의 외사촌[* 막내 고모 [[안나 파블로브나 여대공|안나 왕비]]가 빌럼 3세의 어머니이다.]이다. == 생애 == 1854년 러시아 함대의 해군 제독을 맡았으며, 러시아 해군을 개혁했다. 또한 러시아 농노 해방에도 지지했다. 1862년부터 1863년까지 폴란드 총독을 맡았지만 폴란드지역에서 대대적으로 봉기가 일어나면서 러시아로 돌아갔다. [[파일:콘스탄티노비치 가족들.jpg]]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과 자녀들.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와의 사이에서 4남 2녀를 두었지만 마리 콘두소와 불륜을 저질렀고, 발레리나 출신의 정부인 안나 쿠즈네초바와 새살림 차리려 냅다 야반도주하는 바람에 부부관계는 파탄났다. 안나 쿠즈네초바에게서는 5명의 사생아를 낳았다. 이후 자녀들도 장성해서 결혼을 했는데 그 중 장녀인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은 덴마크의 군주 [[크리스티안 9세]]의 차남이자 그리스 군주인 [[요르요스 1세]]와 결혼해서 슬하 5남 3녀를 두었다. 공교롭게도 크리스티안 9세의 차녀인 [[덴마크의 다우마]]는 형 [[알렉산드르 2세]]의 차남인 [[알렉산드르 3세]]와 결혼했으니 [[겹사돈|두 형제가 크리스티안 9세와 사돈인 셈.]][* 그리고 막내 동생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미하일]]도 형들과 마찬가지로 크리스티안 9세와 사돈관계를 맺었는데, 미하일의 외손녀인 [[알렉산드리네 아우구스테|알렉산드리네]]가 크리스티안 9세의 손자인 [[크리스티안 10세]]와 결혼했고, 외손자 프리드리히 프란츠 4세는 크리스티안 9세의 외손녀 알렉산드라 공주와 결혼했다.] [[파일:로마노프 왕조와 영국 왕실.jpg]] 그리고 올가의 친손자가 바로 영국의 국서 [[필립 마운트배튼]]이며, 올가의 친증손자가 현재 영국의 군주인 [[찰스 3세]]다. 현 영국 왕실도 로마노프 왕조의 후손이기도 하다. 한편 차남인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 대공]]은 본인의 외가쪽 친척인 [[작센알텐부르크의 엘리자베트]][*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의 어머니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의 5촌 조카다. 즉, 두 사람은 [[육촌]] 관계.]와 결혼해서 슬하 6남 3녀를 두었다. == 가족관계 == === 조상 === ||<#FFA3A5>
본인 ||<#FFDBAE> 부모 ||<#FFFFAE> 조부모 ||<#AEFFC6> 증조부모 || ||<#FFE4E1><|13> 러시아의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br]{{{-2 (Grand Duke Konstantin Nikolayevich of Russia)}}} ||<#FFF3E4><|6> [[니콜라이 1세]][br]{{{-2 (Nicholas I)}}} ||<#FFFFE4><|3> [[파벨 1세]][br]{{{-2 (Paul I)}}} || ||<#E4FFEC> [[표트르 3세]][br]{{{-2 (Peter III)}}} || ||<#E4FFEC> [[예카테리나 2세]][br]{{{-2 (Catherine II)}}} || ||<#FFFFE4><|3> [[뷔르템베르크의 조피 도로테아]][br]{{{-2 (Duchess Sophie Dorothea of Württemberg)}}} || ||<#E4FFEC> 뷔르템베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2세 오이겐[br]{{{-2 (Frederick II Eugene, Duke of Württemberg)}}} || ||<#E4FFEC> 브란덴부르크슈베트의 프리데리케[*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외손녀이다.][br]{{{-2 (Margravine Friederike of Brandenburg-Schwedt)}}} || ||<#FFF3E4><|7> [[프로이센의 샤를로테|프로이센의 샤를로테 공주]][br]{{{-2 (Princess Charlotte of Preußen)}}} || ||<#FFFFE4><|3>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br]{{{-2 (Frederick William III)}}} || ||<#E4FFEC>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br]{{{-2 (Frederick William II)}}} || ||<#E4FFEC> 헤센다름슈타트의 프리데리케 루이자[br]{{{-2 (Landgravine Frederika Louisa of Hesse-Darmstadt)}}} || ||<#FFFFE4><|3>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br]{{{-2 (Duchess Louise of Mecklenburg-Strelitz)}}} || ||<#E4FFEC> [[카를 2세(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 카를 2세]][br]{{{-2 (Charles II, Grand Duke of Mecklenburg-Strelitz)}}} || ||<#E4FFEC> 헤센다름슈다트의 프리데리케 공녀[br]{{{-2 (Princess Frederica of Hesse-Darmstadt)}}}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E7E7E7,#242424><-5>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 공녀]][br]{{{-2 (Princess Alexandra of Saxe-Altenburg)}}} || || '''1남''' || 니콜라이 콘스탄티노비치 대공[br]{{{-2 (Grand Duke Nicholas Konstantinovich)}}} || [[1850년]] [[2월 14일]] || [[1918년]] [[1월 26일]] || 나데즈다 알렉산드로브나 폰 드레옐[br]슬하 2남 || || '''1녀''' || [[올가 콘스탄티노브나 여대공|그리스 왕국의 왕비 올가]][br]{{{-2 (Olga, Queen of the Hellenes)}}} || [[1851년]] [[9월 3일]] || [[1926년]] [[6월 18일]] || [[요르요스 1세]][br]슬하 5남 3녀[* [[콘스탄티노스 1세]], [[그리스와 덴마크의 요르요스|요르요스 왕자]], [[그리스와 덴마크의 마리아|러시아의 마리야 게오르기예브나 여대공]], [[그리스와 덴마크의 안드레아스|안드레아스 왕자]] 등] || || '''2녀''' || [[뷔르템베르크]]의 오이겐 공작부인 베라[br]{{{-2 (Vera, Duchess Eugen of Württemberg)}}} || [[1854년]] [[2월 16일]] || [[1912년]] [[4월 11일]] || [[뷔르템베르크]]의 오이겐 공작[br]슬하 1남 2녀 || || '''2남''' || [[콘스탄틴 콘스탄티노비치 대공]][br]{{{-2 (Grand Duke Konstantin Konstantinovich)}}} || [[1858년]] [[8월 22일]] || [[1915년]] [[6월 15일]] || [[작센알텐부르크의 엘리자베트|작센알텐부르크의 엘리자베트 공녀]][br]슬하 6남 3녀 || || '''3남''' ||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 대공[br]{{{-2 (Grand Duke Dimitri Konstantinovich)}}} || [[1860년]] [[6월 13일]] || [[1919년]] [[1월 28일]] || [* [[독신]], 러시아 혁명 당시 볼셰비키에 의해 처형당함.] || || '''4남''' || 뱌체슬라프 콘스탄티노비치 대공[br]{{{-2 (Grand Duke Vyacheslav Konstantinovich)}}} || [[1862년]] [[7월 13일]] || [[1879년]] [[2월 27일]] || || ||<-5><#E7E7E7,#242424> 안나 쿠즈네초바 {{{-2 (정부)}}}[br]{{{-2 (Anna Kuznetsova)}}} || || '''5남''' || 세르게이 콘스탄티노비치 크냐제프[br]{{{-2 (Sergey Konstantinovich Knyazev)}}} || [[1873년]] || [[1873년]] || || || '''3녀''' || 마리나 콘스탄티노브나 크냐제바[br]{{{-2 (Marina Konstantinovna Knyazeva)}}} || [[1875년]] [[12월 8일]] || [[1941년]] [[6월 8일]] || 알렉산드르 파블로비치 에르초프[br]슬하 3남 6녀 || || '''4녀''' || 안나 콘스탄티노브나 크냐제바[br]{{{-2 (Anna Konstantinovna Knyazeva)}}} || [[1878년]] [[3월 16일]] || [[1920년]] [[2월 5일]] || 니콜라이 리알린[br]슬하 2남 1녀 || || '''6남''' || 이즈마일 콘스탄티노비치 크냐제프[br]{{{-2 (Izmail Konstantinovich Knyazev)}}} || [[1879년]] [[8월 2일]] || [[1885년]] || || || '''7남''' || 레프 콘스탄티노비치 크냐제프[br]{{{-2 (Lev Konstantinovich Knyazev)}}} || [[1883년]] [[4월]] || [[1885년]] || || [[분류:1827년 출생]][[분류:1891년 사망]][[분류:러시아의 황자]][[분류: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가문]][[분류: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 인물]][[분류:페트로파블롭스크 성당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