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I 2023/장비류/주무기)] [include(틀:모던 워페어 III)] [include(틀:워존 2.0)] [목차] == 개요 == 모던 워페어 III의 지정사수소총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 MWIII == 출시 기준에서 본작에서 새로 등장한 DMR들은 모두 반자동 소총이다. === [[CZ-805#CZ 브렌 2 BR|MTZ 인터셉터]]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I_MTZInterceptor.png|width=100%]]}}}|| ||<-5> ''7.62탄환을 사용하는 고위력 반자동 DMR입니다. 중장거리를 통제하십시오.'' || 3편의 반자동 DMR을 통틀어 가장 낮은 214RPM의 연사력을 가졌다. 대신 그 보상으로 가장 높은 화력을 가졌는데, 사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헤드샷 단발, 그 외 부위 두발 사살이라는 강력한 화력이기 때문에 준수한 성능을 가졌다. === [[맥풀 ACR|MCW 6.8]]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I_MCW6.8.png|width=100%]]}}}|| ||<-5> ''고도로 모듈화된 DMR입니다. 6.8구경을 사용해 피해량과 안정성이 뛰어납니다.''[* 참고로 이 무기의 기반이 된 ACR DMR은 5.56mm탄을 사용하는데 플랫폼 시스템을 위해 6.8mm탄을 쓰는 가상의 ACR 모델이 되었다.] || 본작의 M1 개런드 포지션의 소총이나, 답답했던 뱅가드가 아닌 매우 가벼웠던 WWII 시절의 개런드에 가깝다. 발사속도가 빠르고 쾌적한 핸들링을 자랑한다. 성능 상으로는 헤드샷 단발 사살이 불가능하고 그 외 부위도 3샷킬인 단발 광클형 DMR인데, 비슷한 컨셉을 가진 DMR 중에선 연사력이 가장 낮기 때문에 화력은 낮은 편이다. 그래도 기본 반동이 매우 안정적이라 반동 부품 대신 다른 유틸 부품을 사용해 조작성을 끌어올릴 수 있다. 전작의 템푸스 토렌트처럼 DMR인데도 드럼탄창 장착이 가능하다. 거기에 애프터마켓 부품으로 전자동 리시버까지 장착할 수 있어 DMR의 껍데기를 쓴 BR처럼 운용이 가능하다. 전자동 리시버를 장착하면 외형이 약간 변하며, 반동이 조금 강해지지만 여전히 낮은 편이며 연사력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탄 효율은 대단히 높다. === KVD 인포서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th=100%]]}}}|| ||<-5> ''내용'' || 모델은 7.62mm NATO탄을 사용하는 [[드라구노프 저격소총#개량형 및 파생형|SVCh]]의 [[프로토타입]]인 [[https://modernfirearms.net/en/sniper-rifles/standart-caliber-rifles/russia-standart-caliber-rifles/svk-eng/|SVK]]이다. 본작의 이 총은 드라구노프의 7.62*54R 탄을 쓴다. 1편의 드라구노프를 DMR로 옮겨놓은 모양새이다. DMR로 이사간 만큼 발사 속도도 빨라지고 반동도 부드러워졌다. 최소 사거리 내에서 헤드샷 단발 사살이 가능하며, 그 외에도 사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상체 두발 사살이 가능한 준수한 성능으로 TAQ-M과 엇비슷한 성능을 가졌다. === [[H&K G36#SL8 계열|DM56]]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th=100%]]}}}|| ||<-5> ''내용'' || 홀거 플랫폼의 DMR이다. 5.56mm 탄약을 사용하는 DMR이다보니 헤드샷 한발킬이 불가능하다. 단 광클 속도가 엄청 빠르다보니 아예 단발 광클을 메인으로 하는 반자동 돌격소총 같은 물건이 되었다. MW2019의 FAL이나 옆동네 [[배틀필드 V]]의 [[M1 카빈]] 같은 포지션. == MWII == MWII에서 이월된 무기. 해금 및 진행도는 이월되나, 성능은 MWIII 환경에 맞게 조정되어 있다. * MWIII 발매 후 나온 번들과 예약 구매 도안을 제외한 이월 이전에 나온 설계도는 MWII 주무기 항목 참조. * 챌린지는 MWIII 레벨 55 달성 후 도전할 수 있다. === [[M39 EMR|EBR-14]]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_EBR.png|width=100%]]}}}|| ||<-2> '''{{{#white 플랫폼}}}''' ||<-3> 오드넌스 웨폰 플랫폼 || ||<-5> ''반자동 EBR-14는 7.62x51mm 나토로 발사되며 장거리 살상력과 발사 속도가 균형을 이룹니다.'' || ||<-2> '''{{{#white 탄종}}}''' ||<-3> 7.62 NATO || || '''{{{#white 해제 레벨}}}''' || '''{{{#white 사격 모드}}}''' || '''{{{#white 정조준 전환}}}''' || '''{{{#white 달리기 후 사격}}}''' || '''{{{#white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 기본 무기 || 반자동 || 0.280 초 || 0.270 초 || 0.390 초 || || '''{{{#white 총구 탄속}}}''' || '''{{{#white 연사력}}}''' || '''{{{#white 장탄수}}}''' || '''{{{#white 일반 재장전 시간}}}''' || '''{{{#white 전술 재장전 시간}}}''' || || 680 m/s || 286 RPM || 10 || 2.07 초 || 1.53 초 || ||<-5> '''{{{#white 피해량 / BTK / TTK}}}''' || || '''{{{#white 구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0%, #C9151E 0% 50.8%, #808080 50.8% 100%)" '''{{{#white {{{-2 0 m[br]50.8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50.8%, #C9151E 50.8% 63.5%, #808080 63.5% 100%)" '''{{{#white {{{-2 50.8 m[br]63.5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63.5%, #C9151E 63.5% 71.1%, #808080 71.1% 100%)" '''{{{#white {{{-2 63.5 m[br]71.1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71.1%, #C9151E 71.1% 100%, #808080 100% 100%)" '''{{{#white {{{-2 71.1 m[br]+}}}}}}'''}}} || || '''{{{#white 머리}}}'''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94 / 2'''[br]{{{-2 0.210 초}}} || '''88 / 2'''[br]{{{-2 0.210 초}}} || || '''{{{#white 목}}}''' || '''72 / 2'''[br]{{{-2 0.210 초}}} || '''57 / 2'''[br]{{{-2 0.210 초}}} || '''54 / 2'''[br]{{{-2 0.210 초}}} || '''50 / 2'''[br]{{{-2 0.210 초}}} || || '''{{{#white 몸통 상부}}}''' || '''72 / 2'''[br]{{{-2 0.210 초}}} || '''57 / 2'''[br]{{{-2 0.210 초}}} || '''54 / 2'''[br]{{{-2 0.210 초}}} || '''50 / 2'''[br]{{{-2 0.210 초}}} || || '''{{{#white 몸통 하부}}}''' || '''66 / 2'''[br]{{{-2 0.210 초}}} || '''52 / 2'''[br]{{{-2 0.210 초}}} || '''49 / 3'''[br]{{{-2 0.420 초}}} || '''46 / 3'''[br]{{{-2 0.420 초}}} || || '''{{{#white 팔 상부}}}''' || '''60 / 2'''[br]{{{-2 0.210 초}}} || '''48 / 3'''[br]{{{-2 0.420 초}}} || '''45 / 3'''[br]{{{-2 0.420 초}}} || '''42 / 3'''[br]{{{-2 0.420 초}}} || || '''{{{#white 팔 하부}}}''' || '''60 / 2'''[br]{{{-2 0.210 초}}} || '''48 / 3'''[br]{{{-2 0.420 초}}} || '''45 / 3'''[br]{{{-2 0.420 초}}} || '''42 / 3'''[br]{{{-2 0.420 초}}} || || '''{{{#white 다리 상부}}}''' || '''60 / 2'''[br]{{{-2 0.210 초}}} || '''48 / 3'''[br]{{{-2 0.420 초}}} || '''45 / 3'''[br]{{{-2 0.420 초}}} || '''42 / 3'''[br]{{{-2 0.420 초}}} || || '''{{{#white 다리 하부}}}''' || '''60 / 2'''[br]{{{-2 0.210 초}}} || '''48 / 3'''[br]{{{-2 0.420 초}}} || '''45 / 3'''[br]{{{-2 0.420 초}}} || '''42 / 3'''[br]{{{-2 0.420 초}}} || 실제 총기는 [[M39 EMR]]과 [[Mk.14 EBR|MK.14 EBR-RI]]로 팩토리 개머리판을 적용하면 [[스프링필드 아모리 M1A|스프링필드 M1A 소콤]]과 Mk.14 EBR이 반반 섞인 요상한 외형이 된다. 2편에서는 비슷한 특징을 가진 TAQ-M에 비해 연사력이 빠르면서 거의 동일한 BTK로 상위호환에 가까웠지만, 이월되며 근접에서도 헤드샷 단발로는 150체력 플레이어를 사살할 수 없고, 상체 대미지 역시 3샷킬이 되는 뼈아픈 간접 너프를 받아 위치가 대역전되었다. 지금 상태로는 반자동 DMR 중 압도적으로 좋지 않은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정이 필요하다. || '''{{{#white 설계도}}}''' || || '''{{{#white 플랫폼 부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 '''{{{#white 총열}}}''' ||'''{{{#white 22" 보어마스터 배럴}}}'''|| EBR-14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반동 제어[br]탄속||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 ||<-2> 무거운 물질을 사용해 만든 총열, 탄속이 빨라져 중장거리에 유리해진다. || ||'''{{{#white 18" 론스타 배럴}}}'''|| ?로 ?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유효 사거리[br]지향사격 명중률[br]탄속|| ||<-2> 크롬 처리한 EBR-14의 표준 총열, 근접대응력이 향상되나 사거리가 감소한다. || ||'''{{{#white 16" 크롬 라인드 RFX40 배럴}}}'''|| EBR-14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유효 사거리[br]지향사격 명중률[br]탄속|| ||<-2> 크롬 처리한 단총열. 중장거리전에 불리해진다. || ||<|6> '''{{{#white 탄창}}}''' ||'''{{{#white 15발 탄창}}}'''|| EBR-14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장탄수||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br]재장전 속도[br]전력질주 후 사격속도|| ||<-2> 장탄수 +5발. || ||'''{{{#white 20발 탄창}}}'''|| EBR-14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장탄수||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br]재장전 속도[br]전력질주 후 사격속도|| ||<-2> 장탄수 +10발. || ||<|6> '''{{{#white 후방 손잡이}}}''' ||'''{{{#white 크로넨 EM55 그립}}}'''|| EBR-14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피격 저항||정조준 이동속도|| ||<-2> 크로넨제 권총 손잡이, 피격 저항이 붙어서 근접전 상황에서 불리해지지 않는다. || ||'''{{{#white FSS 스파이더 그립}}}'''|| ?로 ?레벨 달성시 해금 || ||반동 제어||정조준 안정성|| ||<-2> FSS제 미끄럼 방지 그립, 정조준으로 연사할 때 불안한 면이 있지만 전체적인 반동이 줄어든다. || ||<|6> '''{{{#white 개머리판}}}''' ||'''{{{#white FTAC 발러 스톡}}}'''|| EBR-14로 2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안정성[br]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전력질주 속도[br]정조준 속도[br]앉아 이동속도|| ||<-2> 내장 칙패드가 달린 포지텍제 중(重)형 개머리판. 중장거리전에 유리해진다. || ||'''{{{#white SO-90 팩토리 스톡}}}'''|| EBR-14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안정성[br]반동 제어||정조준 이동속도[br]전력질주 속도[br]정조준 속도[br]전력질주 후 사격속도|| ||<-2> 현대 합성물질로 제조된 M14의 원본 개머리판. 근접대응력이 약해지나 중장거리에 유리해진다. || }}} || === [[M24 SWS|SP-R 208]]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_SP-R.png|width=100%]]}}}|| ||<-2> '''{{{#white 플랫폼}}}''' ||<-3> 브라이슨 롱 라이플 플랫폼 || ||<-5> ''브라이슨 볼트 라이플의 기둥인 SP-R 208은 더 먼 거리에서 정밀한 사격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볼트-액션 소총입니다.'' || ||<-2> '''{{{#white 탄종}}}''' ||<-3> 7.62 NATO || || '''{{{#white 해제 레벨}}}''' || '''{{{#white 사격 모드}}}''' || '''{{{#white 정조준 전환}}}''' || '''{{{#white 달리기 후 사격}}}''' || '''{{{#white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 8 || 볼트 액션 || 0.350 초 || 0.270 초 || 0.390 초 || || '''{{{#white 총구 탄속}}}''' || '''{{{#white 연사력}}}''' || '''{{{#white 장탄수}}}''' || '''{{{#white 일반 재장전 시간}}}''' || '''{{{#white 전술 재장전 시간}}}''' || || 680 m/s || 59 RPM || 5 || 3.37 초 || 2.07 초 || ||<-4> '''{{{#white 피해량 / BTK / TTK}}}''' || || '''{{{#white 구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0%, #C9151E 0% 29.2%, #808080 29.2% 100%)" '''{{{#white {{{-2 0 m[br]29.2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29.2%, #C9151E 29.2% 55.9%, #808080 55.9% 100%)" '''{{{#white {{{-2 29.2 m[br]55.9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55.9%, #C9151E 55.9% 100%, #808080 100% 100%)" '''{{{#white {{{-2 55.9 m[br]+}}}}}}'''}}} || || '''{{{#white 머리}}}'''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 '''{{{#white 목}}}'''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90 / 2'''[br]{{{-2 1.019 초}}} || || '''{{{#white 몸통 상부}}}'''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90 / 2'''[br]{{{-2 1.019 초}}} || || '''{{{#white 몸통 하부}}}''' || '''93 / 2'''[br]{{{-2 1.019 초}}} || '''86 / 2'''[br]{{{-2 1.019 초}}} || '''50 / 2'''[br]{{{-2 1.019 초}}} || || '''{{{#white 팔 상부}}}''' || '''100 / 1'''[br]{{{-2 0.000 초}}} || '''98 / 2'''[br]{{{-2 1.019 초}}} || '''57 / 2'''[br]{{{-2 1.019 초}}} || || '''{{{#white 팔 하부}}}''' || '''93 / 2'''[br]{{{-2 1.019 초}}} || '''86 / 2'''[br]{{{-2 1.019 초}}} || '''50 / 2'''[br]{{{-2 1.019 초}}} || || '''{{{#white 다리 상부}}}''' || '''93 / 2'''[br]{{{-2 1.019 초}}} || '''86 / 2'''[br]{{{-2 1.019 초}}} || '''50 / 2'''[br]{{{-2 1.019 초}}} || || '''{{{#white 다리 하부}}}''' || '''93 / 2'''[br]{{{-2 1.019 초}}} || '''86 / 2'''[br]{{{-2 1.019 초}}} || '''50 / 2'''[br]{{{-2 1.019 초}}} || 브라이슨 사의 중구경탄을 사용하는 볼트액션 지정사수소총. 실제 모델은 [[레밍턴 암즈]]의 [[M24 SWS]]이다. 전작에서 게임 후반에 등장한 총기이기 때문인지 이름이나 모션 변경 없이 그대로 출시되었다. 대신 전작의 개머리판 개조들이 플랫폼 시스템으로 아예 별개의 총기들로 분류되었기 때문에 개조폭은 1편에 비해서 줄어들었다. 멀티플레이어에서는 교전 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상체 단발 사살이 가능해 사랑받았던 전작과 달리, 업보를 받았는지 15M의 근접 사거리를 벗어나면 헤드샷을 하지 못하면 단발로 적을 사살할 수 없게 되면서 가치가 폭락했다. || '''{{{#white 설계도}}}''' || || '''{{{#white 플랫폼 부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 '''{{{#white 총구}}}''' ||'''{{{#white 22.5" 엘레베이트-11}}}'''|| SP-R 208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br]이동 속도||피해 사거리[br]지향사격 명중률[br]탄속[br]반동 제어|| ||<-2> 경량형 단축 총열, 중장거리전을 포기하고 근접전 패줌하라는 성능 변화다. || ||'''{{{#white 16" ZLR 익스큐터 80 배럴}}}'''|| SP-R 208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반동 제어[br]정조준 속도[br]반동 제어||피해 사거리[br]지향사격 명중률[br]이동속도[br]탄속|| ||<-2> ZLR제 단총열, 개조를 거쳐 근접전에서도 문제없이 소화낼 수 있지만 중장거리전은 포기해야만 한다. || ||<|3> '''{{{#white 볼트}}}''' ||'''{{{#white FSS ST87 볼트}}}'''|| ?로 ?레벨 달성시 해금 || ||차탄 장전 속도||차탄 명중률|| ||<-2> FSS제 경량형 볼트, 근접전에서 빠르게 사격할 수 있으나 연사시 명중률이 많이 감소한다. || }}}|| === [[M40 저격소총|SA-B 50]]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_SA-B.png|width=100%]]}}}|| ||<-2> '''{{{#white 플랫폼}}}''' ||<-3> 브라이슨 롱 라이플 플랫폼 || ||<-5> ''속도와 정확도를 최적화한 SA-B 50 볼트 액션 라이플은 권총 손잡이와 가벼운 프레임으로 기동성을 확보했습니다.'' || ||<-2> '''{{{#white 탄종}}}''' ||<-3> .308 윈체스터 || || '''{{{#white 해제 레벨}}}''' || '''{{{#white 사격 모드}}}''' || '''{{{#white 정조준 전환}}}''' || '''{{{#white 달리기 후 사격}}}''' || '''{{{#white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 SP-R 208로 13레벨 달성 || 볼트 액션 || 0.310 초 || 0.270 초 || 0.390 초 || || '''{{{#white 총구 탄속}}}''' || '''{{{#white 연사력}}}''' || '''{{{#white 장탄수}}}''' || '''{{{#white 일반 재장전 시간}}}''' || '''{{{#white 전술 재장전 시간}}}''' || || 640 m/s || 65 RPM || 10 || 3.37 초 || 2.07 초 || ||<-4> '''{{{#white 피해량 / BTK / TTK}}}''' || || '''{{{#white 구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0%, #C9151E 0% 28.2%, #808080 28.2% 100%)" '''{{{#white {{{-2 0 m[br]28.2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28.2%, #C9151E 28.2% 44.2%, #808080 44.2% 100%)" '''{{{#white {{{-2 28.2 m[br]44.2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44.2%, #C9151E 44.2% 100%, #808080 100% 100%)" '''{{{#white {{{-2 44.2 m[br]+}}}}}}'''}}} || || '''{{{#white 머리}}}'''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 '''{{{#white 목}}}'''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90 / 2'''[br]{{{-2 0.928 초}}} || || '''{{{#white 몸통 상부}}}'''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90 / 2'''[br]{{{-2 0.928 초}}} || || '''{{{#white 몸통 하부}}}''' || '''90 / 2'''[br]{{{-2 0.928 초}}} || '''75 / 2'''[br]{{{-2 0.928 초}}} || '''50 / 2'''[br]{{{-2 0.928 초}}} || || '''{{{#white 팔 상부}}}''' || '''100 / 1'''[br]{{{-2 0.000 초}}} || '''86 / 2'''[br]{{{-2 0.928 초}}} || '''57 / 2'''[br]{{{-2 0.928 초}}} || || '''{{{#white 팔 하부}}}''' || '''90 / 2'''[br]{{{-2 0.928 초}}} || '''75 / 2'''[br]{{{-2 0.928 초}}} || '''50 / 2'''[br]{{{-2 0.928 초}}} || || '''{{{#white 다리 상부}}}''' || '''90 / 2'''[br]{{{-2 0.928 초}}} || '''75 / 2'''[br]{{{-2 0.928 초}}} || '''50 / 2'''[br]{{{-2 0.928 초}}} || || '''{{{#white 다리 하부}}}''' || '''90 / 2'''[br]{{{-2 0.928 초}}} || '''75 / 2'''[br]{{{-2 0.928 초}}} || '''50 / 2'''[br]{{{-2 0.928 초}}} || 브라이슨 사 모델을 베이스로 커스텀한 볼트액션 지정사수소총. 전반적인 성능은 SP-R 208과 비슷하다. SP-R 208보다 가벼운 조작성으로 짧은 사거리에도 불구하고 날뛰었던 전작의 업보를 대차게 받아 이번에는 헤드샷을 맞추지 못하면 절대로 플레이어를 한방에 사살할 수 없어 패악질에 종언을 고했다. 그나마 목까지 헤드샷 대미지를 공유해 판정이 SP-R 208에 비하면 넓다는게 유일한 위안점이다. || '''{{{#white 설계도}}}''' || || '''{{{#white 플랫폼 부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white 후방 손잡이}}}''' ||'''{{{#white 브루엔 링크스 그립}}}'''|| SA-B 50으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피격 저항||정조준 이동속도|| ||<-2> 브루엔제 고무 그립, 근접전에서 흐트러짐없이 쏘는게 가능해졌다. || ||<|3> '''{{{#white 개머리판}}}''' ||'''{{{#white 어썰트 60}}}'''|| SA-B 50으로 22레벨 달성시 해금 ||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앉아 이동속도|| ||<-2> 애프터마켓 개머리판. 반동을 낮춰준다. || }}}|| === [[마를린 1895#마를린 336|락우드 MK2]]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_MK2.png|width=100%]]}}}|| ||<-2> '''{{{#white 플랫폼}}}''' ||<-3> 마크 2 플랫폼 || ||<-5> ''락우드 Mk2는 올드 웨스트 감성을 지닌 현대적인 고성능 레버 액션 라이플입니다.'' || ||<-2> '''{{{#white 탄종}}}''' ||<-3> .45-70 거버먼트 || || '''{{{#white 해제 레벨}}}''' || '''{{{#white 사격 모드}}}''' || '''{{{#white 정조준 전환}}}''' || '''{{{#white 달리기 후 사격}}}''' || '''{{{#white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 28 || 레버 액션 || 0.280 초 || 0.169 초 || 0.244 초 || || '''{{{#white 총구 탄속}}}''' || '''{{{#white 연사력}}}''' || '''{{{#white 장탄수}}}''' || '''{{{#white 일반 재장전 시간}}}''' || '''{{{#white 전술 재장전 시간}}}''' || || 600 m/s || 95 RPM || 6 || 0.29 초 || 0.29 초 || ||<-4> '''{{{#white 피해량 / BTK / TTK}}}''' || || '''{{{#white 구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0%, #C9151E 0% 24.1%, #808080 24.1% 100%)" '''{{{#white {{{-2 0 m[br]24.1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24.1%, #C9151E 24.1% 45.7%, #808080 45.7% 100%)" '''{{{#white {{{-2 24.1 m[br]45.7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45.7%, #C9151E 45.7% 100%, #808080 100% 100%)" '''{{{#white {{{-2 45.7 m[br]+}}}}}}'''}}} || || '''{{{#white 머리}}}'''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 '''{{{#white 목}}}'''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 '''{{{#white 몸통 상부}}}''' || '''100 / 1'''[br]{{{-2 0.000 초}}} || '''84 / 2'''[br]{{{-2 0.630 초}}} || '''72 / 2'''[br]{{{-2 0.630 초}}} || || '''{{{#white 몸통 하부}}}''' || '''90 / 2'''[br]{{{-2 0.630 초}}} || '''70 / 2'''[br]{{{-2 0.630 초}}} || '''60 / 2'''[br]{{{-2 0.630 초}}} || || '''{{{#white 팔 상부}}}''' || '''90 / 2'''[br]{{{-2 0.630 초}}} || '''70 / 2'''[br]{{{-2 0.630 초}}} || '''60 / 2'''[br]{{{-2 0.630 초}}} || || '''{{{#white 팔 하부}}}''' || '''90 / 2'''[br]{{{-2 0.630 초}}} || '''70 / 2'''[br]{{{-2 0.630 초}}} || '''60 / 2'''[br]{{{-2 0.630 초}}} || || '''{{{#white 다리 상부}}}''' || '''90 / 2'''[br]{{{-2 0.630 초}}} || '''70 / 2'''[br]{{{-2 0.630 초}}} || '''60 / 2'''[br]{{{-2 0.630 초}}} || || '''{{{#white 다리 하부}}}''' || '''90 / 2'''[br]{{{-2 0.630 초}}} || '''70 / 2'''[br]{{{-2 0.630 초}}} || '''60 / 2'''[br]{{{-2 0.630 초}}} || 1편에선 'MK2 카빈'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 레버액션 소총. 레버액션인 만큼 정조준하면서 쏘면 조준점이 엄청나게 요동친다. 전작보다 개조 범위가 더 넓어졌는데, 장총열과 예비탄 슬리브 정도나 개조할 수 있던 1편과 달리 단축총열이나 랜달 개머리판, 커스텀 총열덮개와 레버 자체를 교체하는 옵션 등 더더욱 풍부한 개조품들이 제공된다. MWII에서는 좁은 단발킬 범위로 수동 장전 DMR 중에서 가장 인기가 없었는데, 이월되며 다같이 망해버리면서 연사력이 두배 이상 높은 이 총기의 위상이 그나마 상승했다. || '''{{{#white 설계도}}}''' || || '''{{{#white 플랫폼 부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5> '''{{{#white 총열}}}''' ||'''{{{#white 13.5" 론스타}}}'''|| 락우드 mk.2로 6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br]이동속도||장탄수[br]유효 사거리[br]지향사격 명중률[br]탄속|| ||<-2> 단총열, 장탄수가 4발로 줄어든다. || ||'''{{{#white 락우드 프런티어맨}}}'''|| 락우드 mk.2로 17레벨 달성시 해금 || ||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탄속[br]반동 제어|| ||<-2> 락우드의 건스미스가 만든 프리플로팅 총열. || ||'''{{{#white 21" [[코요테]]}}}'''|| 락우드 mk.2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장탄수[br]반동 제어[br]탄속||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 ||<-2> 질화 처리한 장총열, 장탄수가 8발로 늘어나며 예비 탄약수도 그에 따라 늘어난다. || ||'''{{{#white 25" [[버팔로]]}}}'''|| 락우드 mk.2로 23레벨 달성시 해금 || ||유효 사거리[br]지향사격 명중률[br]이동속도[br]탄속||지향사격 반동 제어[br]정조준 속도[br]반동 제어|| ||<-2> 포지택제 중(重)형 장총열, 중장거리전에 유리해진다. || ||'''{{{#white 22.5" EXF 알라모}}}'''|| 락우드 mk.2로 27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반동 제어[br]탄속||장탄수[br]이동속도[br]유효 사거리[br]정조준 속도|| ||<-2> 엑스페다이트제 내장 소음기 장착형 장총열. 장탄수가 4발로 줄어든다. || ||<|9> '''{{{#white 총열 보호대}}}''' ||'''{{{#white 락우드 컴뱃 가드}}}'''|| 락우드 mk.2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반동 유연성[br]피격 저항||정조준 속도|| ||<-2> 락우드제 키모드 적용 총열 보호대. 이 부품을 장착해야만 하부 부착물을 장착할 수 있다. 단, 13.5" 론스타 총열에는 이걸 장착할 수 없다. || ||'''{{{#white 락우드 새들 가드}}}'''|| 락우드 mk.2로 20레벨 달성시 해금 || ||전력질주 속도[br]지향사격 이동 속도||피격 저항[br]반동 유연성|| ||<-2> 빠른 포복과 정조준을 위해 만들어진 락우드제 총열 보호대. || ||'''{{{#white 락우드 코만도 가드}}}'''|| 락우드 mk.2로 25레벨 달성시 해금 || ||앉아 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전력질주 속도|| ||<-2> 현대형 레버액션 소총의 총열 보호대, 작게 나마 레일이 달려 있어 하부 부착물을 장착할 수 있다. || ||<|6> '''{{{#white 레버}}}''' ||'''{{{#white 스탤리온 레버}}}'''|| 락우드 mk.2로 ?레벨 달성시 해금 || ||차탄 명중률||차탄 장전 속도|| ||<-2> 무거운 레버. || ||'''{{{#white [[롱혼]] 레버}}}'''|| 락우드 mk.2로 ?레벨 달성시 해금 || ||차탄 장전 속도||차탄 명중률|| ||<-2> 위와 정확히 반대되는 성능을 지닌 경량형 레버, 속사에 유리하다. || ||<|9> '''{{{#white 칙패드[* 원문은 Comb로 칙패드를 나타내는 속어다.]}}}''' ||'''{{{#white 락우드 디펜더}}}'''|| 락우드 mk.2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안정성[br]반동 유연성||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 ||<-2> 기존 개머리판에 락우드제 칙패드를 증설한다. 정조준 사격이 유리해진다. || ||'''{{{#white 윙맨 COMB}}}'''|| 락우드 mk.2로 26레벨 달성시 해금 || ||예비탄약 갯수||정조준 속도|| ||<-2> 탄약 적재기를 개머리판에다 단다. 예비탄약 갯수가 늘어나 좀 더 오래싸울 수 있다. || ||'''{{{#white 락우드 머르시리스}}}'''|| 락우드 mk.2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전력질주 후 사격속도[br]정조준 속도||정조준 안정성[br]정조준 이동속도|| ||<-2> 개머리판 위쪽에 칙패드를 증설한다. 근접대응력이 강화된다. || ||<|9> '''{{{#white 개머리판}}}''' ||'''{{{#white 데모 VX509}}}'''|| 락우드 mk.2로 19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이동속도[br]전력질주 속도||정조준 안정성|| ||<-2> 데모제 폴리머 개머리판, 근접대응력 강화. || ||'''{{{#white 락우드 [[불스아이]]}}}'''|| 락우드 mk.2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앉아 이동속도[br]전력질주 속도[br]정조준 속도||반동 제어|| ||<-2> 락우드제 전술 개머리판. 전체적인 이동속도가 개선된다. || ||'''{{{#white 컷 오프 스톡 모드}}}'''|| 락우드 mk.2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전력질주 속도[br]이동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정조준 반동 제어[br]정조준 안정성[br]피격 저항|| ||<-2> 개머리판 절삭 모드, 근접전에 특화시킨다. || }}} || === [[H&K PSG1|LM-S]]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_LM-S.png|width=100%]]}}}|| ||<-2> '''{{{#white 플랫폼}}}''' ||<-3> 라흐만 & 미어 플랫폼 || ||<-5> ''LM-S는 반자동 라이플의 정확성 강화 버전으로 군 및 경찰에게 지급됩니다. 프리시전 설계로 장거리에서 차원이 다른 정확성을 자랑합니다.'' || ||<-2> '''{{{#white 탄종}}}''' ||<-3> 7.62 NATO || || '''{{{#white 해제 레벨}}}''' || '''{{{#white 사격 모드}}}''' || '''{{{#white 정조준 전환}}}''' || '''{{{#white 달리기 후 사격}}}''' || '''{{{#white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 라흐만-762로 17레벨 달성 || 반자동 || 0.290 초 || 0.210 초 || 0.310 초 || || '''{{{#white 총구 탄속}}}''' || '''{{{#white 연사력}}}''' || '''{{{#white 장탄수}}}''' || '''{{{#white 일반 재장전 시간}}}''' || '''{{{#white 전술 재장전 시간}}}''' || || 680 m/s || 333 RPM || 10 || 2.52 초 || 1.65 초 || ||<-4> '''{{{#white 피해량 / BTK / TTK}}}''' || || '''{{{#white 구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0%, #C9151E 0% 48.3%, #808080 48.3% 100%)" '''{{{#white {{{-2 0 m[br]48.3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48.3%, #C9151E 48.3% 68.6%, #808080 68.6% 100%)" '''{{{#white {{{-2 48.3 m[br]68.6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68.6%, #C9151E 68.6% 100%, #808080 100% 100%)" '''{{{#white {{{-2 68.6 m[br]+}}}}}}'''}}} || || '''{{{#white 머리}}}''' || '''100 / 1'''[br]{{{-2 0.000 초}}} || '''99 / 2'''[br]{{{-2 0.180 초}}} || '''90 / 2'''[br]{{{-2 0.180 초}}} || || '''{{{#white 목}}}''' || '''66 / 2'''[br]{{{-2 0.180 초}}} || '''54 / 2'''[br]{{{-2 0.180 초}}} || '''49 / 3'''[br]{{{-2 0.360 초}}} || || '''{{{#white 몸통 상부}}}''' || '''66 / 2'''[br]{{{-2 0.180 초}}} || '''54 / 2'''[br]{{{-2 0.180 초}}} || '''49 / 3'''[br]{{{-2 0.360 초}}} || || '''{{{#white 몸통 하부}}}''' || '''66 / 2'''[br]{{{-2 0.180 초}}} || '''54 / 2'''[br]{{{-2 0.180 초}}} || '''49 / 3'''[br]{{{-2 0.360 초}}} || || '''{{{#white 팔 상부}}}''' || '''55 / 2'''[br]{{{-2 0.180 초}}} || '''45 / 3'''[br]{{{-2 0.360 초}}} || '''41 / 3'''[br]{{{-2 0.360 초}}} || || '''{{{#white 팔 하부}}}''' || '''55 / 2'''[br]{{{-2 0.180 초}}} || '''45 / 3'''[br]{{{-2 0.360 초}}} || '''41 / 3'''[br]{{{-2 0.360 초}}} || || '''{{{#white 다리 상부}}}''' || '''55 / 2'''[br]{{{-2 0.180 초}}} || '''45 / 3'''[br]{{{-2 0.360 초}}} || '''41 / 3'''[br]{{{-2 0.360 초}}} || || '''{{{#white 다리 하부}}}''' || '''55 / 2'''[br]{{{-2 0.180 초}}} || '''45 / 3'''[br]{{{-2 0.360 초}}} || '''41 / 3'''[br]{{{-2 0.360 초}}} || FSS제 라흐만 미어의 경찰용 저격소총. 실제 모델은 [[헤클러 운트 코흐|H&K]]사의 [[H&K PSG1|PSG1]]. 다만 AK-47 형태의 레버식 탄창 멈치가 없는 등, PSG-1 보다는 민수용 H&K SR9(TC)와 가깝게 모델링되어 있으며 DMR이기 때문에 MSG-90A2의 기계식 조준기가 추가되어있다.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이후 12년 만에 복귀했다. 자동사격 기능이 없기 때문에, 3점사 조정간이 구현된 라흐만 서브처럼 이 총에 그립 개조를 해보면 자동사격 각인이 삭제되어있는 디테일이 존재한다. 돌격 DMR스러웠던 전작의 성능이 더욱 극단화되어 헤드샷 원샷킬이 불가능해졌지만, 비슷한 컨셉을 공유하는 DMR중에서는 사거리에 비교적 덜 구애받는 일관적인 성능을 가졌다. || '''{{{#white 설계도}}}''' || || '''{{{#white 플랫폼 부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white 총열}}}''' || '''{{{#white 라흐만 노바}}}''' || LM-S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탄속[br]유효 사거리[br]반동 제어[br]지향사격 명중률||정조준 속도[br]이동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 ||<-2> 중장거리용 총열. 근접대응력이 느려진다. || ||<|3> '''{{{#white 탄창}}}''' || '''{{{#white 15발 탄창}}}''' || LM-S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장탄수||재장전 속도|| ||<-2> 유일한 확장탄창, 지속사격력을 증대시킨다. || }}} || === [[Mk.20 SCAR-SSR|TAQ-M]]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_TAQ-M.png|width=100%]]}}}|| ||<-2> '''{{{#white 플랫폼}}}''' ||<-3> 택틱 베르트 플랫폼 || ||<-5> ''TAQ-M은 6.5mm SR 탄환과 모듈형 설계로 장거리에서 탁월한 모습을 보입니다.'' || ||<-2> '''{{{#white 탄종}}}''' ||<-3> 6.5 크리드무어 || || '''{{{#white 해제 레벨}}}''' || '''{{{#white 사격 모드}}}''' || '''{{{#white 정조준 전환}}}''' || '''{{{#white 달리기 후 사격}}}''' || '''{{{#white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 TAQ-56으로 19레벨 달성[* 인게임에선 20레벨에 해금으로 오기되어있다.] || 반자동 || 0.280 초 || 0.210 초 || 0.310 초 || || '''{{{#white 총구 탄속}}}''' || '''{{{#white 연사력}}}''' || '''{{{#white 장탄수}}}''' || '''{{{#white 일반 재장전 시간}}}''' || '''{{{#white 전술 재장전 시간}}}''' || || 680 m/s || 231 RPM || 10 || 2.20 초 || 1.35 초 || ||<-5> '''{{{#white 피해량 / BTK / TTK}}}''' || || '''{{{#white 구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0%, #C9151E 0% 53.3%, #808080 53.3% 100%)" '''{{{#white {{{-2 0 m[br]53.3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53.3%, #C9151E 53.3% 63.5%, #808080 63.5% 100%)" '''{{{#white {{{-2 53.3 m[br]63.5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63.5%, #C9151E 63.5% 73.7%, #808080 73.7% 100%)" '''{{{#white {{{-2 63.5 m[br]73.7 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08080 0% 73.7%, #C9151E 73.7% 100%, #808080 100% 100%)" '''{{{#white {{{-2 73.7 m[br]+}}}}}}'''}}} || || '''{{{#white 머리}}}''' || '''100 / 1'''[br]{{{-2 0.000 초}}} || '''100 / 1'''[br]{{{-2 0.000 초}}} || '''96 / 2'''[br]{{{-2 0.260 초}}} || '''94 / 2'''[br]{{{-2 0.260 초}}} || || '''{{{#white 목}}}''' || '''84 / 2'''[br]{{{-2 0.260 초}}} || '''62 / 2'''[br]{{{-2 0.260 초}}} || '''59 / 2'''[br]{{{-2 0.260 초}}} || '''58 / 2'''[br]{{{-2 0.260 초}}} || || '''{{{#white 몸통 상부}}}''' || '''84 / 2'''[br]{{{-2 0.260 초}}} || '''62 / 2'''[br]{{{-2 0.260 초}}} || '''59 / 2'''[br]{{{-2 0.260 초}}} || '''58 / 2'''[br]{{{-2 0.260 초}}} || || '''{{{#white 몸통 하부}}}''' || '''71 / 2'''[br]{{{-2 0.260 초}}} || '''52 / 2'''[br]{{{-2 0.260 초}}} || '''50 / 2'''[br]{{{-2 0.260 초}}} || '''49 / 3'''[br]{{{-2 0.520 초}}} || || '''{{{#white 팔 상부}}}''' || '''65 / 2'''[br]{{{-2 0.260 초}}} || '''48 / 3'''[br]{{{-2 0.520 초}}} || '''46 / 3'''[br]{{{-2 0.520 초}}} || '''45 / 3'''[br]{{{-2 0.520 초}}} || || '''{{{#white 팔 하부}}}''' || '''65 / 2'''[br]{{{-2 0.260 초}}} || '''48 / 3'''[br]{{{-2 0.520 초}}} || '''46 / 3'''[br]{{{-2 0.520 초}}} || '''45 / 3'''[br]{{{-2 0.520 초}}} || || '''{{{#white 다리 상부}}}''' || '''65 / 2'''[br]{{{-2 0.260 초}}} || '''48 / 3'''[br]{{{-2 0.520 초}}} || '''46 / 3'''[br]{{{-2 0.520 초}}} || '''45 / 3'''[br]{{{-2 0.520 초}}} || || '''{{{#white 다리 하부}}}''' || '''65 / 2'''[br]{{{-2 0.260 초}}} || '''48 / 3'''[br]{{{-2 0.520 초}}} || '''46 / 3'''[br]{{{-2 0.520 초}}} || '''45 / 3'''[br]{{{-2 0.520 초}}} || 모티브가 되는 총기는 [[FN 에르스탈]]의 [[Mk.20 SCAR-SSR]]이나, 인게임 모델은 6.5mm 탄환을 사용하는 민수용 모델인 [[Mk.17 SCAR-H#SCAR-17S|FN SCAR 17S]]에 미드웨스트 혹은 MREX 연장레일을 장착한 모습이다. DMR이 모두 헤드 원샷킬이 가능해 반자동 DMR 중 가장 낮은 연사력으로 천대받았던 전작과 달리, MWII 출신 반자동 DMR 중 유일하게 사거리 내 헤드 원샷, 상체 2샷의 성능을 유지하며 날아올랐다. 비슷한 컨셉을 공유하는 다른 DMR과 비교하자면 연사력이 가장 높아 근접에서 강력하지만, 교전 거리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는다. || '''{{{#white 설계도}}}''' || * 가열찬 경기장: 월드컵 예측 이벤트 승자(승패 예측 성공 2회 달성) 보상. || '''{{{#white 플랫폼 부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 '''{{{#white 총열}}}''' || '''{{{#white 15.5" 테타-X13}}}''' || TAQ-M으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반동 제어[br]정조준 속도||지향사격 명중률[br]유효 사거리[br]탄속|| ||<-2> 단총열. DMR을 반자동 소총으로 만들어주지만 그러기에는 많은 것을 희생해야 한다. || ||'''{{{#white LR1:7 20.5" 총열}}}'''|| TAQ-M으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지향사격 명중률[br]유효 사거리[br]탄속||정조준 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 ||<-2> 위와는 반대로 장거리전에 적합하게 만들어준다. || ||<|6> '''{{{#white 후방 손잡이}}}''' || '''{{{#white XRK 리스폰스 그립}}}''' || TAQ-M으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피격 저항||정조준 이동사격 속도|| ||<-2> XRK제 후방 손잡이, 근접전에서 에임이 흐트러지는 것을 막아준다. || || '''{{{#white TV 에르고 그립}}}''' || TAQ-M으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피격 저항[br]정조준 안정성||정조준 속도[br]정조준 안정성|| ||<-2> 중장거리전에서도 에임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 ||<|6> '''{{{#white 탄창}}}''' || '''{{{#white 15발 탄창}}}''' || TAQ-M으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장탄수||재장전 속도|| ||<-2> 장탄수 +5발. || || '''{{{#white 20발 탄창}}}'''|| TAQ-M으로 23레벨 달성시 해금 || ||장탄수||재장전 속도|| ||<-2> 장탄수 +10발. || ||<|6> '''{{{#white 개머리판}}}''' || '''{{{#white TV XLINE 프로}}}''' || TAQ-M으로 20레벨 달성시 해금 || ||앉은 이동속도[br]전력질주 속도[br]정조준 속도||반동 제어|| ||<-2> 택틱 베르트제 전술 개머리판. 앉은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은 빠른 페이스가 특징인 콜옵 특성상 잉여 스탯이다. || || '''{{{#white TV 발라스트 스톡}}}''' || TAQ-M으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앉은 이동속도[br]전력질주 속도[br]정조준 이동사격 속도||반동 제어[br]정조준 안정성|| ||<-2> 전용 경량형 개머리판. 근접대응력을 늘려줘 돌격스나를 가능하게 해주지만 본래 목적대로 사용하기엔 애로사항이 꽃핀다. || }}} || === [[KAC SR-25|템푸스 토렌트]]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_TempusTorrent.png|width=100%]]}}}|| ||<-2> '''{{{#white 플랫폼}}}''' ||<-3> M4 플랫폼 || ||<-5> ''템푸스 아마먼트의 고성능 DMR입니다. 유연한 M4 플랫폼을 이용했으며 탄속이 빠르고 7.62탄을 사용합니다.[br]안정적으로 지속 사격을 할 수 있고 적을 빠르게 제압합니다.'' || ||<-2> '''{{{#white 탄종}}}''' ||<-3> 7.62 NATO || || '''{{{#white 해금 조건}}}''' || '''{{{#white 사격 모드}}}''' || '''{{{#white 정조준 전환}}}''' || '''{{{#white 달리기 후 사격}}}''' || '''{{{#white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 DMZ, 좀비[*B 이 무기를 갖고 탈출하면 자동 해금된다.] ---- 멀티[* DMR로 더블 킬 25회] || 반자동 || 0.330 초 || 0.218 초 || 0.322 초 || || '''{{{#white 총구 탄속}}}''' || '''{{{#white 연사력}}}''' || '''{{{#white 장탄수}}}''' || '''{{{#white 일반 재장전 시간}}}''' || '''{{{#white 전술 재장전 시간}}}''' || || 680m/s || 316RPM || 30 || 2.7 초 || 1.4 초 || 템푸스 사의 지정사수 소총. 실제 모델은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 사의 [[KAC SR-25|SR-25E2 PR M-LOK]] 소총이다. 총기 부착물에 따라 [[루이스 머신 & 툴 컴퍼니]]의 [[LMT MARS-H|MARS-H]]도 구현 가능. 여담으로 기본형 개머리판이 LMT 사의 SOPMOD 크레인 스톡과 HK416의 중기형 개머리판을 믹스해놓은 형태로 꽤 멋지게 나왔다. M4 플랫폼 무기중 최초로 총열 덮개 개조가 가능한 총기이다. 또한 총기 컨셉이 배틀 라이플과 DMR의 하이브리드라도 되는것인지, 이쪽은 본작 최초로 DMR인데도 50발 들이 드럼탄칭이 존재하며, 시리즈 최초로 DMR/SR인데도 하부 총열에 발사기 장착이 가능해 사실상 조정간 없는 전투소총처럼 운용하는게 가능해졌다. 가장 균형잡힌 능력치로 최고의 반자동 DMR 취급 받아 너프를 여럿 받았던 전작의 성능에서 한층 더 너프를 받아 이월되며 끔찍한 성능을 자랑한다. 탄의 체급이 한 체급 낮은 DM56과 비교해도 장점이 없는 수준으로, 성능 조정이 필요하다. || '''{{{#white 플랫폼 부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2> '''{{{#white 총열}}}''' ||'''{{{#white 14" 크로마 LRS}}}'''|| 템푸스 토런트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음 효과[br]탄속[br]유효 사거리[br]지향사격 명중률||정조준 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br]이동 속도|| ||<-2> 단총열에 내장 소음기가 장착되어 장총열처럼 보이게 만든 총열. 단총열의 단점인 사거리가 문제가 해결된 대신 단총열 특유의 근접전 성능이 사라졌다. 이 총열을 적용하면 총열 보호대를 교체할 수 없게 된다. || ||'''{{{#white 16" 투어 RP}}}'''|| 템푸스 토런트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유효 사거리[br]지향사격 명중률[br]탄속|| ||<-2> 단총열. || ||'''{{{#white 24" 아웃리치 4}}}'''|| 템푸스 토런트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유효 사거리[br]지향사격 명중률[br]탄속||정조준 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 ||<-2> 장총열. || ||'''{{{#white 12.5" 러기드 ZN}}}'''|| 템푸스 토런트로 9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지향사격 반동 제어[br]이동 속도||유효 사거리[br]지향사격 명중률[br]탄속[br]반동 제어|| ||<-2> 경량형 단총열. 근접대응력이 극한으로 향상되는 대신 탄속이 느려져서 중거리부터는 버거워진다. || ||<|9> '''{{{#white 총열 보호대}}}''' ||'''{{{#white 토런트 택 가드}}}'''|| 템푸스 토런트로 2레벨 달성시 해금 || ||앉아 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전력질주 속도|| ||<-2> 토런트 전용 전술 총열 보호대. 앉아서 이동하는 것은 잉여 스탯이므로 근접대응력이 빨라지는 대신 위치 이탈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 ||'''{{{#white TT-HG40}}}'''|| 템푸스 토런트로 17레벨 달성시 해금 || ||반동 안정성[br]피격 저항||정조준 속도|| ||<-2> 토런트 전용 중총열 보호대. 근접전에서도 안정적인 사격을 할 수 있다. || ||'''{{{#white 토런트 MOC-Ⅳ}}}'''|| 템푸스 토런트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전력질주 속도[br]지향사격 이동속도||피격 저항[br]반동 안정성|| ||<-2> 이동속도를 강화시켜주는 경량형 총열 보호대. 근접전이 약해지기에 [[니가와]] 전술을 써야 한다. 이 총열 보호대를 적용하면 양각대를 장착할 수 없게 된다. || ||<|6> '''{{{#white 탄창}}}''' ||'''{{{#white 30발 탄창}}}'''|| 템푸스 토런트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장탄수||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br]재장전 속도[br]전력질주 후 사격 속도|| ||<-2> 장탄수 +10발. || ||'''{{{#white 50발 드럼탄창}}}'''|| 템푸스 토런트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장탄수||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br]재장전 속도[br]전력질주 후 사격 속도|| ||<-2> 장탄수 +30발. DMR에 과한 장탄수가 왠말인가 싶지만 DMZ모드에서 연속으로 일점사하기엔 좋을지도? || ||<|3> '''{{{#white 개머리판}}}''' ||'''{{{#white PSO 헤비}}}'''|| 템푸스 토런트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안정성[br]반동 제어||정조준 이동속도[br]전력질주 속도[br]정조준 속도[br]앉아 이동속도|| ||<-2> 중장거리전이 유리해지는 대신 근접대응력이 불리해진다. || }}} || === [[석궁|크로스보우]]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WII_Crossbow.png|width=100%]]}}}|| ||<-2> '''{{{#white 플랫폼}}}''' ||<-3> 크로스보우 || ||<-5> ''은밀하며 민첩한 고성능 크로스보우로 강력한 20.0" 볼트를 발사합니다. 뛰어난 기능을 갖춘 커스터마이즈 무기로 누구나 탐낼 걸작입니다. 20.0" 일반 볼트는 회수할 수 있으며 트로피 시스템에 탐지되지 않습니다.'' || ||<-2> '''{{{#white 탄종}}}''' ||<-3> 20.0" 볼트 || || '''{{{#white 해금 조건}}}''' || '''{{{#white 사격 모드}}}''' || '''{{{#white 정조준 전환}}}''' || '''{{{#white 달리기 후 사격}}}''' || '''{{{#white 전술 달리기 후 사격}}}''' || || DMZ, 좀비[*B] ---- 멀티[* DMR 원거리처치 50회] || 단발 || 0.350 초 || 0.270 초 || 0.390 초 || || '''{{{#white 총구 탄속}}}''' || '''{{{#white 연사력}}}''' || '''{{{#white 장탄수}}}''' || '''{{{#white 일반 재장전 시간}}}''' || '''{{{#white 전술 재장전 시간}}}''' || || 110 m/s || 375 RPM || 1 || 3.33 초 || 2.2 초 || 배틀패스 시즌2 리로디드에서 등장한 석궁이며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장비류/주무기#s-6.4|전작]] 마찬가지로 XRK제 석궁이다. 볼트는 일반 볼트 외에 테르밋, 최루 가스, 폭발 볼트 3종이 존재한다. 공통적으로 헤드샷을 적중시키면 플레이어를 체력 불문 단 한방에 제압할 수 있다. 특수 볼트들은 격발할 시 회수가 불가능하며, 일반 볼트는 가능하다. 화기가 아닌 석궁이므로 극도로 조용한 소음을 자랑하지만, 매우 느린 재장전 속도와 탄속, 심한 낙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여러 장점에도 사용하기 쉽지 않은 무기이다. 특이하게도 테르밋 볼트의 성능이 좀비모드에서 압도적인 성능을 자랑해 자주쓰이고 있다. || '''{{{#white 플랫폼 부속}}}'''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2> '''{{{#white 활대}}}''' ||'''{{{#white 썬더 200Lb}}}'''|| 쇠뇌로 5레벨 달성시 해금 || ||명중률[br]반동 제어||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 ||<-2> 컴파운드 보우급 성능으로 만든 활대, 무거운만큼 이동속도가 감소한다. || ||'''{{{#white 카본 엘리트 V3}}}'''|| 쇠뇌로 12레벨 달성시 해금 || ||이동속도[br]정조준 속도||명중률[br]반동 제어|| ||<-2> 경량형 활대, 볼트의 명중률을 감소시킨다. || ||'''{{{#white 소 메멘티}}}'''|| 쇠뇌로 8레벨 달성시 해금 || ||탄속[br]유효 사거리||정조준 속도[br]지향사격 명중률|| ||<-2> 탄성력을 높혀 볼트를 멀리 날리게 만들었다. || ||'''{{{#white 퀼 XE 100Lb}}}'''|| 쇠뇌로 15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지향사격 명중률||탄속[br]유효 사거리|| ||<-2> 빠른 조준과 급작스런 상황 대응을 빠르게 만든 경량형 전술 활대. || ||<|6> '''{{{#white 와이어}}}''' ||'''{{{#white 28-스트랜드 케이블}}}'''|| 쇠뇌로 3레벨 달성시 해금 || ||탄속||명중률[br]반동 제어|| ||<-2> 무거운 케이블, 탄성력이 높아 흔들림이 극심하다. || ||'''{{{#white 16-스트랜드 케이블}}}'''|| 쇠뇌로 14레벨 달성시 해금 || ||명중률[br]반동 제어||탄속|| ||<-2> 가벼운 케이블, 위와 정확히 반대되는 성능을 가진다. || ||<|9> '''{{{#white 볼트}}}''' ||'''{{{#white 브라이트블레이즈 20" 볼트}}}'''|| 쇠뇌로 11레벨 달성시 해금 || ||소이탄||탄속[br]명중률[br]예비 탄약 갯수 감소|| ||<-2> 테르밋 볼트, 볼트 자체의 피해량이 약간 낮아 단발 제압 부위가 줄어들지만, 테르밋의 강력한 지속 피해 덕에 코어에서는 부위에 상관 없이 적을 사살할 수 있다. 그러나 지속 피해인 만큼 적이 죽기 전에 반격 가능한 것이 큰 단점이다. 예비 탄약이 8발로 줄어든다. || ||'''{{{#white 블래스트 캡 20" 볼트}}}'''|| 쇠뇌로 17레벨 달성시 해금 || ||폭발탄||탄속[br]명중률[br]예비 탄약 갯수 감소|| ||<-2> 폭발 볼트는 탄속과 명중률이 모두 낮지만 가장 강력한 피해량을 가졌으며, 적에게 직격시키지 못해도 폭발에 휘말리면 죽거나 강력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다만 워존에서는 다른 볼트와 마찬가지로 직격하더라도 헤드샷이 아니라면 적을 한발에 제압할 수 없다. 폭발 볼트의 진가는 일반 멀티 플레이에서 방패 유저를 상대로 발휘하는데, 호버젯의 기관포도 막는 방패가 폭발 볼트 단 한방에 사망이다. 물론 방패에 박히고도 일정 시간 후에 폭발하지만, 주변의 플레이어도 동귀어진 시킬수도 있기에 상당히 효과적이다. 게다가 약간 빗나가도 등에 매고 있는 방패 어느 곳이든 맞기만 하면 킬이 성립되기 때문에 명중시키기 가장 쉬운 편에 속한다. 예비 탄약이 7발로 줄어든다. || ||'''{{{#white FTAC 카우스틱 20" 볼트}}}'''|| 쇠뇌로 7레벨 달성시 해금 || ||최루탄||명중률[br]탄속|| ||<-2> 포지택제 최루 가스 볼트, 대상에 '''적중할 시''' 최루 가스를 퍼뜨린다. 최루 가스의 성능은 투척형과 동일하다. || ||<|12> '''{{{#white 개머리판}}}''' ||'''{{{#white FT 에이펙스 1.5}}}'''|| 쇠뇌로 4레벨 달성시 해금 || ||반동 제어||정조준 속도[br]앉아 이동속도|| ||<-2> 육각형 로고 안에 BAH라는 글귀가 적힌 포지택제 중형 개머리판, 명중률을 끌어올릴 수 있다. || ||'''{{{#white FT 다트 CB}}}'''|| 쇠뇌로 13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속도[br]전력질주 속도||정조준 안정성|| ||<-2> 포지택제인데 어째선 실버필드 로고가 박힌 경량형 개머리판으로 근접대응력을 향상시킨다. ~~그럼에도 빗나가면 죽는데 무슨 소용일까...~~ || ||'''{{{#white FTAC 피어서}}}'''|| 쇠뇌로 10레벨 달성시 해금 || ||정조준 안정성||정조준 이동속도[br]전력질주 속도|| ||<-2> [[카본 파이버]]로 만든 포지택제 개머리판. 명중률을 향상시켜준다. || ||'''{{{#white 스피드트랙 에코}}}'''|| 쇠뇌로 16레벨 달성시 해금 || ||앉아 이동속도[br]전력질주 속도[br]정조준 속도||반동 제어|| ||<-2> 기동성을 중점에 둔 개머리판. ||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장비류/주무기, version=1781)] [[분류:콜 오브 듀티 시리즈/장비류]][[분류: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I 2023]][[분류:콜 오브 듀티: 워존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