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맨체스터 시티 출신 1946년생 축구인, rd1=콜린 벨(1946))]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콜린 벨호)] [include(틀:아시아축구연맹 소속 여자 국가대표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AEAEA 0%, #FFFFFF 20%, #FFFFFF 80%, #EAEAEA)" '''콜린 벨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둘러보기 틀 모음''' || ||<-4> '''대표팀 감독''' || || [[틀: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6002D; font-size: 0.9em" [[틀: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ffffff '''대한민국(여자)'''}}}]]}}}[br]{{{-2 17대}}} || || || || ||<-4> {{{#333333,#cccccc '''클럽'''}}} || ||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6002d 0%, #e6002d)"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1 {{{#white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3> '''Korea Republic Women's National Football Team'''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콜린 벨 감독 공식 프로필.jpg|width=100%]]}}} || ||<-2> '''이름''' || {{{+1 '''콜린 벨'''}}}[br]'''Colin Bell''' || ||<|2><-2> '''출생''' ||[[1961년]] [[8월 5일]] ([age(1961-08-05)]세) || ||[[잉글랜드]] [[레스터]]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 ||<-2> '''신체''' ||179cm || ||<-2> '''직업''' ||[[축구 선수]] ([[풀백]] / ^^은퇴^^)[br][[축구 감독]] || ||<|3> '''소속''' || '''선수''' ||[[레스터 시티 FC]] (1980~1982)[br][[VfL 함]] (1982~1987)[br][[1. FSV 마인츠 05]] (1987~1989) || || '''감독''' ||'''[[TuS 코블렌츠]] (1989~1996)'''[br][[SG 디나모 드레스덴]] (1999~2000) [br] [[VfL 함]] (2000) [br] [[SV 발트호프 만하임]] (2000~2001) [br] [[1. FSV 마인츠 05 II]] (2001~2005) [br] [[SC 프로이센 뮌스터]] (2005) [br] [[TuS 코블렌츠]] 유스 (2006~2011)[br][[SC 07 바트 노이어나흐]] (2011~2013) [br] '''[[1. FFC 프랑크푸르트]] (2013~2015)'''[br][[아발드네스 IL]] (2015~2016)[br][[SC 잔트]] (2016)[br][[아일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아일랜드 여자 대표팀]] (2017~2019)[br]'''[[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여자 대표팀]] (2019~ )''' || || '''코치''' ||[[1. FC 쾰른]] (1996~1999)[br][[TuS 코블렌츠]] (2008~2011 / ^^수석 코치^^)[br][[허더즈필드 타운 AFC]] (2019 / ^^수석 코치^^) || ||<-2>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콜린벨서명.svg|height=80]]}}}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감독]]. [[2019년]]부터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고 있다. 독일계 영국인으로 대한민국 여자 축구 대표팀의 최초의 [[외국인 감독]]이다. == 선수 경력 == 잉글랜드 레스터 출신으로 1980년에 고향을 연고로 하는 [[레스터 시티 FC]]에서 프로에 데뷔했다. 이후 1982년 독일 VfL Hamm으로 이적했다. 함에서 5시즌을 뛴 후 1987년 마인츠 05로 이적했고 마인츠에서 1989년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 지도자 경력 == 1989년 현역에서 은퇴하자마자 독일 [[TuS 코블렌츠]]에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지도자 커리어의 상당 부분을 주로 독일 리그에서 보냈다. 2013년 독일 여자 축구 최상위 리그인 [[프라우엔-분데스리가]]의 [[1. FFC 프랑크푸르트]] 감독으로 취임해 승률 80%를 기록하며 지도력을 입증했으며, 2014년 독일컵, 2015년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우승을 연달아 달성했다. 2015-16 시즌에는 노르웨이 명문 아발드네스 IL 감독으로 부임했다. 2017년부터 2019년 6월까지는 아일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했고 열악한 환경에서도 팀의 FIFA랭킹을 역대 최고로 끌어올렸다. 이후 [[EFL 챔피언십|잉글랜드 챔피언십]] [[허더즈필드 타운 AFC|허더스필드]]의 수석 코치로 부임했다. === [[콜린 벨호|대한민국 여자 대표팀 감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콜린 벨호)] 2019년 10월 18일 선수 폭행 논란으로 자진 사임한 [[최인철]] 감독의 후임으로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대한민국 여자 대표팀 사상 첫 외국인 감독이 되었다. [[2022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준우승을 기록한 직후에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2023 여자 월드컵]]까지 계약을 연장했다. 2023년 4월 1일에 두 번째로 계약을 연장해 2024년 12월까지 여자 축구 대표팀 감독과 여자 축구 연령별 대표팀 어드바이저를 겸임하게 되었다. [[맨체스터 시티 위민]]이 벨 감독을 강력하게 원했지만 거절하고 대한민국 여자 축구와의 동행을 택했다. == 대회 기록 == === 선수 === * [[1. FSV 마인츠 05]](1987-1989) * [[3. 리가|독일 3. 리가]]: 1987-88 === 감독 ===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프라우엔]](2013-2015) * DFB-포칼 프라우엔: 2013-14 *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2014-15 *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2019~ ) *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2022 == 여담 == * 동명이인으로 [[맨체스터 시티 FC]]의 레전드 미드필더인 1946년생 [[콜린 벨(1946)|콜린 벨]]이 있다. * [[위르겐 클롭]] 감독과는 1994년부터 알고 지낸 사이라고 한다. 둘은 [[1.FSV 마인츠 05|마인츠]]의 코칭스태프로 함께하기도 했다. * [[차두리]]가 2007년부터 2009년까지 [[TuS 코블렌츠]]에서 뛴 적이 있는데, 당시 콜린 벨은 코블렌츠의 유스 감독 및 수석코치로 있었다. *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기 전까지 허더스 필드 수석 코치직을 수행하는 등 계속해서 축구의 주류인 유럽에서 지도자 생활을 해 왔다. 축구팬들도 왜 이런 사람이 우리나라 여자 축구 감독을 하겠다고 승낙한 게 의문이라고 할 정도.[* 추가로 재계약이 성사되면서 1년 더 있게 되었다.] 사실 여자 축구는 어디까지나 남자 축구에 비해서 인프라가 부족할 뿐이지, 한국 여자 축구는 세계 기준에선 인프라가 잘 정비된 편이다. 때문에 국제무대에서 준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어 콜린 벨의 입장에서도 해볼 만한 위치에 있다. * 성격이 꽤 쾌활한 편인데 인터뷰도 위트있게 하고 취임 기자 회견 당일 기자들과 일일이 악수하며 인사를 하는 등 성격이 밝다. 또 도쿄 올림픽 최종 예선 베트남 전에서는 애국가를 함께 따라 부르기도 했는데 한국에서 받은 존중에 대한 감사의 표시라고 한다. 우리말은 서툴지만 애국가는 가슴으로 부른다고 하며 지소연 같은 월드클래스 선수를 지도할 수 있어 영광이라 말하는 등 예의를 갖춘 인물이라며 호평이 많다.[* 2023 아놀드 클라크컵에서 잉글랜드와 대전할 당시 영국 중계진도 애국가를 같이 부르는 벨 감독의 모습이 인상적이라고 코멘트했다. 1:1 비교가 불가능하나 클린스만의 전례 없는 태업 막장과 함께 K리그 폄하 인터뷰 발언 때문에 신뢰를 잃어버린 팬들 사이에서 콜린 벨 감독의 행적에 다시 재평가되고 있다.] * 의외로 한국 여자 축구와 인연이 꽤 깊다. SC 07 바드 노이어나흐는 2009년 차연희와 박희영이 뛰었던 팀이고, 1. FFC 프랑크푸르트는 2010년에 이장미가 뛰었던 팀이다. 그리고 아발스네스 IL은 [[조소현]]이 2018년에 소속되어 있었다. 물론 시기가 엇갈려 이들을 지도하지는 않았다. * 역대 각급 국가대표팀 외국인 감독, 코칭스태프를 통틀어 가장 유창한 한국어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취임 초부터 한국어를 공부하기 시작하였다고 밝혔다. 초기에는 단어 몇 개를 한국어로 이야기하기도 했는데, 한국어를 꾸준히 공부하고 있지만 어렵다고 말했다. 2022년 6월 캐나다 원정 경기를 앞두고 한국어로 기자 회견을 진행했는데 꽤 수준 높은 어휘를 구사하는 걸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inLelKAZ8s|직접 보자]]. 2023년 신년 기자 회견에서도 유창한 한국어를 구사했는데 제일 좋아하는 한국어는 '고강도'라고 말했다.[[https://youtu.be/nKn7VSBqWO8|#]]. 2023년 중반에는 더욱 발전한 한국어 실력을 보이고 있다. *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인도]] 준우승 감독이 된 이후 골든 벨이라고 불리고 있다. *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에서 외국인 감독으로서 우승한 유일한 인물이다. * [[KTX]]를 상당히 애용한다고 한다. 특히 [[WK리그]] 관전을 다닐 때 자주 탄다고 한다. 참고로 콜린 벨의 조국이자 철도 종주국으로 불리는 영국에는 막상 아직 제대로 된 고속 철도 체계가 없다. == 둘러보기 == [include(틀: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참가 감독)] [include(틀: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인도))] [include(틀: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3 호주·뉴질랜드 여자 월드컵))] [include(틀: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분류:1961년 출생]][[분류:레스터 출신 인물]][[분류:독일계 영국인]][[분류:복수국적자]][[분류:잉글랜드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풀백]][[분류:1980년 데뷔]][[분류:1989년 은퇴]][[분류:레스터 시티 FC/은퇴, 이적]][[분류:1. FSV 마인츠 05/은퇴, 이적]][[분류:잉글랜드의 축구감독]][[분류:TuS 코블렌츠/역대 감독]][[분류:SG 디나모 드레스덴/역대 감독]][[분류:SV 발트호프 만하임/역대 감독]][[분류:1. FSV 마인츠 05 II/역대 감독]][[분류:SC 프로이센 뮌스터/역대 감독]][[분류: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프라우엔/역대 감독]][[분류:아일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외국인 감독(축구)]][[분류:재한 영국인]][[분류:재한 독일인]][[분류: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참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