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약물]] [include(틀:약리학)] [목차] == 개요 == {{{+1 Cholinergic antagonist}}} 아세틸콜린 수용체 길항제는 [[아세틸콜린#수용체|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아세틸콜린]]을 비롯한 [[콜린작용제]]의 작용을 방해하는 약물이다.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는 주로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약화, 길항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니코틴 수용체 길항제는 주로 신경-근육 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에 작용하여 이를 막는 비탈분극성 신경근 차단제(non-depolarizing blocking agent)로 쓰인다. == 종류 == === 무스카린 수용체 길항제 === * [[아트로핀]](Atropine) * [[스코폴라민]](Scopolamine): 히오스신(Hyoscine)으로도 불린다. 한국에서는 키미테(Kimite)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된다. [[멀미]]의 치료와 예방에 사용되며, 주로 패치로 붙여서 사용한다. 또한, 항구토제(antiemitic)로도 사용된다. 3차 아민(tertiary amine)이기 때문에 [[혈액뇌장벽]]을 통과해 중추신경계에 작용할 수 있으며, 기억의 상실 작용이 있다. * 메트스코폴라민(Methscopolamine): Methylscopolamine으로도 불린다. 4차 아민(quaternary amine)으로, 스코폴라민과 달리 중추신경계에의 작용이 크지 않다. 과다한 침 분비의 치료나 [[위궤양]]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 글리코피롤레이트(Glycopyrrolate): [[혈액뇌장벽]]을 통과하지 않아 중추신경계에의 작용이 크지 않다. 위궤양, 과도한 침 분비, 과도한 땀 분비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 이프라트로피움(Ipratropium): [[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천식]]의 치료에 사용된다. 기관지 확장(bronchodilation)의 기능이 있다. * 티오트로피움(Tiotropium): [[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천식]]의 치료에 사용된다. 기관지 확장(bronchodilation)의 기능이 있다. 부작용으로는 구강마름증(dry mouth)가 있다. * 다리페나신(Darifenacin):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치료에 사용된다. 무스카린 수용체는 배뇨근(detrusor)을 수축시키고, 방광의 [[조임근]](bladder sphincter)를 이완시키는 기능이 있다. 다리페나신과 솔리페나신은 이러한 작용을 길항해 요실금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 [[솔리페나신]](Solifenacin):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치료에 사용된다. * 피렌제핀(Pirenzepine): 무스카린 수용체 중 M1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 [[위궤양]]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으나, [[양성자 펌프 억제제]]에 밀려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 니코틴 수용체 길항제 === ==== 비탈분극성 신경근 차단제 ==== 비탈분극성 신경근 차단제들은 주로 [[수술]]이나 [[삽관]](intubation) 때 근육을 이완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 튜보쿠라린(Tubocurarine) * 판큐로늄(Pancuronium) * 베큐로늄(Vecuronium) * 로큐로늄(Rocuronium) * 아트라쿠리움(Atracurium) * 미바쿠리움(Mivacurium) * 갈라민(Gallamine) ==== 그 외 ==== 헥사메토늄과 트리메타판은 자율신경절의 니코틴 수용체에 결합하여 이를 차단한다. 더 선택적인 약물들이 개발됨에 따라 이들의 사용이 많지는 않다. * 헥사메토늄(Hexamethonium) * 트리메타판(Trimethaphan): 고혈압 위기(hypertensive crisis)나 [[대동맥 박리]] 때 혈압을 낮추는 용도로 사용한다. * 맨드레이크성분도 길항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