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약물]] [include(틀:약리학)] [목차] == 개요 == {{{+1 Cholinergic agonist}}} '''콜린작용제'''(Cholinergic agonist)는 니코틴 수용체나 무스카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제]]이다. [[아세틸콜린]]은 [[부교감신경]]의 [[신경전달물질]]이기 때문에, 일부 콜린작용제는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강화한다. 신경-근육 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에서 [[골격근]](skeletal muscle)을 수축시키는 것이 아세틸콜린이기 때문에, 니코틴 작용제는 신경-근육 접합부에서 근육의 수축, 마비에 관여한다. [[콜린에스터분해효소 억제제]]는 직접적으로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작용하지는 않지만,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강화하기 때문에 간접적인 아세틸콜린 작용제로 불리기도 한다. == 목록 == *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니코틴 작용제(nicotinic agonist), 무스카린 작용제(muscarinic agonist) * [[니코틴]](Nicotine): 니코틴 작용제 * 무스카린(Muscarine): 무스카린 작용제 * 석시닐콜린(Succinylcholine)은 특히 니코틴 수용체에 강하게 결합하는 콜린작용제이다. 석시닐콜린은 신경-근육 접합부의 니코틴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용체를 지속적으로 활성화한다. 처음에는 일시적인 근육의 흥분이 일어나지만, 그 이후에는 근육의 마비가 나타난다. 석시닐콜린은 탈분극성 근이완제(depolarizing muslce relaxant)로 쓰인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혈중 칼륨 농도의 상승이 있으며, 심한 경우 [[심장마비]]나 [[부정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들로 인하여 석시닐콜린은 짧은 기간동안만 사용된다. * 메타콜린(Methacholine): 니코틴 수용체 작용보다 무스카린 수용체 작용이 더 크다. 콜린 에스터(choline ester) 계열의 약물로, [[천식]]의 진단에 사용된다. 메타콜린, 카바콜, 베타네콜은 아세틸콜린과 비교해, 콜린에스터 분해효소(cholinesterase)에 저항성을 갖기 때문에, 더 오랜 시간 작용할 수 있다. * 카바콜(Carbachol): 콜린 에스터(choline ester) 계열의 약물로, 다른 콜린 에스터 약물들보다 상대적으로 니코틴 수용체 작용이 크다. 주로 [[녹내장]]의 치료에 사용된다. * 베타네콜(Bethanechol): 콜린 에스터(choline ester) 계열의 약물로, 무스카린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 베타네콜은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통해 [[위장관]](GI tract)과 [[요로]](urinary tract)의 운동성을 증가시킨다. * 필로카핀(Pilocarpine): M3 수용체에 작용하는 무스카린 작용제이다. [[녹내장]]과 [[입안마름증]](xerostomia) 치료에 사용한다. * 세비멜린(Cevimeline): M1, M3 수용체에 작용하는 무스카린 작용제이다. [[쇼그렌 증후군]] 치료에 사용된다. * 옥소트레모린(Oxotremorine): M1 수용체에 작용하며, 실험적으로 사용된다. * [[바레니클린]](Varenicline): 니코틴 수용체 부분작용제. 금연보조의약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