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의미, rd1=C7)] ||<-2>
{{{#white '''{{{+3 C7}}}'''[br]''Diemaco · Colt Canada C7 / C7A1''[br]''디마코 · 콜트 캐나다 C7''}}}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7.jpg|width=100%]]}}}|| ||<-2><:> {{{#000,#ddd {{{-1 초기형 / C7}}}}}}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ltCanadaC7A1.jpg|width=100%]]}}}|| ||<-2><:> {{{#000,#ddd {{{-1 1차 개량형 / C7A1}}}}}}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7A2.png|width=100%]]}}}|| ||<-2><:> {{{#000,#ddd {{{-1 2차 개량형 / C7A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7NLD.png|width=100%]]}}}|| ||<-2><:> {{{#000,#ddd {{{-1 네덜란드군 제식형 / C7NL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20.png|width=100%]]}}}|| ||<-2><:> {{{#000,#ddd {{{-1 민수용 / SA20}}}}}} || || '''종류''' ||[[돌격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84년]]~현재 || || '''개발''' ||<|2>[[콜트(총기회사)|콜트]](C7)[br]디마코(현 [[콜트(총기회사)|콜트 캐나다]]) || || '''생산''' || || '''생산년도''' ||[[1982년]]~현재 || || '''생산수''' ||200,000정 이상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br][include(틀:국기, 국명=영국)][br][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br][include(틀:국기, 국명=덴마크)][br][include(틀:국기, 국명=아프가니스탄)] || ||<-2> {{{#white '''기종'''}}} || || '''원형''' ||[[M16 소총#s-3.1.4|M16A1E1]] || || '''파생형''' ||C7A1[br]C7A2[br]C7A3[br]C7CT[br]C10[br]C7NLD[br]Gevær M/95[br]C7 LSW[br]C7A1 LSW[br]LSW M/04[br]LOAWNLD[br][[콜트 캐나다 C8|C8]][br]MRR[br]SA20 || ||<-2> {{{#white '''제원'''}}} || || '''탄약''' ||[[5.56×45mm NATO|.223 레밍턴[br]5.56×45mm NATO]] || || '''급탄''' ||30발들이 [[STANAG 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직동식[br]회전 노리쇠 방식 || || '''총열길이''' ||508mm[br]472mm(C7A2) || || '''전장''' ||1,006mm[br]929.8mm(C7A2, 개머리판 수축)[br]960mm(C7A3, 개머리판 연장)[br]880mm(C7A3, 개머리판 수축) || || '''중량''' ||3.3kg(탄창 미포함)[br]3.9kg(30발 탄창 포함) || || '''발사속도''' ||700~900RPM || || '''탄속''' ||900m/s || || '''유효사거리''' ||400m~6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M16 소총]]의 [[캐나다]] 면허생산판. 생산업체는 캐나다의 디마코(Diemaco, 現 콜트 캐나다). 그 유명한 엘칸 C79 도트 사이트는 이 총에 장착되는 부속품이며, 디마코가 2005년 [[콜트(총기회사)|콜트]]에 인수되어 콜트 캐나다가 된 이후로는 콜트 캐나다 C7이라 불린다. 콜트 사의 사내 생산명은 모델 715. [[https://weaponsystems.net/system/249-Diemaco+C7|더 알아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7a2_canadian 0.jpg|width=100%]]}}} || || C7A2로 사격 훈련 중인 캐나다군 병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fsRJWRB8iA)]}}} || || C7 및 C8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는 영상 || == 상세 == === 역사 === 1982년부터 생산되어 1984년부터 사용된 [[캐나다군]]의 제식소총이며, [[영국군]][* 패스파인더 소대와 [[영국 해병대|해병대]] BPT 부대가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사용하였다.]과 [[네덜란드군]], [[덴마크군]],[* 이쪽은 1995년에 C7A1을, 1996년에는 단축형인 C8A2를 도입하는 등 꾸준히 도입해서 사용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그리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소수 운용되고 있다. === 특징 === [[STANAG 탄창]]이 아닌 전용 플라스틱 탄창을 사용하는데, [[맥풀]] 사의 [[PMAG]]만큼은 아니지만 신뢰성이 높고,[* 사실 이미 1980년대에 개발된 GAPCO사의 플라스틱 탄창이 있는데 캐나다군에서 이 탄창을 토대로 개량해서 채용했다.] STANAG 규격에서 파생된 탄창이라 기존 STANAG 탄창과 호환이 되는 탄창이라고 한다. 1980년대 말에서 1990년대 초에 이미 플라스틱 탄창과 피카티니 레일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위버 레일]]을 기본으로 장착하고 C7A1으로 개량하며 엘칸 사의 C79 3.4배율 도트 사이트도 달아주었는데 천하의 미군도 근 10년 지나서야 비슷한 시도를 하였던 것을 보면 상당히 선구적인 사례이다. 시간이 흘러 캐나다군의 예산 감축과 아프가니스탄 파병 임무 도중 모래나 먼지로 인해서 플라스틱 탄창의 관리가 힘들다는 클레임이 많아짐에 따라 가격도 싸고 관리하기도 편한 일반 STANAG 탄창을 보급하는 추세이다. [[파일:c7-grenade-launcher.jpg|width=5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16a1e1_ria-muesum 1.jpg|width=100%]]}}} || || '''[[https://en.wikipedia.org/wiki/Rock_Island_Arsenal_Museum|록 아일랜드 조병창 박물관]]에 전시된 M16A1E1''' || 초기형 C7은 [[M16A2|M16A1E1]][* [[M16A2]]의 프로토타입. A2 형태의 원통형 총열덮개와 M16A1과 동일한 운반용 손잡이 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과 거의 동일했으나, C7A1으로 개량되며 CAF(Canadian Armed Forces) Green이라는 캐나다군 독자적인 색의 총열 덮개, 손잡이, 개머리판과 위버 레일, 엘칸 C79 도트 사이트를 갖추게 된다. 이 색상(CF 그린)이 은근히 위장력이 뛰어나서,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세계 최초의 디지털 패턴이자 탑 랭크의 위장력을 가진 캐나다군 위장 패턴인 [[CADPAT]]과 합쳐지면 자세히 보지 않으면 '''사람도 총도 자연에 동화되어 구분을 잘 못할 정도'''의 무시무시함을 보여준다고 한다. 총검은 2004년까지는 [[M7 총검]]의 면허생산분인 C7 총검을 사용하다 현재는 독일 Eickhorn사의 CAN Bayonet 2000을 사용한다. C7과 C8에 동시에 장착 가능하다. == 개량형 및 파생형 == === C7A1 === [[파일:ColtCanadaC7A1.jpg|width=550]] C7에 [[위버 레일]] 일체형 플랫탑 리시버를 적용하고, 그 위에 엘칸 사의 3.4배율 C79 도트 사이트를 장착한 사양이다. === C7A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XtIUvyLlhU)]}}} || || C7A2 소개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7a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7A2.png|width=100%]]}}} || || 시제품 || 현용 || C7A1의 개량형. 상부 레일이 [[위버 레일]]에서 [[피카티니 레일]]로 변경되었으며 C8과 비슷한 신축식 개머리판을 장비하고 가늠쇠 부분에 세 방향의 [[피카티니 레일]] 조각(TRI-AD)을 장착하고 조정간, 탄창멈치, 장전 손잡이를 양손 사용에 최적화시키는 개량이 이루어졌다. 총열덮개 아래에는 CR123 배터리 2개를 수납 가능하다. C7A2에는 개량형 C79 도트 사이트인 C79A2가 기본 장착된다.[* 몇몇 캐나다군 병사들은 사비로 EOTech 사의 홀로그래픽 도트 사이트이나 트리지콘 사의 ACOG를 구입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의 캐나다군 운용 사진을 보면 카덱스(Cadex) 사의 접이식 수직 손잡이를 장착하여 운용하고 있는 걸 자주 볼 수 있다. === C7NLD === [[파일:C7NLD.png|width=550]] [[네덜란드군]] 제식 사양. 핸드가드 일부분에 [[Rail Integration System|RAS]]가 장착되었고, 상부 리시버와 핸드가드가 일체형인 IUR (Integrated Upper Receiver) 시스템이다. [[파일:d180214jv1027.jpg|width=550]] 네덜란드군 분대 편성에서 [[AG36]] UGL이 장착된 유탄수 세팅이 적용된 총기를 볼 수 있다. [[https://www.defensie.nl/onderwerpen/materieel/bewapening/colt-c7-c8nld-5.56mm|사진 출처]] === [[콜트 캐나다 C8|C8]] === [[파일:C8A1.jpg|width=55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콜트 캐나다 C8)] C7의 단축형. === C7 LSW === [[파일:m16lsw_canadian 0.jpg|width=580]] [[M16A1#CAR-15 Heavy Assault Rifle|M16A1 LMG]]의 후계형인 모델 750으로, 콜트 사가 [[캐나다군]]의 경지원화기(LSW) 사업 채택을 위해 디마코 사(현 콜트 캐나다 사)와의 협업을 통해 보다 두꺼워진 [[총열덮개]]와 MWG 90 [[탄창#s-4.1.6|드럼형 탄창]] 등으로 대체되어 C7 LSW의 제식명으로 선정되었으며, [[네덜란드군]][* 아래의 LOAWNLD를 운용 중이다.]과 [[덴마크군]]에서도 운용되고 있다. ==== C7A1 LSW ==== [[파일:c7a1-lsw_danish 0.jpg|width=580]] 콜트 사와 디마코(현 콜트 캐나다) 사가 개량한 모델 950으로, 엘칸 사(현 [[레이시온]] 사)의 C79 저배율 조준경을 부착하기 위해 윗총몸이 평평해지는 동시에 [[총열]]이 아닌 [[총열덮개]] 앞부분 하단에 양각대가 추가되었다. ==== LOAWNLD ==== [[파일:LOAWNLD.png|width=550]] 네덜란드군 제식 사양. 개머리판이 C7NLD와 동일한 개머리판으로 변경되었다. === MRR 계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RR.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W-MMR.png|width=100%]]}}} || || MRR8.5SC, MRR11.6S, MRR18.6L || MRR15.7M, MRR11.6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yaHAi_ils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h8ElfjS3sM)]}}} || || SHOT Show 2017 출품 영상 || MRR 리뷰 영상 || SHOT Show 2017에 출품. 캐나다 국방부의 미래보병체계 계획인 SARP II(Small Arms Replacement Project II)에 따라 개발된 모듈형 기종으로, [[콜트 캐나다 C8#s-3.5|IUR]]와 비슷하게 [[단조(금속 가공)#s-2.1|냉간 단조]] [[프리플로팅 배럴|유동총열]]과 총열덮개 일체형 윗총몸을 장착했지만 측면 부분에 [[맥풀]] 사의 [[M-LOK]]이 적용되어 있다. 파생형으로 C7A3가 있다. ==== C7A3 ==== C7의 3차 개량형으로, C7A2처럼 양손 사용에 최적화되었고 [[단조(금속 가공)#s-2.1|냉간 단조]]와 크롬 도금을 거친 [[프리플로팅 배럴|유동총열]]이 적용되어 명중률 및 내식성이 향상되었다. 그 외에 Gevær M/10의 접이식 가늠쇠와 가늠자가 채택되었고, 장전 손잡이 걸쇠가 작전이나 열병식에서 걸려서 구부러지고 파손되어 훈련 도중 장전 손잡이가 빠지지 않도록 짧고 튼튼하게 설계되었다. 도트 사이트로 기존에 쓰이던 엘칸 C79 대신 트리지콘 사의 ACOG RMR를 장비하며, 총열에 총검 장착 기능이 있다. [[https://www.reddit.com/r/GlobalPowers/comments/az0y12/rd_colt_canada_c7a3_c8a4/|상세 정보.]] === SA20 === [[파일:SA20.png|width=5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JO-bgYqH48)]}}} || || SA20 리뷰 영상 || C7A2의 민수용으로, 반자동 사격만 가능하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R-15/미디어)] [youtube(APev_P7_RTo)] * [[레인보우 식스 시즈]] [[스페인 국가경찰]] 소속 특수부대인 [[레인보우 식스 시즈/오퍼레이터/GEO|GEO]] 소속 공격 측 대원 [[자칼(레인보우 식스 시즈)|자칼]]이 네덜란드군 제식형인 C7NLD를 사용한다. C7E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특이하게 돌격소총인데도 지정사수소총에 쓰이는 [[맥풀]] PRS 개머리판을 부착했다. * [[언턴드]] 메이플스트라이크(Maplestrike)라는 이름의 캐나다군용 돌격소총으로 등장했다. * [[재기드 얼라이언스 2]] 제작사인 Sir-Tech이 캐나다 회사이기 때문에 게임 내 최고 성능인 돌격소총으로 등장한다. * [[프로젝트 리얼리티]] * [[AVA]] 출시 초기인 2009년엔 도트 사이트만 달려 있지 원본 총인 M16A2보다 나은 점이 없었다. 당시 출시되던 무기들에 성능 인플레이션이 진행되고 있었는데, C7은 게임의 초창기 시절 성능으로 나와버린 덕분에 지뢰총 취급을 받았다. * [[Phantom Forces]] 2020/7/1일 캐나다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사실 기존의 M16A3과 거의 똑같다-- * [[Squad]] C7A2와 C8A3가 캐나다군 제식 돌격소총으로 등장한다. 두 총기 모두 낮은 반동과 빠른 연사속도, 3.4배율 도트 사이트를 부착하기 때문에 게임 내 돌격소총들 중 성능이 좋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캐나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캐나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영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네덜란드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덴마크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보츠와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엘살바도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스토너 계열 총기)]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16 소총, version=579)]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16 소총, version=737)] [[분류:돌격소총]][[분류:자동소총]] [[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캐나다군/장비]][[분류:영국군/장비]][[분류:AR-15]][[분류:콜트(총기회사)]][[분류:1982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