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캐나다군의 카빈형 돌격소총에 대해 서술합니다. 동음이의어, rd1=C8)] ||<-2>
{{{#white '''{{{+3 C8}}}'''[br]''Colt Canada C8 / Diemaco C8''[br]''디마코 · 콜트 캐나다 C8''}}}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8A1.jpg|width=100%]]}}}|| ||<-2><:> {{{#000,#ddd {{{-1 1차 개량형 / C8A1}}}}}}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8A3.png|width=100%]]}}}|| ||<-2><:> {{{#000,#ddd {{{-1 3차 개량형 / C8A3}}}}}}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8A4.jpg|width=100%]]}}}|| ||<-2><:> {{{#000,#ddd {{{-1 4차 개량형 / C8A4}}}}}}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8NLD.png|width=100%]]}}}|| ||<-2><:> {{{#000,#ddd {{{-1 네덜란드군 제식형 / C8NLD}}}}}}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vær M10.png|width=100%]]}}}|| ||<-2><:> {{{#000,#ddd {{{-1 덴마크군 제식형 / Gevær M/1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15.7.png|width=100%]]}}}|| ||<-2><:> {{{#000,#ddd {{{-1 민수용 / SA15.7}}}}}} || || '''종류''' ||[[카빈]] || || '''원산지'''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3]] [[캐나다]]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94년]]~현재 || || '''개발''' ||<|2>디마코(현 [[콜트(총기회사)|콜트 캐나다]]) || || '''생산''' || || '''생산년도''' ||[[1983년]]~현재 || || '''생산수''' ||50,000정 이상 || || '''사용국'''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3]] [[캐나다]][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3]] [[영국]][br][[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3]] [[네덜란드]][br][[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3]] [[덴마크]][br][[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3]] [[노르웨이]][br][[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3]] [[스웨덴]][br][[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23]] [[아이슬란드]][br][[파일:보츠와나 국기.svg|width=23]] [[보츠와나]] || ||<-2> {{{#white '''기종'''}}} || || '''원형''' ||[[CAR-15#M723|M723]][br][[콜트 캐나다 C7|C7]] || || '''파생형''' ||C8A1[br]C8A2[br]C8A3[br]C8A4[br]C8 SFW[br]C8FTHB[br]C8 CQB[br]C8 IUR[br]C8CT[br]C8NLD[br]L119A1[br]L119A2[br]Karabin M/96[br]Gevær M/10[br]MRR8.5SC[br]MRR11.6S[br]MRR15.7M[br]SA15.7 || ||<-2> {{{#white '''제원'''}}} || || '''탄약''' ||[[5.56×45mm NATO]][br][[.300 AAC Blackout]](MRR8.5SC) || || '''급탄''' ||30발들이 [[STANAG 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직동식[br]회전 노리쇠 방식 || || '''총열길이''' ||368mm(C8, C8A1, C8A2)[br]399mm(C8 SFW, C8FTHB, C8A3, C8A4)[br]295mm(C8 CQB) || || '''전장''' ||840mm(C8, C8A1, C8A2, 개머리판 연장)[br]760mm(C8, C8A1, C8A2, 개머리판 수축)[br]876.3mm(C8 SFW, C8FTHB, C8A3, C8A4, 개머리판 연장)[br]800.1mm(C8 SFW, C8FTHB, C8A3, C8A4, 개머리판 수축) || || '''중량''' ||2.68kg(C8A1, 탄창 미포함)[br]3.28kg(C8A1, 30발 탄창 포함)[br]2.81kg(C8A2, 탄창 미포함)[br]3.41kg(C8A2, 30발 탄창 포함)[br]2.6kg(C8A4, 탄창 미포함)[br]3.2kg(C8A4, 30발 탄창 포함) || || '''발사속도''' ||750~950RPM || || '''탄속''' ||900m/s || || '''유효사거리''' ||4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9-02-03s 15s;39;08.jpg|width=100%]]}}} || || 2019년 1월 15일 [[케냐]] 나이로비 두짓 D2 호텔 테러 당시 L119A2[* 이 L119A2는 케냐에 주둔한 SAS 부대의 상징처럼 사용되고 있다. 일명 [[:파일:obi-wan-1_1.jpg|오비완 나이로비]].]를 들고 단신으로 현장에 돌입한 [[SAS(특수부대)|SAS]] 대원.[* 22연대 D중대 소속의 대원으로, 케냐 특수부대 훈련교관으로 복무 중이었다. 사건 당일에는 비번으로 나이로비 시내에서 쇼핑을 하던 도중 테러가 발생하자 곧바로 자가용에서 총과 군장을 꺼내서 대응에 나섰고 많은 민간인들을 구출했다.] 홀스터에는 부무장으로 [[글록]] 권총을 장비했다. 플레이트 캐리어 하단에 장비한 나이프는 영국의 소규모 커스텀 브랜드 Tgknives사의 나이프로 한쪽 면엔 전갈, 다른 쪽 면엔 성경 구절을 새겼다. || [[M4 카빈|M4]]의 캐나다 면허생산판. 2005년 디마코가 콜트에 인수된 이후 콜트 캐나다 C8로 불리기도 한다. 콜트 사의 사내 생산명은 모델 725. == 상세 == === 역사 === 1983년에 생산되어 1994년부터 사용된 [[콜트 캐나다 C7|C7]]의 단축형으로, [[영국군]]과 [[네덜란드군]], [[덴마크군]],[* 이쪽은 1996년에 C8A2를 도입하는 등 꾸준히 도입해서 사용하고 있다.] [[노르웨이군]], [[스웨덴군]], [[아이슬란드 국가경찰]] 그리고 [[보츠와나]]에서 소수 운용되고 있으며, [[영국군]] 소속 [[특수부대]]인 [[SAS(특수부대)|SAS]]와 [[SBS(특수부대)|SBS]]에서 운용하는 AR-15들은 사실 전부 이 총의 파생형들이다. 후술하겠지만 영국군은 C8 SFW에 L119A1이라는 제식 명칭을 붙이고 이를 개량해가며 현재진행형으로 사용하고 있다. === 특징 === [[CAR-15#M725|M725]]의 영향을 받아서 368mm(14.5인치) 총열을 장비한 기종으로, [[콜트 캐나다 C7|C7]]처럼 CF색 총열덮개와 권총손잡이, 개머리판을 갖추었으며 조준경으로 엘칸 스펙터 DR을 장착한다. == 개량형 및 파생형 == === C8A1 === [[파일:C8A1.jpg|width=550]] 가늠쇠에 세 방향의 피카티니 레일 조각(TRI-AD)을 장착한 기종. === C8 SFW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0dsgC566ro)]}}} || || [[래리 빅커스]]의 C8 SFW 소개 및 발사 영상 || 총열 길이를 399mm(15.7인치)로 늘인 사양. 영국군 특수부대는 1990년대 중반부터 C8A2 SFW를 L119A1 SFIW(Special Forces Individual Weapon)라는 제식 명칭으로 운용하고 있다. 캐나다군이나 영국군 이외에 노르웨이군과 스웨덴군도 운용 중이다. L119A1에서 총열을 254mm(10인치)로 더 줄여 근접전에 유리하게 만든 L119A1 CQB 모델도 존재한다. 개머리판 또한 변경되었다. === C8A3 === [[파일:C8A3.png|width=550]] C8의 3차 개량형. 399mm [[단조(금속 가공)#s-2.1|냉간 단조]] 총열이 적용되었으며, C7A2와 비슷하게 가늠쇠 부분에 세 방향으로 피카티니 레일 조각(TRI-AD)을 장착하고 조정간, 탄창 멈치, 장전 손잡이를 양손 사용에 최적화시키는 개량이 이루어졌다. === C8 CQB === 295mm(11.6인치) 총열을 장착한 단축형. === C8 IUR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o-UDnIWQgk)]}}} || || [[래리 빅커스]]의 C8 IUR 소개 및 발사 영상 || 총열덮개 일체형 윗총몸(Integrated Upper Receiver)과 [[단조(금속 가공)#s-2.1|냉간 단조]] [[프리플로팅 배럴|유동총열]]을 장착한 기종. ==== L119A2 ==== [[파일:L119A2.png|width=550]] 2013년 7월에 기존의 L119A1을 개수한 버전으로, [[소염기]]의 형상이 변경되고 양손 사용에 최적화되도록 개량되었다. 그리고 인체공학적 권총손잡이와 [[맥풀]] 사의 CTR 개머리판이 기본 장착된다. 영국 특수전사령부 예하 특수부대들에서 사용 중이다. 이후 [[KAC KS-1|L403A1]]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 C8NLD ==== [[파일:C8NLD.png|width=5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wift_Response_16_160615-A-BS310-102.jpg|width=100%]]}}} || || 2016년에 촬영된 네덜란드군의 운용 사진. || 네덜란드군 제식 사양. C7NLD와 동일하게 총열덮개에 [[Rail Integration System|RAS]]가 장착되었다. 또한 C7NLD와 동일한 개머리판이 장착되었다. ==== Gevær M/10 ==== [[파일:Gevær M10.png|width=550]] 덴마크군 제식 사양. 가늠쇠와 가늠자가 접이식으로 개량되었고 인체공학적 권총손잡이, 맥풀 사의 CTR 개머리판이 적용되었다. === MRR 계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RR.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W-MMR.png|width=100%]]}}} || || MRR8.5SC, MRR11.6S, MRR18.6L || MRR15.7M, MRR11.6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yaHAi_ils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h8ElfjS3sM)]}}} || || SHOT Show 2017 출품 영상 || MRR 리뷰 영상 || SHOT Show 2017에 출품. 캐나다 국방부의 미래보병체계 계획인 SARP II(Small Arms Replacement Project II)에 따라 개발된 모듈형 기종으로, IUR와 비슷하게 [[단조(금속 가공)#s-2.1|냉간 단조]] [[프리플로팅 배럴|유동총열]]과 총열덮개 일체형 윗총몸을 장착했지만 측면 부분에 [[맥풀]] 사의 [[M-LOK]]이 적용되어 있다. 파생형으로 C8A4와 MRR8.5SC, MRR11.6S, MRR18.6L 등이 있는데, 이 중 MRR15.7M과 MRR11.6S는 보츠와나군의 제식 소총으로 운용되고 있고 MRR8.5SC는 [[.300 AAC Blackout]] 탄을 발사하는 PDW이다. ==== C8A4 ==== [[파일:C8A4.jpg|width=55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123515_154567725038682_919758360151064576_n.jpg|width=100%]]}}} || || SHOT Show 2017 출품 사진 || C8의 4차 개량형으로, C8A3처럼 양손 사용에 최적화되었고 [[단조(금속 가공)#s-2.1|냉간 단조]]와 크롬 도금을 거친 [[프리플로팅 배럴|유동총열]]이 적용되어 명중률 및 내식성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Gevær M/10의 접이식 가늠쇠와 가늠자, 맥풀 사의 CTR 개머리판이 채택되었으며 장전 손잡이 걸쇠가 작전이나 열병식에서 걸려서 구부러지고 파손되어 훈련 도중 장전 손잡이가 빠지지 않도록 짧고 튼튼하게 설계되었다. 도트 사이트로 트리지콘 사의 ACOG RMR와 엘칸 스펙터를 장비할 수 있으며, 총열에 총검 장착 기능이 있다. [[https://www.reddit.com/r/GlobalPowers/comments/az0y12/rd_colt_canada_c7a3_c8a4/|상세 정보.]] === SA15.7 === [[파일:SA15.7.png|width=550]] C8A3의 민수용 사양.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R-15/미디어)] * [[레인보우 식스 시즈]] 캐나다군 소속 특수부대인 [[레인보우 식스 시즈/오퍼레이터/JTF-2|JTF-2]] 소속 공격 측 대원 [[벅(레인보우 식스 시즈)|벅]]이 [[M26 MASS|하단 부착형 산탄총]]과 [[Rail Integration System|RAS]]를 장비한 C8 SFW를 사용한다. * [[블루 아카이브]] [[시라스 아즈사]]가 맥풀 사의 MOE 카빈 시스템을 적용한 C8 SFW를 사용한다. * [[재기드 얼라이언스 2]] * [[프로젝트 리얼리티]] * [[Squad]] C8A3가 C7A2와 더불어 캐나다군 제식 돌격소총으로 등장한다. 두 총기 모두 낮은 반동과 빠른 연사속도, 3.4배율 도트 사이트를 부착하기 때문에 게임 내 돌격소총들 중 성능이 좋다. * [[Phantom Forces]] C7A2와 같은 128랭크해금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캐나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영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네덜란드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덴마크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노르웨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스웨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스토너 계열 총기)]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콜트 캐나다 C7, version=348, paragraph=3.7.1)] [[분류:돌격소총]][[분류:자동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캐나다군/장비]][[분류:영국군/장비]][[분류:AR-15]][[분류:콜트(총기회사)]][[분류:1983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