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Colt 9mm SMG}}}'''[br]''Colt 9mm Submachine Gun''[br]''콜트 9mm 기관단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colt.jpg|width=100%]]}}}|| || '''종류''' ||[[기관단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미합중국 해병대|[[파일:미합중국 해병대 마크.svg|width=23]]]][br][[1982년]]~현재 || || '''개발''' ||<|2>[[콜트(총기회사)|콜트 매뉴팩쳐링]] || || '''생산'''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br][include(틀:국기, 국명=아르헨티나)][br][include(틀:국기, 국명=말레이시아)] || ||<-2> {{{#white '''기종'''}}} || || '''원형''' ||[[M16A1]] || || '''파생형''' ||R0633/635/639[br]R0991/992[br]AR6430/6450[br]AR6951 || ||<-2> {{{#white '''제원'''}}} || || '''탄약''' ||[[9×19mm 파라벨룸]] || || '''급탄''' ||20, 32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스트레이트 블로우백[br]회전 노리쇠 방식 || || '''총열길이''' ||267mm || || '''전장''' ||730mm(개머리판 연장)[br]650mm(개머리판 수축) || || '''중량''' ||2.61kg(탄창 미포함) || || '''발사속도''' ||700~1,000RPM || || '''탄속''' ||396m/s || || '''유효사거리''' ||1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18.postimg.org/EXSa_Iyx.jpg|width=100%]]}}} || || 2013년 [[보스턴 마라톤 폭탄 테러]] 현장에 콜트 9mm SMG를 들고 경계 중인 [[국무부|미 국무부]] 외교경호국(DSS) 요원의 모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zpITDGwZUE)]}}} || || [[래리 빅커스]]의 리뷰 영상 || 콜트 9mm SMG는 [[콜트(총기회사)|콜트(CMC)]] 사가 자사의 [[M16 소총]]을 기반으로 개발한 [[기관단총]]이다. == 상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lt_9mm_SMG_635_10.jpg|width=600]] 외관상으로는 [[CAR-15]] [[카빈]] 계통과 대부분이 동일하지만, 사용 탄약이 [[9×19mm 파라벨룸]]이기 때문에 기존 [[AR-15]]의 하부 리시버에 후술할 전용 탄창을 쓸 수 있는 어댑터를 끼우고 핀으로 박아 고정하고, 탄창 또한 기존의 바나나 모양의 [[STANAG 탄창]]이 아닌 [[IMI]] 사의 [[UZI]] 기관단총의 탄창을 개조한 탄창을 사용하며,[* 물론 이 개조한 탄창은 UZI에도 호환이 [[http://www.uzitalk.com/forums/showthread.php?75082-Colt-9mm-AR15-magazines-in-UZI|가능하지만]], 만약에 반대로 기존의 우지 탄창을 사용하려면 [[AR-18|탄창 멈치 구멍과]] 탄창 뒷부분을 갈아내는 개조를 가해야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xBe3GYP5f2M|#]]][* 반대로 콜트 SMG용으로 설계된 탄창을 UZI에 사용하려면 마찬가지로 탄창 멈치 구멍을 내야 한다. 또한 10발 탄창같은 단축형 탄창은 아예 탄창 멈치 구멍을 낼 수 없어서 호환이 안된다. (UZI의 최소 장탄수는 20발이다.)] [[총열]] 또한 짧아져서 한 눈에 그 차이점을 알아볼 수 있다.[* 탄창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탄창삽입부에 박혀있는 핀으로 확인할수 있지만 콜트에서 만든 것이 아닌 9mm AR 중에서는 처음부터 9mm탄을 사용하려고 만들어서 어댑터를 끼울 필요가 없는 리시버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기에 구분하는 게 훨씬 어려워진다.] 내부는 낮아진 반동으로 인해 불필요한 가스직동식이 아닌 자유주퇴식(Free-recoil)으로 바뀌어 단순 블로우백이 이루어지면서도 명중률 향상을 위해 [[클로즈드 볼트|노리쇠가 약실을 폐쇄하는 형태]]를 유지시켰다. 또한 총몸[* 사용자 중에서는 비용 절감을 위해 일반적인 [[AR-15]]의 총몸에 탄창 어댑터를 따로 부착하기도 한다. [[https://cdn-fsly.yottaa.net/53ff2f503c881650e20004c9/www.brownells.com/v~4b.115/userdocs/products/p_100000443_1.jpg|#]] [[슈타이어 AUG#s-4.1|AUG Para]]에도 비슷한 부품이 탑재되어있다.]과 [[http://i56.photobucket.com/albums/g174/cdanley1966/9parts15_zpspauehqea.gif|내부 부품]]들을 제외하고 CAR-15의 외장 부품들이 그대로 쓰여 AR-15 계열처럼 다룰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파일:external/1.bp.blogspot.com/GetImage.ashx.jpg|width=600]] [[H&K MP5]], [[B&T APC]], [[SIG MPX]] 등의 쟁쟁한 경쟁자들 때문에 미국 바깥에서의 인지도는 거의 없지만 미국 내수용으론, 특히 예산이 넉넉히 나오지 않는 각 주의 [[주방위군]], 지방 경찰 및 [[보안관]], [[SWAT]] 등에서의 수요가 상당히 많다. [[파나마 침공]] 당시 [[미합중국 해병대]] FAST(함대대테러부대, Fleet Anti-terrorism Security Team)가 사용했던 것이 확인되었으나 최근에는 DSS(외교경호국, Diplomatic Security Service)과 함께 [[대사관]] 경비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해외에서는 [[이스라엘]], [[아르헨티나]], [[말레이시아]] 등이 채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종류 == 과거에는 제품명에 모델(Model) 명칭이 기종 번호 앞의 접두어(Prefix)로 쓰였었지만 현재는 '모델'이란 접두어는 생산명에만 쓰이고 제품명에는 군경용에 R0, 민수용에 AR0이 붙여진다. === 군경용 === 주로 내부의 방아쇠뭉치(Trigger-group)의 종류에 따라 기종이 나뉘며, DEA(마약단속국,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의 요구에 의해 크게 단축되었거나 소음기를 내장한 특수 파생형도 존재한다. 현재는 모두 단종되고 [[Mk.18 CQBR]]과 유사한 모습을 갖춘 최신 개량형(M991/992)으로 대체되었다. ==== R063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isayeret.com/coltsmg.jpg|width=100%]]}}} || || [[소음기]]가 부착된 R0635를 소지한 [[이스라엘군]] 소속 팔사르 골라니(PALSAR Golani) 특수부대원 || [[파일:Colt9mmSMG.jpg|width=600]] [[파일:Colt_9mm_SMG.jpg|width=600]] [[M16A1]] 기반의 모델 635로, 9mm SMG 기종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이다. ==== R0633 ==== [[파일:Colt_9mm_SMG_M633.jpg|width=600]] [[미합중국 법무부 마약단속국|DEA]] 납품을 위해 개발된 모델 633으로, 총열과 총열덮개가 짧아졌다. ==== R0639 ==== R0635를 기반으로 한 모델 639로, 외관상 차이점은 없으며, 자동발사를 3점사로 변환한 형태다. ==== R0991, R0992 ==== [[파일:R0991-2.jpg|width=600]] 최신 개량형인 자동발사형 모델 991과 3점사형 모델 992로, [[피카티니 레일]] 통합형 윗총몸과 [[Rail Integration System|RAS]]가 적용되었다. === 민수용 === [[파일:Colt_9MMCarbine_with Box_ExtraMag.jpg|width=600]] [[위버 레일]]과 탄피받이, 스톡 댐퍼를 장착한 AR6450. [[파일:external/www.rifleshootermag.com/9mm-Carbines_001.jpg|width=600]] 플랫탑 리시버에 [[도트 사이트#s-7|레드닷]][* Trijicon RMR로 추정.]이 올라간 AR6951. [[파일:Colt AR-15 Semi-auto 9mm.jpg|width=600]] 콜트 AR-15 9mm(AR6951). || 제품명 || 특징 || || AR6450 || 반자동 발사형, R0635에서 총열이 16.1인치로 연장된 형태. || || AR6430 || AR6450과 동일하나 고정식 개머리판으로 변경된 형태. || || AR6951 || AR6450과 동일하나 상부총몸에 [[피카티니 레일]]이 적용된 최신 형태. || 1994년부터 시행된 AWB(연방총기규제, Federal Assault Weapons Ban)에 따라 총열을 16.1인치(408.9mm)까지 늘리고 자동(Full-auto) 발사 기능 역시 삭제시키는 대안이 적용된 민수용 [[카빈]]이다. 이는 콜트 [[AR-15]] 9mm라는 별도의 명칭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기타 == [[파일:external/s16.postimg.org/Pararescue_photos.jpg|width=600]] 정확한 시기와 출처는 알 수 없지만 훈련 중으로 추정되는 한 [[미합중국 공군|미 공군]] [[파라레스큐|항공구조대원]]이 R0635와 똑같은 외형을 한 ASP 사의 위장 도색된 훈련용 모형총(Red Long Gun Training Replica - Government SMG)을 장비한 모습이 발견되기도 했다. [[https://www.asp-usa.com/store/training/product/98-submachine-guns|참조.]]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30908153443.jpg|width=600]] [[SNT모티브]] 사의 [[K7 소음기관단총]]에 큰 영향을 미쳤다. [[K1 기관단총]]과 여러 부품들이 공유 가능하고, 9×19mm 파라벨룸 탄약이 장탄된다는 점들이 일맥상통한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youtube(VnN2Y_RglOY)] * [[레인보우 식스 시즈]] R0991에 원통형 총열덮개와 [[M16 소총]]의 개머리판을 장착한 버전이 Commando 9란 이름으로 SASR 소속 대원 [[모지(레인보우 식스 시즈)|모지]]의 주무장으로 등장한다. 분류는 돌격소총이지만 실질적인 인게임내 성능은 기관단총이다. 모델링은 모델992라서 조정간도 BURST(점사)에 놓여저 있는데 연사가 되며, 점사도 된다. * [[소녀전선]] 자동발사형 M991이 [[RO635(소녀전선)|RO635]]라는 이름의 5성 전술인형으로 등장한다. 제7전역 일반 난이도 마지막 지역 클리어를 통해 획득 가능. * 엔터 더 매트릭스 M633이 등장한다. 데미지는 중간 정도인데 민수용 리시버라도 끼웠는지 단발로 나와서 [[H&K MP5]]보다 성능에서 밀린다. 어차피 게임 전체적으로 그렇게 많이 나오는 편이 아니라서 쓸 일은 맨 처음 등장하는 때인 우체국 물류 창고에서 재미삼아(?) 써먹는 정도밖에 없을 것이다. * [[오퍼레이션7]] 2013년 3월 7일에 [[K3 경기관총]]과 함께 출시됐다. 하지만 전체적인 성능은 레벨 제한 45답지 않게 좋지는 못한 편. 2013년에 업데이트 되는 총들 답게 개조 폭이 다른 오래된 총들에 비해서 넓지 못하며, 탄창이 C-Mag라 장탄 수가 무려 100발임에도 9㎜ 탄을 쓰기 때문에 45구경을 쓰는 [[KRISS Vector]]에 비해서 많이 밀리기 때문에 쓰는 유저는 드물다. 소리는 [[소음기]]를 낀 듯한 소리다. 물론 게임에선 소음기와 같은 성능을 내진 않는다. * [[재기드 얼라이언스 2]] AR 계열의 준수한 성능을 기반으로 한 9mm 기관단총으로 초반에 상당히 유용하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M4A1에 9mm 32발 탄창을 적용해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코만도 배럴과 3점사 특전을 적용해주면 각각 991,992를 만들 수도 있다. * [[킬링 플로어 2]] 3점사 개량형 M992가 코만도의 기본 지급 무기로 등장한다. 단발과 3점사 밖에 못하지만 광클에 숙련되면 연사력은 준수한 편. 반동도 적고 명중률도 괜찮지만 낮은 피해량 덕에 빨리 고티어 무기로 올라가는게 속 편하다. * [[Phantom Forces]] DEA 납품형인 M633이 49랭크에 해금되는 기관단총으로 등장. 현실에서의 최대 발사속도인 1,000RPM의 연사력을 가졌다. 이런 무시무시한 연사속도 말고 장탄수, 대미지도 무시할 수 없어서 개조시 매우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다. 여담으로, 조준경을 장착하면 총구화염을 안 볼 수 있다. 총열 개조 시 외형이 M635로 바뀐다. == 에어소프트건 == * [[WE-Tech]] PCC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출시 전에는 글록의 탄창을 사용할 수 있을 거란 추측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실제로는 글록 탄창이 호환되지 않는단 사실이 알려져 인기가 식어 버렸다.(...) 그래서인지 리뷰도 많이 보이지 않는 편이다. 혹은 m4 계열의 전동건에 토이스타 k7 어댑터를 끼워 재현하기도 한다 탄창 용량이 35발인걸 제외하곤 저렴하게 콜트 9mm 기관단총을 재현하기 좋은 방법이다. 우지 전동건의 태엽탄창을 구매 후 가공하면 호환이 된다. * MARKSMAN IX라는 이름으로 글록 탄창을 사용하는 AR-9 에어소프트건 출시를 예고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르헨티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에콰도르 보병장비)] [include(틀:스토너 계열 총기)]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기관단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AR-15]][[분류:콜트(총기회사)]][[분류:1982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