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라크 쿠르디스탄 의회의 원내 구성)] ||<-2> [[파일:쿠르디스탄 민주당 로고.png|width=200]] || ||<-2> {{{#000 '''الحزب الديمقراطي الكردستاني[br]Partiya Demokrat a Kurdistanê'''}}} || || {{{#000 '''약칭'''}}} ||KDP, PDK|| || {{{#000 '''한글명칭'''}}} ||쿠르디스탄 민주당|| || {{{#000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00;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000 노란색}}}}}} || || {{{#000 '''창당일'''}}} ||[[1946년]] [[8월 16일]]|| || {{{#000 '''이념'''}}} ||쿠르드인 [[내셔널리즘]][br]자결주의|| || {{{#000 '''정치적 스펙트럼'''}}} ||[[빅 텐트]]|| || {{{#000 '''당사'''}}} ||[[아르빌]]|| || {{{#000 '''당 대표'''}}} ||[[마수드 바르자니]]|| || {{{#000 '''여성 조직'''}}} ||쿠르디스탄 여성 연합|| || {{{#000 '''국민의회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00 calc(33*100%/329), #fff 0%)" {{{#000 '''33석 / 329석'''}}}}}} || || {{{#000 '''쿠르디스탄 의회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00 calc(45*100%/111), #fff 0%)" {{{#000 '''45석 / 111석'''}}}}}} || || {{{#000 '''웹사이트'''}}} ||[[http://www.kdp.inf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KDP.info?ref=h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px]]]]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 크기=24)] [[https://www.instagram.com/officialkdpinf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라크]] 자치 지역 [[이라크 쿠르디스탄]]의 [[포괄정당]]이다. == 상세 == 소련이 지원해서 세운 [[마하바드 공화국]]의 국방장관을 지냈던 [[무스타파 바르자니]]에 의해 창당되었다. 이후 이란에 있는 쿠르디스탄 민주당과 통합하였고, [[이라크 공산당]]과 협력 관계를 유지했다. 1958년 쿠데타로 [[이라크 왕국]]이 무너지고 공화국으로 들어설 때 쿠르드족의 권리를 인정해달라는 요청을 하였지만, 이라크에서는 크게 관심이 없었다. 1970년에 쿠르드 자치구 성립에 따라 [[바트당]]과 밀월을 가지기도 했다. 한편, 내부적으로는 1975년에 간부였던 [[잘랄 탈라바니]]가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을 창당하고 이라크, 민주당과 유혈충돌을 일으키는 등 당 내 내분을 넘어 [[https://en.wikipedia.org/wiki/PUK_insurgency|내전]] 수준으로 번지기도 하였다. 1979년에 후세인이 대통령이 들어서면서 쿠르드족 탄압을 하게 되자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과 함께 이라크 정부에 대항하기도 하였으며, 1987년에 양 당간의 협력에 합의했다. [[걸프 전쟁]] 때는 미국을 주도로 한 다국적군을 도와주기도 하였다. 그 뒤로 1992년에 첫 쿠르드 자치구 선거를 치러졌으며, 이 때 애국 연합과 2석 차이로 제1당을 차지했다. 1994년에도 다시 내전을 일으켰다가 미국의 개입으로 1998년에 평화협정을 맺게 되었다. 2003년 이라크 침공 계기로 후세인 정권이 무너지자 쿠르드 자치구 권한 확대에 따라 2005년부터 다시 선거를 치루면서 의회 내 정당으로 활동하고 있다. [[분류:이라크의 정당]][[분류:지역주의 정당]][[분류:내셔널리즘 정당]][[분류:빅 텐트 정당]][[분류:1946년 정당]][[분류:쿠르디스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