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계의 군대)] [include(틀:쿠바 관련 문서)] ||<-2><:>{{{+3 {{{#FFF '''쿠바 혁명군''' }}}}}}[br] {{{+2 {{{#FFF Fuerzas Armadas Revolucionarias }}}}}} [br] {{{+1 {{{#FFF Cuban Revolutionary Armed Forces }}}}}}|| ||<-2> [[파일:800px-FAR_emblem.svg.png|width=250]] || || 국가 || [include(틀:국기, 국명=쿠바)] || || 상비군 || 249,000명 || || 예비군 || 39,000명 || || 병역제도 || [[징병제]] || [목차] [clearfix] == 개요 == 정식명칭은 쿠바혁명군으로 [[1953년]] [[쿠바 혁명]]으로 등장한 [[피델 카스트로]]의 혁명정부가 [[1960년]]에 세우고 현재는 [[쿠바 공화국]]과 [[쿠바 공산당]]이 공동 보유하는 무력이다. [[GDP 대비 국방비]]는 3.8% 수준이다.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준군사조직]]인 지역민병(Milicias de Tropas Territoriales)과 청년노동군(Ejército Juvenil del Trabajo), 보위 및 생산여단(Brigadas de Producción y Defensa) 등이 있다. == 명칭 번역 == 영칭은 Armed Forces로, 이 단어는 직역하면 "무장력", "무력"이지만 대체로 관례상 '[[국군]]', '[[국방군]]' 등으로 번역된다.[* 이는 영어 [[아미|army]]가 주로 [[육군]]을 의미하는 탓도 있다. 즉, 육해공을 포괄하고자 'armed forces'라는 말을 쓴 것인데 한국어로 '군대'는 육해공을 다 포함하므로 그냥 '군대'라고만 해도 무방한 것이다. 한국에서도 Korea Army는 육군만을 지칭한다.] 한국에서는 [[캄보디아군]], [[라이베리아군]] 등 영칭에서 이 단어를 쓰는 군대들도 그냥 '-군'이라고 할 때가 많다. [[대한민국 국군]]도 영어로는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라고 한다. 그러나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이와 같은 번역 관례를 따르기 어려울 수 있다. 사회주의 국가의 'Armed Forces'는 일반적인 의미의 '정부와 국방부 아래에 설치되어 민간과는 분리된, 육/해/공으로 구성된 합동군'을 뜻하지 않고 정규군, 공안력, [[민병대]] 등의 국가 내 모든 무장력을 총칭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이는 [[인민군]] 문서에서도 보듯 국가와 분리된 무력 조직의 존재를 중시하는 사회주의 국가의 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최고사령관직에 [[김정은]]을 앉힌 사례나 [[베트남]]에서 [[베트남 국가주석|국가주석]]이 전통적으로 [[베트남 인민군]], [[베트남 공안부|베트남 인민공안]], 베트남 자위민군을 합친 개념인 '인민무장역량'의 총사령직을 겸하는 사례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소련군|소련무력]]으로부터 내려오는 공산국가의 인민총동원전 교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중국]]도 법으로 "중국의 무장력은 [[중국 인민해방군]] 현역 부대와 예비역 부대,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그리고 민병 이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군'이라는 표현으로는 이들 무력을 모두 총괄할 수 없기에 '무장력', '무력'과 같은 직역어를 쓰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도 할 수 있다. [[북한]]에서는 이러한 입장에 의해 본문의 집단을 '쿠바 혁명무력'으로 번역하고 있다. == 역사 == [[1961년]] [[미국]]의 [[피그만 침공]]에 대한 반발로 쿠바 혁명정부가 강력한 [[반미]]친소정책으로 기울어지면서, 쿠바군도 [[소련]]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 쿠바는 엎어지면 코 닿을 정도로 가까운 곳에 위치한 [[미국]]의 압도적인 국력 앞에 자신들의 생존을 보장받기 위해서, 쿠바 영토 내에 [[소련군]] 핵미사일 기지 설치를 제안하였고, 이것이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를 촉발시켰다. 하지만 정작 당사자인 쿠바군은 아무것도 못하고 [[들러리]] 신세가 되었다. 게다가 소련도 미국과의 전쟁을 원하지 않아 쿠바의 핵미사일 기지 설치를 거부했다. 피그만 침공과 걸핏하면 공습하는 [[미국]]으로 인해 위기감을 느낀 [[피델 카스트로]]의 혁명정부가 전 세계적인 반미, [[반제국주의]] 혁명을 외치면서, 쿠바군은 당시 빈발하고 있던 [[제3세계]]의 [[내전]]에 깊숙히 개입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직접 개입을 꺼리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소련 공산당]] 정권은 [[제3세계]]에 자신들의 영향력을 늘리기 위해서 쿠바의 제3세계 혁명을 지원하였다. 이런 소련의 지원아래 [[1961년]] [[가나]]를 시작으로 [[1963년]]에는 [[민족해방전선(알제리)|민족해방전선]]이 [[프랑스]]와의 독립전쟁을 치르고 있던 [[알제리 전쟁]][* 다만 [[1963년]]이면 이미 프랑스 정치권에서도 알제리 독립이 대세가 되가는 시점으로 전쟁은 [[1964년]]에 끝났다. 즉 끝물에 투입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미친 영향은 전혀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등 [[1960년대]]에 [[아프리카]]와 [[아랍]]에 병력을 보냈다. [[1973년]]엔 [[시리아]], [[1978년]]엔 [[에티오피아]], [[1975년]]부터 [[1989년]]까진 [[앙골라 내전]]에 개입했고 [[1980년대]]엔 [[니카라과 내전]]과 [[엘살바도르 내전]]에 파병했다. [[1983년]]에는 [[미군]]의 [[그레나다 침공]] 때 지원군을 파견하여 그레나다 인민혁명군을 도왔지만 결국 미국에게 패하고 만다. 반대로 [[아프리카]]에선 [[앙골라 내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군]]의 전투력에 일방적으로 밀리던 [[MPLA]]와 [[SWAPO]]를 규합해서 키토 쿠아나발레 전투에서 남아공군 공세를 저지하며 결국 장기적으론 전세역전의 기회를 만드는등 상당한 전과를 올린바가 있다. [[1989년]]에는 군대와 내무성을 대상으로 숙군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오초아 사건]] 참조. 육군 소장이자 [[쿠바 혁명]]의 영웅이었던 아르날도 오초아(Arnaldo Ochoa, 1930-1989)가 체포된 뒤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내무성 소속의 안토니오 데 라 가르디아(Antonio de la Guardia) 대좌와 같은 기관 소속의 파트리시오 데 라 가르디아(Patricio de la Guardia) 준장은 부패와 마약유통 혐의로 기소되었다. 안토니오 역시 처형되었다. 이 일로 쿠바 육군은 축소되었고 내무성의 권한은 [[피델 카스트로]]의 동생이자 쿠바군 사령관인 [[라울 카스트로]]에게로 옮겨갔다.[* 다만 카스트로 형제들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라울은 단순히 동생이라서 권력을 쥔 게 아니라, 엄연히 쿠바 혁명에 참여한 개국공신으로 상당히 유능한 인물이다. 피델의 은퇴이후 후계자가 된 라울은 미국과의 관계 개선 및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로 외부의 지원이 사라지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워진 쿠바 정부는 대규모 감군을 단행했다. [[2019년]] 기준으로 현역은 50,000명, 예비역은 1,160,000명 수준이며 2년의 [[징병제]]를 적용한다. 이 규모는 고만고만한 [[카리브해]] 국가들 중에서는 최대 규모이지만 [[미군]]과 [[멕시코군]]이 있어서 큰 의미는 없다. == 수뇌부 == || 당중앙위원회 제1비서 겸 총사령관 || 혁명무력상 겸 총참모장 || || [[파일: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png|width=100%]] || || || [[미겔 디아스카넬]] 국가주석 || 알바로 로페스 미에라 상장 || == 군종 == === 육군 === [include(틀:현대전/쿠바 기갑차량)] ||<-6> 쿠바군 육군의 전차, 장갑차, 자주포, 다연장로켓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수량 || 비축 || 기타 || || [[T-62]] || [[주력 전차]] || [[소련]] || 380 대 || - || [[2세대 전차]] || || [[T-54]] & [[T-55]] || [[주력 전차]] || [[소련]] || 800 대 || - || [[1세대 전차]] || || [[PT-76]] || [[수륙양용전차]] || [[소련]] || 50 대 || - || - || || [[BMP-1]] || [[궤도식 장갑차|궤도 장갑차]] || [[소련]] || 120 대 || - || - || || [[BMD-1]] || [[궤도식 장갑차|궤도 장갑차]] || [[소련]] || 50 ~ 100 대 || - || - || || [[BTR-50]] || [[궤도식 장갑차|궤도 장갑차]] || [[소련]] || 200 대 || - || - || || [[BTR-70]] || [[차륜형 장갑차]] || [[소련]] || 25 ~ 50 대 || - || - || || [[BTR-60]] || [[차륜형 장갑차]] || [[소련]] || 50 ~ 100 대 || - || - || || [[2S3 아카시아]] || [[자주포]] || [[소련]] || 40 대 || - || - || || [[2S1 그보즈디카]] || [[자주포]] || [[소련]] || 60 대 || - || - || || [[BM-21]] || [[다연장로켓]] || [[소련]] || 50 대 || - || - || Ejercito Revolucionario. 육군의 규모는 쿠바군의 7할을 차지한다. 그러나 [[제인연감]](Jane's Yearbooks)[* 영국의 민간 컨설팅 기업인 [[제인스]] 인포메이션(Jane's Information)이 매년 발행하는 군사연감. 제인스 인포메이션은 군사정보 분야에선 세계 최고로 인정받고 있다. 육해공군을 통틀어서 세계 각 나라가 보유한 모든 종류의 무기체계의 종류와 현황을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국내외 언론에서 인용하는 군사력 현황은 대부분 제인연감에 따른 것이다.]에 따르면 1990년대 이후로 소련이 붕괴되고 경제지원 등이 끊기면서 군의 수준이 예전같지 않다는 평가다. 장비의 노후화가 심해서 2010년대까지 [[T-34-76|T-34]]가 현역으로 있었던 몇 안되는 나라들중 하나다. [[북한]]의 [[화성]] 5호 [[미사일]]을 수입해서 운용중이다. [include(틀:현대전/쿠바 보병장비)] 그에 비해 보병장비는 상대적으로 현대화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자체 개발한 저격소총들과, 최근 [[RPG-29]]를 수입한 것이 확인되었다. === 해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Rio_Damuji_n%C2%B0_390.jpg]] 사진은 2011년 아바나 항에 입항한 리오다무지호이다. ||<-2>||<-2>|| 쿠바의 주력 수상함정 || || 이름 || 종류 || 배수량 || 제조 국가 || 보유 척수 || || [[코니급|코니급 초계함]] || 1,500톤급 초계함 || 만재: 1,900 톤 || [[소련]] || 3척 || || [[파우크급 초계함|파우크 II급 초계함]] || 500톤급 호위함 || 만재: 580 톤 || [[소련]] || ?척 || || [[오사급|오사 I/II급]] || 200톤급 고속정 || 만재: 209/235 톤 || [[소련]] || ?척 || || [[폭스트로트급 잠수함]] || 2,000톤급 잠수함 || 수중: 2,475 톤 || [[소련]] || 3척 || || 폴노크니[* Północny. 원어인 [[폴란드어]]로 읽으면 '푸우노츠니', [[에스파냐어]]로는 '폴노크니'.]급 [[상륙함]] || 500 ~ 1,000톤급 상륙함 || 만재: 834 톤 || [[소련]] || ?척 || Marina de Guerra Revolucionaria. === 공군 === [[파일:쿠바 라운델.svg|width=100]] [include(틀:현대전/쿠바 항공병기)] * 전투기/전폭기 * [[MiG-29]]A/C, MiG-29UB 3대 * [[MiG-23]] 24대 * [[MiG-21]]UM/bis 6/6대 * 훈련기 * [[L-39]]C 25대 * 수송기 * [[An-26]] 1대 * 헬기 * [[Mi-24]] 4대 * [[Mi-8]]/17 10대 Defensa Anti-Aérea Y Fuerza Aérea Revolucionaria. [[미그기]]를 주로 사용한다. [[https://m.blog.naver.com/minjune98/221125344960|#]] == 관련 문서 == * 편제 * [[https://en.wikipedia.org/wiki/Cuban_Revolutionary_Army#History|육군]] * [[https://en.wikipedia.org/wiki/Cuban_Revolutionary_Navy#Fleet|해군]] * [[https://en.wikipedia.org/wiki/Cuban_Revolutionary_Air_and_Air_Defense_Force#Organization|공군]] * [[https://en.wikipedia.org/wiki/Cuban_Revolutionary_Armed_Forces#Paramilitary_forces|준군사조직]] == 미디어 == 대중매체에서는 카리브해의 단 둘뿐인[* 나머지 하나는 [[니카라과]].] 사회주의 계열 국가 포지션이라는 점 때문에 '''악역'''으로 주로 등장한다. * 영화 [[레드 던]]에서는 [[소련군]]과 함께 미국을 침공한다. 특히 쿠바군 소속의 벨라 상좌는[* 남미 게릴라 출신으로 마찬가지로 게릴라전을 펼치는 주인공들을 잘 이해해서 궁지로 몰아붙이며, 마지막엔 주인공들의 활약에 경의를 표하면서 살아남은 팀원들을 관대하게 풀어준다.] 주인공인 '울버린즈' 팀보다 더욱 매력적인 캐릭터로 평가 받는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캠페인 첫 미션에서 등장하며,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고증오류|이상하게도 현실 60년대에는 소련군도 아직 전군에 못 뿌린 최신형 무기들을 너도나도 들고 나오는 걸로도 모자라 1970년대부터 FAPLA나 관타나모 만 국경수비대 등의 특수한 부대용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리자드 패턴 위장복을 1961년에 입고 나온다]]. 멀티에서는 'Tropas'란[* 스페인어로 병사들이란 의미다.] 이름의 플레이 진영으로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80년대 파트에서 [[쿠바 내무성 정보관리국 제5과]] 소속의 앙골라 군사고문단(FAPLA)이 소년병들을 거느린 채로 등장한다. 허드슨이 "도대체 쿠바 놈들이 왜 여깄지?"라며 의아해하는 건 덤. 여담이지만 2025년 파트에선 [[라울 메넨데즈]]의 개인 용병 부대도 쿠바 출신으로 이루어져 있다.[* 싱글 한정. 멀티에서는 영국, 호주, 남아공, '''미국'''(!) 출신들로 이루어진 다국적 부대다.] 기존의 후줄근한 군복을 입던 쿠바군은 어디가고 2020년대에 걸맞는 [[광학위장]] 기능이 있는 근미래형 [[강화복]]에 무인기 군집을 대량으로 운용하는 막강한 군사집단으로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고스트]] 작중 주요 악역 세력인 [[남아메리카 연방]]이 쿠바까지 합병한 것으로 보아. 연방 병사들 중에 구 [[쿠바군]] 소속 군인도 있을 수 있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아바나]]를 배경으로 하는 미션에서 상대해 볼 수 있다. 특수부대가 아니라 일반 쿠바 육군이다. 쿠바 육군 특유의 초록 [[케피]]와 민무늬 전투복이 구현되어 있는 등, 전작들보다 현실적으로 변했다. 미션 초중반에 들을 수 있는 [[스페인어]] 대사를 들어보면 일반 육군 그것도 후방 시설 경비부대라 갑작스런 공격에 굉장히 당황한 듯.[* "미군! 양키가 왔다!". "어떻게 여길 찾아낸 거야?". "'''[[뺑이|이러려고]] 입대한 게 아니라고!'''"] [[분류:카리브해 지역의 군대]][[분류:나라별 군대]] [[분류:쿠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