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러시아의 항공 우주 기업]][[분류:러시아의 방위산업체]][[분류:러시아의 기업]][[분류:성씨/슬라브어권]] [목차] == 인명 == [[러시아어]]: Кузнецов [[영어]]: Kuznetsov [[독일어]]: Kusnesow 슬라브어권의 이름 여성형은 쿠즈네초바(Кузнецова). 러시아인 이외에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등의 구 소련권 국가나 [[독일]] 출신자 중에도 이 성씨를 가진 사람이 있다. 뜻은 대장장이. 영문 이름 Smith와 같은 뜻이다. === 실존 인물 === * [[표도르 쿠즈네초프]] - [[제1차 세계 대전|제1]], [[2차 세계 대전]] 당시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군인]]. *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소련 해군]] [[제독]]. * 니콜라이 드미트리예비치 쿠즈네초프 - 소련의 항공 엔지니어. * [[알렉산드르 쿠즈네초프]] - 러시아의 [[바그너 그룹]] 소속 군인. * [[니콜라이 이바노비치 쿠즈네초프]] - [[나치 독일]]에 침투한 소련의 [[간첩]]. * [[미하일 쿠즈네초프]]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 공군]]의 [[에이스 파일럿]]. === 가상 인물 === * [[보리스 쿠즈네초프]] - [[탑블레이드]]의 등장인물 . == 소련 해군의 [[항공모함]]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01231091341.jpg]] Адмирал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Кузнецов 아드미랄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은 1990년 10월 25일에 1번함이 취역한 소련 해군의 항공모함이다. 모두 두 척이 건조되었다. 현재 1번함 아드미랄 쿠즈네초프는 소련을 승계한 러시아 해군 소속이며, 2번함인 바랴그함은 랴오닝이라는 이름으로 중국 해군에서 운용 중이다. 쿠즈네초프함은 곧 개조공사에 들어가 1~2년동안 활동을 중단하므로 그동안에는 사실상 러시아 해군은 운용중인 항모가 없게된다. 자세한 사항은 [[어드미럴 쿠즈네초프급 항공모함]] 항목 참조. 2번함 바랴그는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가 보유하다가 2001년에 중국에 매각하였고, 중국은 이를 10여 년간 개장한 끝에 2012년 [[랴오닝(항공모함)|랴오닝]]이란 이름으로 [[중국 해군]] 소속으로 취역시켜 현역으로 활동 중이다. == 소련의 항공기 엔진 메이커 쿠즈네초프 설계국 == [[파일:external/everest-ts.ru/kuznetsova.jpg]] 러시아어: Самарский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имени Н. Д. Кузнецова 영어: Kuznetsov Design Bureau (OKB-276) 1949년에 소련이 설립한 실험[[설계국]] 제276호로, 초대 설계국장에 항공 엔지니어 니콜라이 드미트리예비치 쿠즈네초프(Николай Дмитриевич Кузнецов, 1911-1995)가 임명되어 쿠즈네초프 [[설계국]]이 되었다[* 해군 제독 니콜라이 G. 쿠즈네초프와는 다른 인물이다.]. 소련 붕괴 이후인 1994년에는 [[주식회사]]로 개편되었고, 1996년 이후에는 NK 엔진회사의 이름으로 운영되며 항공기 및 로켓 엔진을 생산하고 있다. 쿠즈네초프 설계국은 '''역대 최고 출력의 [[터보프롭]] 엔진'''인 '''NK-12'''를 만든 것으로 유명하며, 무려 11,000kW(약 15,000 마력)의 강력한 출력을 자랑하는 이 엔진은 [[투폴레프]] [[Tu-95]] 전략폭격기, [[Tu-114]] 여객기, [[안토노프]] [[An-22]] [[수송기]] 등에 채택되었다. 심지어 이 엔진은 무려 [[1950년대]] 물건(!!!)이다. 이 기록은 역시 강력하다고 알려진 [[에어버스]] [[A400M]]의 유로프롭 TP400 엔진[* TP400 엔진의 개당 출력은 약 8,200kW(11,000마력)이다.]조차도 깨지 못하고 있다.[* 사실 미국도 이전에 [[프랫&휘트니]] 사에서 [[https://en.m.wikipedia.org/wiki/Douglas_C-132|더글라스 C-132]]에 탑재하기 위한 엔진으로 [[https://en.m.wikipedia.org/wiki/Pratt_%26_Whitney_XT57|XT57]]이라는 동급 성능을 가진 엔진을 개발했었으나, 더글라스 C-132의 개발이 취소되면서 XT57 또한 테스트용으로 6기만 제작되고 그대로 개발이 취소되었다. 그래도 미국에서는 역대 최강의 자국산 터보프롭 엔진으로서 인정해주고 있다.]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터보제트]] 및 [[터보팬]] 엔진을 생산하여 [[Il-62]], [[Tu-154]] 등의 여객기에서부터 [[Tu-144]] 초음속 여객기, [[Tu-160]] 전략폭격기에도 엔진을 공급하고 있다. 로켓 엔진 중 NK-33 엔진은 액체산소와 [[등유]]를 사용하는 엔진 중에서는 역사상 가장 효율적인 엔진으로 기록되어 있다. 주요 생산품은 다음과 같다. 취소선은 정식으로 채택되지 못한 시제품이다. * 항공기용 엔진 * [[NK-8]] 터보제트: Il-62, Tu-154 * [[NK-12]] 터보프롭: [[Tu-95]], [[Tu-114]], [[An-22]] 등에 탑재되는 터보프롭 엔진으로 1기당 15,000마력을 자랑한다. * [[NK-32]] 터보팬: [[Tu-160]] 및 후기형 Tu-144에 탑재된, 쿠즈네초프의 터보팬 엔진 중에서는 가장 추력이 높은 엔진. 55,000파운드의 추력을 자랑하는, 군용기에 탑재된 엔진 중에서는 최대의 크기 및 추력을 기록한 엔진이다. 애프터버너가 탑재되어 있다. 신형 개량형인 NK-32-02 가 10% 더 개선되면서 최대 추력을 다시 갱신하였다. * NK-86 터보팬: [[Il-86]] * [[NK-144]] [[애프터버너]] 탑재 터보팬: Tu-144 * ~~NK-93 터보팬~~: [[Il-96]], Tu-204에 제안되었다. 1980년대 말에 개발되었으며 바이패스비가 17:1에 달하는 터보팬 엔진이었으나 양산되지는 못했다. * ~~NK-44 터보팬~~: Tu-304에 제안된 엔진. * 로켓 엔진 * NK-9 * NK-15 * NK-19 * NK-33 * NK-39 === 둘러보기 === [include(틀:소련의 설계국 및 생산공장)]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