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티라코스테르나]] ||<-2><#F60> '''{{{#FFF {{{+1 쿰노리아}}}[br]Cumnoria}}}''' || ||<#F93> '''학명''' || ''' ''Cumnoria prestwichii'' '''[br]seeley, 1888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조반목]]^^Ornithischia^^|| || '''아목''' ||†각각아목^^Cerapoda^^|| || '''하목''' ||†조각하목^^Ornithopoda^^|| ||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스티라코스테르나^^Styracosterna^^||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쿰노리아속^^''Cumnoria''^^'''||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쿰노리아 프레스트위키(C. prestwichii)^^{{{-1 [[모식종]]}}}^^|| [목차] [clearfix] == 개요 == [[쥐라기]] 후기 유럽에 살았던 조각류의 일종. 속명의 뜻은 '컴노 허스트의 것'. == 연구사 == 몸길이가 3.5m 정도로 추정되는 아성체의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모식표본은 옥스포드셔의 허스트 언덕(Hurst Hill)에서 일하던 인부들에 의해 발굴되었다. 인부들은 그 화석을 쓰레기더미에 버렸지만,[* 실제로 공사장에서 화석 같은 게 나오면 학자들에게 신고하지 않고 대충 처리하는 일이 흔한 편이다. 인부들 입장에서는 당장의 공사가 더 중요하지 고생물을 알려주는 자료 따위가 중요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인부 한 명이 화석을 다시 자루에 모아 담고 [[옥스퍼드 대학교]]로 가져갔다.[* ] 이 인부 한 명이 아니었으면 쿰노리아라는 공룡의 존재 자체가 영원히 알려지지 않았을 것이다.] 당시 고생물학자 조셉 프레스트위치(Joseph Prestwich)는 1879년 이 화석의 주인을 [[이구아노돈]]으로 추정했고 이듬해 지질학자 겸 화석 수집가인 존 휘태커 헐크(John Whitaker Hulke)에 의해 이구아노돈 프레스트위치(I. prestwichii)로 명명했다. 그러다 1888년 해리 실리는 이 화석을 쿰노리아라는 별개의 속으로 독립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1889년 박물학자 리처드 리데커가 이 종을 [[캄프토사우루스]]의 한 종으로 분류하면서 실리의 주장은 그 뒤로 백 년 넘게 학계에서 잊혀져 왔다. 90년대 후반과 2000년대에 이르러서야 데이비드 노먼과 대런 내쉬 등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실리의 원래 분류가 옳았다는 의견이 서서히 힘을 얻기 시작했고, 2011년 앤드루 맥도널드가 이 종을 공식적으로 캄프토사우루스에서 독립된 별개의 속으로 인정했다. 그러다 2015년에 다시 [[우테오돈]]과 함께 캄프토사우루스의 다른 종들로 분류되기도 했으며,[* Carpenter, Kenneth; Lamanna, Matthew C. (2015). "The Braincase Assigned to the Ornithopod Dinosaur Uteodon McDonald, 2011, Reassigned to Dryosaurus Marsh, 1894: Implications for Iguanodontian Morphology and Taxonomy". Annals of Carnegie Museum. 83 (2): 149–165.] 2023년, 수잔다 메이드먼트(Susannah Maidment)라는 학자는 쿰노리아를 캄프토사우루스와 별개의 속이라고 주장했다.[* Maidment, S. C. R.; Chapelle, K. E. J.; Bonsor, J. A.; Button, D.; Barrett, P. M. (2023). "Osteology and relationships of Cumnoria prestwichii (Ornithischia: Ornithopoda) from the Late Jurassic of Oxfordshire, UK". Monographs of the Palaeontographical Society. 176 (664): 1–55.] 같은 지층에서 발견된 공룡은 [[다켄트루루스]], 두리아티탄(Duriatitan), 유라티란트(juratyrant) 등이 있고, 익룡은 [[람포링쿠스]], [[게르마노닥틸루스]], [[쿠스피케팔루스]]가 있다. 그 외에도 [[킴메로사우루스]], [[플리오사우루스]]의 화석도 같은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 관련 문서 == * [[캄프토사우루스]] * [[우테오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