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00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외교관'''}}} [br] {{{+1 {{{#ffff00 '''쿵쉬안유'''[br]孔铉佑}}} }}}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쿵쉬안유.jpg|width=100%]]}}} || || '''{{{#ffff00 이름}}}''' ||[[한문]]: 孔铉佑 ([[한어병음|병음]]: kǒng xuàn yòu)[br][[한국 한자음]]: 공현우 || || '''{{{#ffff00 국적}}}'''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중국]] || || '''{{{#ffff00 민족}}}''' ||[[조선족]] || || '''{{{#ffff00 출생}}}''' ||[[1959년]] [[7월]] ([age(1959-07-19)]세)[br][[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 || '''{{{#ffff00 학력}}}''' ||[[상하이외국어대학]] 일본어과[br][[외교학원]] || || '''{{{#ffff00 정당}}}''' ||[include(틀:중국공산당)] || || '''{{{#ffff00 현직}}}''' ||{{{-3 }}} || || '''{{{#ffff00 주요 이력}}}''' ||{{{-2 외교부 부부장[br]주일중국대사관 대사^^2019.05 ~ 2023.02^^}}} || || '''{{{#ffff00 링크}}}''' || || [목차] [clearfix] == 개요 == 쿵쉬안유(공현우,kǒng xuàn yòu)는 [[중국]]의 [[외교관]]이며, 전 주일 중국대사이다. == 생애 == 1959년 중국 동북3성 중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에서 태어났다. [[조선족]] 출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학에서 [[일본어]] 전공 이후 중국 외교부에서 경력을 시작한다. 중국 외교부 내 대표적인 일본통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문화적 배경이 북핵 수석대표라는 자리에 올라가게 하였다는 평이 다분하다. 2019년에는 주일 중국대사로 부임받았다. 2023년 2월 4일, 중국 정부가 우장하오를 주일대사로 임명하면서 대사직에서 물러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612458?sid=104|#]] == 경력 == 1985년 10월 오사카 총영사관 영사수원 1989년 10월 외교부 아시아사 3등서기관 부처장 1995년 1월 주일 대사관 연구실 주임 1등서기관 1999년 1월~2000년 3월 중국 외교부 아시아사 처장 2000년 10월~2002년 3월 허난성 카이펑시 시장조리 2002년 4월 외교부 정책연구원 참사관 2003년 4월 외교부 아시아사 부사장 2006~2011년 주일 중국공사 2012~2013년 주베트남 대사 2014년 아주(아시아)사 사장(국장) 2015년 12월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 2017년 북핵6자회담 중국측 수석대표 2019년 주일 중국대사 [[분류:중국의 외교관]][[분류:1959년 출생]][[분류:하얼빈시 출신 인물]][[분류:조선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