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큐브위성(초소형위성) 또는 큐브샛(Cubesat)은 크기가 10 cm×10 cm×10 cm에서 최대 20 cm×10 cm×60 cm에 이르는 [[인공위성]] 혹은 [[탐사선]]이다. 국내에서는 우리말로 '꼬마위성'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운다. 이제는 지구 궤도를 넘어 달, 화성 등 지구 밖 탐사에도 활용되기 시작했다. 1998년 미국 [[스탠포드 대학]]이 교육용으로 처음 발명했다. 2003년 최초로 지구 궤도에 올려진 이래, 2023년 초까지 20년 간 전 세계에서 2천기 이상 발사됐다. 한국은 2012년 큐브위성 경연 대회에 선정된 6대가 국내 첫 큐브 위성이며, 2023년 누리호 3차 발사까지 총 23기[* 2023년 5월 30일 기준, 도요샛 3호기 다솔은 행방이 묘연한 상태이다.]가 발사되었다. == 상세 == 크고 무거운 위성체의 경우, 개발의 난이도 및 비용이 높아서 전문 기업[* 예를 들어 세트렉아이] 혹은 [[정부출연연구기관]][* 예를 들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만 개발이 가능한 반면, 큐브위성의 경우 [[학부생]]이나 [[대학원생]] 수준도 개발 및 운용이 가능한 초소형 위성체이다. 다만, 위성체 자체가 [[전자공학]], [[기계공학]], [[컴퓨터공학]], [[항공우주공학]] 등 다양한 공학 분야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만큼, 해당 학과의 3~4학년들을 골고루 모아서 개발 및 운용에 도전해야 초소형 위성의 임무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단순히 위성체를 올려서 기초적인 기술 시현을 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자체적인 과학 임무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공학]]뿐만 아니라 [[천문학]] 분야의 전문성도 필요하다. 실제 배치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는 [[국제우주정거장]]에 교대인원이 갈 때 같이 포장해서 가지고 가서 궤도에 올리는 것. 크기가 작다보니 이런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ISS에는 NRCSD라는 큐브위성 사출 설비가 존재한다. [* 과거 [[우주왕복선]] 운용 시절에는 왕복선에 탑재해서 궤도에 올리기도 했다. [[갈릴레오(탐사선)|갈릴레오]]와 [[허블 우주 망원경]]이 이런식으로 발사됐다.] 두 번째는 대량의 큐브위성을 한데 모아 [[로켓]]으로 쏜 후, 큐브 위성을 각 포인트에 사출하는 방식이다. || [youtube(YoErE4wneiQ)] ISS NRCSD 사출 실제 모습 || [youtube(3JPp16CXhJI, start=12)] 발사체 최상단 어댑터 부착 사출기 사출 묘사 || 각 사출관 안 끝단에는 복원력이 강한 스프링이 있으므로 [[https://static.wixstatic.com/media/dca4f9_192a11f41cc74dd980b6e6be9aae694a~mv2.jpg/v1/fill/w_448,h_420,fp_0.50_0.50,q_80,usm_0.66_1.00_0.01,enc_auto/dca4f9_192a11f41cc74dd980b6e6be9aae694a~mv2.jpg|사출기 개폐구가 열리면 큐브위성이 스프링의 탄성으로]] 우주 밖으로 밀려 나가게 된다. 상기의 좌측 영상과 같이 자체 질량이 거대한 ISS를 통해 사출되면 문제가 안되겠으나, 우측과 같이 발사체에 의한 경우는 [[뉴턴의 운동법칙]]의 작용-반작용 원리에 의해 큐브위성이 사출되는 순간 최상단 로켓은 속도와 균형에 적쟎은 영향을 받게 되므로 사출관 설계 기술 및 큐브위성 배치와 전개 순서는 매우 중요하다. == 여담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우주개발 저변을 확대하고, 일반대중의 우주개발에 대한 관심을 고취하기 위하여 2012년부터 [[큐브위성 경연대회]]를 주최하고 있다. 이 중 2019년 수상 위성들은 2022년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에 탑재되어 [[누리호]] 2차 발사를 통해 실제로 우주로 날아가게 되었다. == 둘러보기 == * [[인공위성]] * [[소형인공위성]] * [[큐브위성 경연대회]] * [[누리호 성능검증위성]] * [[도요샛]]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인공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