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라이슬러|[[파일:1962-93 크라이슬러 로고.png|width=1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4세대 뉴요커.png|width=100%]]}}} || || {{{#ffffff '''New Yorker'''}}} || [목차] '''Chrysler New Yorker / LHS''' == 개요 == [[미국]]의 자동차 회사이면서 [[스텔란티스]]의 계열사인 [[크라이슬러]]에서 [[1940년]]부터 [[1996년]]까지 판매된 브랜드의 주력 [[세단]]이었다. 총 56년간 판매되어 미국 내에서 가장 오래 팔린 차량의 명성을 얻기도 했다. 경쟁 차량은 [[뷰익]], [[올즈모빌]], [[머큐리(자동차)|머큐리]]의 상위차량들이었다. == 상세 == === 1세대(1940~1942) === [[파일:1세대 뉴요커.png|width=700]] --뭔가 맹해보인다..-- === 2세대(1946~1948) === [[파일:2세대 뉴요커.png|width=700]] === 3세대(1949~1954) === [[파일:3세대 뉴요커.png|width=700]] === 4세대(1955~1956) === [[파일:4세대 뉴요커.png|width=700]] === 5세대(1957~1959) === [[파일:5세대 뉴요커.png|width=700]] --◠ㅡ◠-- === 6세대(시리즈 PC3-H/RC3-H/SC3-H/TC3-H/VC3-H, 1960~1964) === 유니바디 형태에 [[크라이슬러 300 레터 시리즈|크라이슬러 300F]]의 그릴 디자인이 적용된 차량으로 [[1960년]]에 출시되었다. 뉴요커 커스텀 쿠페 사양은 고성능 사양인 [[크라이슬러 300]]의 뒷좌석 버킷 시트가 적용되었다. [[파워트레인]]으로는 6.8L RB형 웻지 엔진이 탑재되어 350마력의 최고 출력을 냈다. === 7세대(시리즈 AC3-H/BC3-H/CC3-H/DC3-H, 1965~1968)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65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65년형 하드탑 세단}}}''' || [[1965년]]형으로 출시되었으며, 모든 [[크라이슬러]], [[닷지(자동차)|닷지]], [[플리머스]]의 대형차와 함께 유니바디 플랫폼인 [[크라이슬러 C 플랫폼]]을 기반으로 했으며, 이것은 볼트로 고정된 고무 격리 형태의 전면 서브프레임을 특징으로 하였다. 디자이너는 [[엘우드 엥겔]]이었으며, [[1961년]]형 [[링컨 컨티넨탈]]에서 스타일링 힌트를 받아 설계되었다. 슬래브 측면과 펜더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크롬 장식을 갖춘 스타일링이 특징이었다. 또한 당시 브랜드의 고급 승용차이자 [[1964년]]에 변경을 거친 [[임페리얼(자동차 제조사)|임페리얼]]과 일부 시각적 유사성을 공유하였다. 차량의 생산은 [[미국]]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의 제퍼슨 애비뉴 어셈블리와 [[일리노이 주]] 벨비디어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라인업은 4도어 세단, 2도어 및 4도어 하드탑, 타운앤컨트리 2인승 또는 3인승 스테이션 왜건으로 구성되었다. 4도어 세단은 [[크라이슬러 뉴포트]] 및 [[닷지 커스텀 880]]에 적용된 6개의 창문을 가진 타운 세단 형태로 되어 있었다. 다만 4개의 창문을 가진 세단 라인업도 있었지만, 뉴요커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2도어 하드탑 사양은 [[미국]]에서 판매되었으며, 4도어 하드탑처럼 독특한 지붕선을 가져 둥근 컨버터블 스타일의 [[크라이슬러 300]] 혹은 [[크라이슬러 뉴포트|뉴포트]] 2도어 하드탑과 차별화가 이루어졌다. 해당 차량의 경우, 더 정형화되고 사각형의 선을 가진 평행사변형 모양의 후면 기둥에 푹신한 비닐을 덧씌운 형태가 강조된 것이 특징이었다. 왜건 사양을 제외하면 모두 3,150mm의 휠베이스를 가졌으나, 왜건 사양은 [[닷지(자동차)|닷지]]의 3,100mm를 유지했는데, C 플랫폼 적용 왜건들은 모두 같은 차체를 유지했기 때문이었다. 차량의 전장은 5,542mm였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65 크라이슬러 뉴요커 타운앤컨트리.png|width=100%]]}}}|| || '''{{{#ffffff 1965년형 타운앤컨트리 왜건 사양}}}''' || [[1965년]]형 제조사 옵션에는 후면 비닐 루프 필러 인서트, 새기노 사의 틸트 앤 텔레스코픽(Tilt 'N Telescopic) 스티어링 휠, 에어컨 및 파워 기능(윈도우, 안테나 및 스티어링) 등이 적용되었다. 출시 이후 [[1965년]]형 차량들은 큰 호평을 받으면서 204,002대로 이전 라인업에 비해 40% 가량 매출이 성장하게 되었고, 그 중 49,871대를 판매한 뉴요커는 이전 해보다 62% 이상의 성장세를 보였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66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66년형 하드탑 쿠페}}}''' || [[1966년]]형은 이전 연식의 기조를 이어받으며 발전하였는데, 새로운 그릴, 테일램프 및 측면 장식이 추가되었다. 이 시기부터 [[크라이슬러 타운앤컨트리(왜건)|타운 앤 컨트리 왜건]]은 독자 라인업으로 분리되었으나, 나머지 사양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1966년]]형 [[크라이슬러]] 브랜드의 전체 판매량은 262,495대로 29% 가까이 증가했지만, 뉴요커는 47,579대가 판매되며 소폭 감소한 추세를 보였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67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67년형 하드탑 세단}}}''' || [[1967년]]형의 경우는, 자동차 창문과 차 경계부의 선(벨트라인) 아래의 모든 판금을 재설계하는 변화가 이루어졌다. 새로운 디자인 변화는 전면부 랩어라운드 주차등과 테일램프 등이 있었다. 2도어 하드탑에 적용된 '패스트탑' 디자인은 기존의 지붕선 디자인을 대체하였다. 4도어 차량은 [[크라이슬러 뉴포트]]처럼 4윈도우 형태의 차량으로 회귀하였다. 하지만, 그 해 경기 침체가 이루어지면서 차량의 판매는 20% 가량 감소하였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68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68년형 4도어 세단}}}''' || [[1968년]]형의 경우, 새로운 그릴과 범퍼, 전면 판금, 후면 펜더 및 데크 디자인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2도어 하드탑의 경우, [[크라이슬러 300]] 혹은 [[크라이슬러 뉴포트|뉴포트]] 2도어 하드탑은 [[닷지(자동차)|닷지]] 및 [[플리머스]]의 새롭고 스포티한 디자인과 달리 기존의 지붕선을 유지하였다. 다른 [[크라이슬러]] 라인업과의 차별성을 위해 외장 디자인은 사각형 패턴의 전면 그릴 및 데크 트림, 후면부에서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차량 하부 측면 몰딩 등이 적용되었다. 차량의 판매량은 [[크라이슬러]] 라인업 전체가 264,863대, 뉴요커는 소폭 상승한 48,143대를 판매하였다. [[파워트레인]]은 4배럴 카뷰레터가 적용된 345마력의 6.8L 파이어파워 V8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크라이슬러 300 레터 시리즈|레터 시리즈]]의 360마력 고성능 6.8L 엔진+토크플라이트 3단 [[자동변속기]]도 옵션으로 탑재되었다. 해당 엔진에는 소음이 없는 공기 청정기, 이중 차단기 점화 장치, 특수 캠축 및 이중 배기 장치이 적용되었다. [[1966년]]형부터 7.2L RB형 파이어폭스 V8 엔진이 추가되었다. 일반 사양에서는 350마력을 냈지만, 소음이 없는 공기 청정기, 이중 차단기 점화 장치, 특수 캠축 및 이중 배기 장치가 달린 440 TNT 사양에서는 최고 365마력까지 낼 수 있었다. === 8세대(시리즈 EC-H/FC-H/GC-H/HC-H/3C-H, 1969~1973)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69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69년형 하드탑 세단}}}''' || [[1969년]] 크라이슬러 대형차들의 [[풀체인지]]가 이루어지며 [[임페리얼(자동차 제조사)|임페리얼 라인업]]과 공유하는 '퓨즈레이지(Fuselage)' 스타일이 적용되었다. 이는 이전 세대의 기반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곡선이 가미된 측면과 높은 벨트 라인을 특징으로 하는 주요한 [[페이스리프트]]였다고 할 수 있다. 2도어 하드탑은 [[1940년대]] 클럽 쿠페를 연상시키는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가 이루어졌다. 차량의 생산은 [[미국]]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의 제퍼슨 애비뉴 어셈블리와 [[일리노이 주]] 벨비디어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라인업은 2도어/4도어 하드탑과 4도어 세단으로 구성되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0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70년형 하드탑 쿠페}}}''' || [[1970년]]형 크라이슬러는 그릴, 테일램프, 장식 등의 변화가 약간 있었다. 전면 도어의 작은 환기창이 2도어 하드탑 사양에서 삭제되는 소소한 변화가 있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1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71년형 타운 세단 사양}}}''' || [[1971년]]에 계획되었던 [[페이스리프트]] 차량은 예상보다 저조한 판매로 인해 [[1972년]]까지 연기되었고, 따라서 [[1971년]] 차량들은 새로운 그릴과 테일램프만 적용되었다. 4도어 세단과 하드탑은 환기가 되지 않는 형태의 전면 윈도우가 적용되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2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72년형 라인업}}}'''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3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73년형 하드탑 세단}}}''' || [[1972년]]형의 경우, 엔진 출력이 더 엄격한 배기가스 기준과 유가 상승으로 인해 약간 떨어지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크라이슬러는 [[1971년]]형~[[1974년]]형 [[닷지 차저]]와 다소 유사한 새로운 '스플릿 그릴'을이 적용된 대신 '루프(loop)' 스타일의 전면 범퍼의 이 해를 끝으로 단종되었다. [[1973년]]형은 퓨즈레이지 스타일링이 적용된 마지막 연식이었으며, 주로 전면부의 변화가 다소 이루어졌다. [[파워트레인]]으로 적용된 7.2L RB형 V8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이와 함께 A-727형 3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5,707mm, 휠베이스는 3,150mm였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라이슬러 뉴요커 대한민국 의전차.png|width=100%]]}}}|| || '''{{{#ffffff 경주세계자동차박물관에 전시된 뉴요커 의전차}}}''' || 차량이 출시되었을 당시인 [[1969년]]형 차량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이 해당 차량을 타고 지방 시찰을 했다고 있다. 해당 차량은 [[경상북도]]가 소유하다가 [[금오공대]]에 기증된 후 현재는 경주세계자동차박물관 2층에 전시되어 있다. === 9세대(시리즈 4C/5C/CS,1974~1978)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4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74년형 하드탑 세단 후면부}}}'''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5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75년형 하드탑 세단}}}''' || [[1974년]]에 볼륨감, 공간감을 강조하던 1970년대 초 크라이슬러 코퍼레이션 계열사들의 디자인 테마였던 "퓨즈레이지(Fuselage)" 스타일링에서 모든 크라이슬러 대형차가 더욱 더 거대해지고 측면이 편평해진 디자인으로 대체되었다. 이 세대는 주로 [[링컨 컨티넨탈]]에서 사용되던 인기 있는 디자인 요소를 활용한 것이 특징이었다. 해당 차량은 [[1973년]] [[OPEC]] 으로 비롯된 [[석유파동]] 시기가 시작된 상황에서 [[1974년]]형으로 거의 동시에 데뷔했으며, 크라이슬러의 1970년대 후반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는 발단이 되는 시점이었다. 1974년 차량은 [[크라이슬러]]가 처음부터 디자인한 마지막 대형차이기도 했다. 차량의 생산은 [[미국]]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의 제퍼슨 애비뉴 어셈블리와 [[일리노이 주]] 벨비디어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1974년]]형은 기본형 뉴요커와 고급 사양인 뉴요커 브로엄 2종으로 출시되었다. 4도어 하드톱 세단의 소매 가격은 6,611달러[* 현재 가치 환산 시 약 5,240만원]였으며 13,165대가 판매되었다. '세인트 레지스' 외장 옵션 패키지가 중간에 추가되어 고정형 공식 오페라 윈도우, 차체 페인트 색상의 악센트 스트라이프 및 전반적으로 반쯤 덮인 비닐 커버 지붕이 제공되었다. [[1975년]]형은 약간 수정된 그릴이 적용되었으며, 사양이 뉴요커 브로엄 1종으로 축소되었다. [[1974년]] 중반에 출시된 '세인트 레지스' 외장 패키지는 계속 유지되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6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76년형 2도어 하드탑 쿠페 사양}}}''' || [[1976년]]에는 사라진 [[임페리얼(자동차 제조사)|임페리얼]]의 전면과 후면 스타일을 계승했으며, 특히 히든 커버 헤드램프도 적용되었다. 이 임페리얼의 디자인을 가미한 뉴요커는 저가 라인업이던 [[크라이슬러 뉴포트|뉴포트]]와의 차별화에 성공했고, [[1974년]]형 및 [[1975년]]혀 차량에 적용된 스타일링을 기반으로 [[크라이슬러 뉴포트]]에 이식했다. 실내 디자인 역시 임페리얼 차량들을 계승하였다. [[1977년]]에는 기본 탑재되던 7.2L 웻지 V8 엔진이 새로운 컴퓨터 제어 방식의 린번 시스템을 포함한 개선을 거쳤고, 가속 성능 및 반응의 향상이 이루어졌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8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78년형 하드탑 세단 사양}}}''' || [[1978년]]형 차량은 2도어 및 4도어 하드탑 사양으로 판매되었다. 해당 라인업은 프레임리스 도어 디자인과 완전히 개방되는 창문을 갖춘 [[미국]]에서 마지막으로 생산된 진정한 필러리스 하드탑 차량이었다. '세인트 레지스' 옵션 패키지에는 고정 B필러와 오페라 윈도우를 포함한 부분적으로 푹신하게 만들어진 비닐 지붕이 포함되었다. 또한 2도어 사양이 제공된 마지막 연식이기도 했다. 외장 디자인은 새로운 분할 그릴 디자인, 하부 측면의 이중 악센트 테이프 스트립, 새로운 후면 데크 스트라이프 및 더 밝아진 테일램프가 적용되었다. [[파워트레인]]으로 적용된 6.6L 웻지 V8 엔진[* [[캘리포니아 주]] 및 고고도 지역에서는 5.9L LA형 V8 엔진이 기본 탑재되었다.]이 기본, 7.2L 웻지 V8 엔진이 옵션으로 탑재되었다. [[크라이슬러 C 플랫폼]] 기반의 뉴요커 브로엄의 마지막 연식은 윈드쉴드 와이퍼 연결 부싱, 범퍼를 위한 전후면 플라스틱 펜더 디자인 확장, 더 얇아진 유리 등의 엔지니어링 변화가 이루어졌다. 차량의 전장은 5,911mm, 전폭은 2,019mm, 전고는 1,384mm, 휠베이스는 3,150mm, 공차중량은 2,192kg이었다. 후속 차종은 [[크라이슬러 피프트 애비뉴]] 사양이 이어받게 되었다. === 10세대(시리즈 TP,1979~1981)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80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80년형 차량}}}''' || [[1979년]]에 [[바디 온 프레임]] 방식의 [[크라이슬러 R 플랫폼]]을 적용한 필러드 하드탑 스타일로 출시되었다. 이전 세대보다 짧고 훨씬 가벼웠지만 여전히 대형 차량의 느낌과 라이딩을 제공했습니다. 숨겨진 헤드램프와 전폭 길이의 테일램프를 통해 형제차인 [[크라이슬러 뉴포트]], [[닷지 세인트 레지스]] 및 [[플리머스 그란 퓨리]]와 차별화를 두었다. 새로운 [[크라이슬러 피프트 애비뉴|피프트 애비뉴]] 사양이 제공되었으며, 판매량은 거의 55,000대였고, 차량의 권장 가격(MSRP)은 8,631달러[* 현재 원화가치 환산 시, 4,649만원]로 책정되었다. 차량의 생산은 [[미국]]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의 린치 로드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파워트레인]]으로는 5.2L LA형 V8이 기본 탑재되었고 5.9L LA형 V8 엔진이 옵션으로 판매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5,626mm, 전폭은 1,958mm, 전고는 1,384mm, 휠베이스는 3,010mm, 공차중량은 1,730kg이었다. 제공되는 외장 색상은 도브 그레이, 포멀 블랙, 나이트워치 블루, 스피네이커 화이트, 메탈릭 틸 프로스트, 리젠트 레드 선파이어, 세이블 탠 선파이어, 미디움 캐시미어, 틸 그린 선파이어로 [[크라이슬러 뉴포트]]와 공유하였다. 실내는 리치턴(Richiton) 사의 천과 비닐로 덮인 60/40 분할 전면 벤치 시트와 접이식 센터 암레스트가 적용되다. 전면 서스펜션은 여전히 크라이슬러의 시그니처인 전면 토션 바(토션-아이어) 및 안티-스웨이 바와 연결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이 후면부에 적용되었다. 차별성을 높이기 위해 크라이슬러는 '컨비니언스 앤 어피어런스 옵션'을 제공하였다. 이 옵션에는 오픈 로드 핸들링 패키지, 투톤 페인트, 실내등, 업그레이드된 온도 제어 기능을 갖춘 에어컨, 뒷유리 김서림 방지 장치, 크루즈 컨트롤, 전동 조절식 전면 시트, 전동 창문, 전동 전자식 도어 락, 전동 트렁크 개폐 장치, 추가 비용이 드는 가죽이 적용된 고급 스티어링 휠, 디지털 시계, 가스 캡 잠금장치, 조명 및 거울, 할로겐 헤드램프, 코너링 램프, 전동식 조절 가능한 외부 측면 미러, 여러 AM/FM 라디오 및 별도의 스테레오 라디오 옵션[* CB 및 8트랙 카세트 플레이어가 적용되었다.], 전동식 확장 가능한 안테나, 다양한 비닐 측면 몰딩과 범퍼 가드, 더블 코팅, 색상이 적용된 아동용 안전띠, 휠 커버 및 알루미늄 휠이 포함되었으며, 모두 추가 비용 옵션으로 판매되었다. [[1980년]]형은 스테인레스 스틸 지붕 처리 및 전용 마호가니 메탈릭 페인트를 갖춘 고급 '스페셜 에디션' 트림 패키지를 선보였으며, 이는 [[크라이슬러 피프트 애비뉴|피프트 애비뉴]] 사양보다는 낮은 사양 패키지였으며, 투톤 컬러 조합도 옵션 목록에 추가되었다. 판매량은 13,500대를 상회했으며, 가격은 10,459달러로 올랐다.[* 현재 가격 환산 시, 약 4,963만원] 미국의 [[1980년대]] 초 불경기가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서 대형차 및 고급차 판매에도 영향이 가기 시작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81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81년형 차량}}}''' || [[1981년]]형은 간결하면서도 대담한 새로운 수직 그릴이 적용되었다. '피프트 애비뉴' 옵션 패키지는 유지되었으며, '캐리지 루프' 패키지가 추가되어 나이트워치 블루 또는 마호가니 메탈릭 색상만 제공되었고 다양한 옵션 사양이 추가되었다. 당시 차량의 MSRP는 10,459달러[* 현재 가치 환산 시 약 4,498만원]으로 상승했고, "피프스 애비뉴" 트림 패키지 가격이 1,300달러[* 현재 가치 환산 시, 559만원] 더 오른 탓에 판매량이 다시 6,500대 넘게 감소하기도 했다. ==== 파생차량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80 크라이슬러 피프트 애비뉴.png|width=100%]]}}}|| || '''{{{#ffffff 1980년형 피프트 애비뉴}}}''' || [[크라이슬러 R 플랫폼]]이 적용된 '[[크라이슬러 피프트 애비뉴|뉴요커 피프트 애비뉴]]' 사양은 해당 문서를 참고할 것. === 11세대(시리즈 FS, 1982)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82 크라이슬러 뉴요커 피프트 애비뉴.png|width=100%]]}}}|| || '''{{{#ffffff 1982년형 피프트 애비뉴 사양}}}''' || 기존 [[크라이슬러 M 플랫폼]]이 적용되던 [[크라이슬러 레바론]] 대신 해당 포지션으로 [[다운사이징]]을 거쳤다. 레바론은 이보다 더 작은 [[크라이슬러 K 플랫폼]]으로 변경되었다. 사양은 기본형과 [[크라이슬러 피프트 애비뉴|피프트 애비뉴]] 사양 2종이었으며,일반적인 루프 형태로 처리가 이루어졌다. 실내 소재의 경우, 기본형이 천 또는 옵션으로 가죽 시트가 들어가는 반면, 피프트 애비뉴 사양은 푹신한 '코린토스 가죽' 혹은 '킴벌리 벨벳 시트' 중에서 선택이 가능했다. V8 엔진 및 피프트 애비뉴 사양에는 파워 도어락, 전동식 운전석, 파워 트렁크 걔폐 기능, AM/FM 스테레오, 속도 제어 장치, 가죽으로 감싼 스티어링 휠, 디럭스 간헐적 와이퍼 및 와이어 휠 커버, 차량 탑승 시 실내등이 들어오는 기능이 기본 적용되었다. [[파워트레인]]으로는 3.7L RG형 슬랜트 식스(I6) 엔진이 탑재되었으며, 5.2L LA형 V8 엔진이 옵션 사양으로 판매되었다. 이후 해당 차량은 [[1983년]]부터 뉴요커 피프트 애비뉴로 판매되며, 2세대 [[크라이슬러 피프트 애비뉴|피프트 애비뉴]]로 지속 판매가 이루어졌다. 사양 변경 등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 참고. ---- '''판매량 및 가격''' ||<-3> '''{{{#fff 11세대 크라이슬러 뉴요커 (피프트 애비뉴) 판매량 및 가격}}}''' || || '''{{{#000 연도}}}''' || '''{{{#000 판매량}}}''' || '''{{{#000 출시 당시 가격}}}''' || || '''[[1982년|{{{#fff 1982년}}}]]''' ||<#000> '''{{{#fff 50,509대}}}''' ||<#000> '''{{{#fff 10,851달러}}}[* 약 원화가치 환산 시 4,374만원]''' || === 12세대(시리즈 T/ET/E, 1983~1988)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83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83년형 차량}}}''' || >'''We've Re-Engineered the American Luxury Car.''' >아메리칸 럭셔리 카를 재설계했습니다. >------ >- 1983년식 브로슈어[[http://oldcarbrochures.org/United%20States/Chrysler_and_Imperial/1983_Chrysler/1983-Chrysler-New-Yorker-Brochure/index.html|#]] [[1983년]]형의 경우는 제한적으로 생산되었으며, 출시 당시 [[크라이슬러 E클래스]]와 많은 부분을 공유하였다. [[1984년]]부터 [[1988년]]까지 E클래스와 약간 다른 폭포수 그릴이 적용되었다. 차량의 생산은 [[미국]]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제퍼슨 어셈블리 공장과 [[1986년]]부터 [[1989년]]까지 [[멕시코]] [[톨루카]]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전륜구동]] 기반 [[크라이슬러 K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장축형인 [[크라이슬러 E 플랫폼|E 플랫폼]]이 적용되었다. [[파워트레인]]도 뉴요커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하게 4기통 엔진이 탑재되었는데, K카 라인업에 주로 탑재된 2.2L K형 I4 엔진이 적용되었다. 이는 [[1932년]] 크라이슬러 플랫헤드 4기통 엔진을 사용한 [[플리머스 모델 PA]] 이후로 [[크라이슬러]]가 제조한 차량 중에서 처음으로 4기통 엔진이 탑재된 차량이었다. 이와 함께 A413형 및 A470형 3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런칭 당시 광고에서는 컴팩트한 전륜구동 플랫폼 적용과 디지털 대시보드, 음성 안내 시스템[* Electronic Voice Alert라는 기능이었는데,이를 통해 '문이 열려 있습니다', '안전띠를 착용해주세요', '열쇠 까먹지 마세요', '감사합니다' 및 (안전띠를 착용하거나 문을 단단히 닫거나 시동 스위치에서 열쇠를 배는 상황일 때 나왔다고 한다.) 이외에도 '엔진 오일 압력이 낮습니다 - 신속한 서비스가 필요합니다'와 같은 알림 메시지를 음성으로 알려주었다고 한다.] 등을 하이라이트로 이용하며 당대 가장 진보적인 크라이슬러 차종임을 강조하였다.[[https://youtu.be/O0irFq6ISXA|#]] 또한, 전동식 루프와,복고풍 운전등이 달린 랜도우 유리 천장도 기본 적용되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84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84년형 차량}}}''' || [[1984년]]형의 경우에는 랩어라운드 테일램프, 전면 그릴의 수정을 거치게 되었다. 해당 연식부터 2.2L 터보 I I4 엔진은 옵션으로 전환되었다. 디지털 속도계와 주행 거리계를 구비한 새로운 계기판, 기존 필로우 벨벳 시트는 딥 냅(Deep nap) 천 시트가 기본 장착으로 대체되었다. [[1985년]]형부터는 2.2L K형 I4 엔진이 2.6L [[미쓰비시 자동차|미쓰비시]]제 G54B형 I4 엔진으로 기본 탑재되기 시작했다. 이외에도 독서등, 뒷좌석 헤드레스트 및 파워 윈도우가, 오버헤드 저장 콘솔이 새 기본 탑재 기능으로 추가되었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86 크라이슬러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986년형 차량의 후면부}}}''' || [[1986년]]형부터는 2.5L K형 I4 엔진이 2.6L 사양을 대체한 기본 엔진으로 탑재되기 시작했다. 여기에 자동 로드 레벨링 서스펜션이 추가되었다. 차량 후면 트렁크 패널, 몰딩과 테일램프의 재설계가 이루어졌으며, 전면 콘솔의 재설계도 이루어졌다. 여기에 전자식 계기판 개선과 AM/FM 스테레오 및 디럭스 간헐 와이퍼가 기본 적용되기 시작했다. [[1987년]]에는 터보 사양에서 후드 벤트 및 전 사양에서 펜더 루버(방열공)의 제거가 이루어졌다. 6스피커 인피니티 사운드 시스템은 옵션으로 추가되었으며, 스티어링 휠의디자인도 새로 변경되었다. 해당 연식은 마지막 변경이 이루어진 연식이면서도 가장 많이 판매된 12세대 뉴요커 연식이기도 했다. 12세대 차량의 전장은 4,755mm, 전폭은 1,727mm, 전고는 1,349mm, 휠베이스는 2,624mm였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88 크라이슬러 뉴요커 터보.png|width=100%]]}}}|| || '''{{{#ffffff 1988년형 터보 사양}}}''' || 13세대 차량이 출시된 [[1988년]]의 경우에도 판매되긴 했지만, 뉴요커 터보[* 기존에는 '뉴요커 터보'라는 이름으로 '터보' 배지를 단 게 전부였지만, 모델명 중 하나로 사용되지는 않았다.]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그로 인해 2.2L 터보 I I4 엔진이 자동으로 기본 탑재되었고 자동 온도 조절 에어컨, 틸팅 스티어링 휠, 크루즈 컨트롤, 후면 윈도우 김서림 방지 장치, 파워 도어락 등 기존에 선택이 많이 이루어지던 옵션의 기본 적용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 판매량 ==== |||| '''{{{#fff 12세대 크라이슬러 뉴요커 판매량}}}''' || || '''{{{#000 연도}}}''' || '''[[미국|{{{#000 미국}}}]] {{{#000 시장 판매량}}}''' || || '''[[1983년|{{{#fff 1983년}}}]]''' || {{{#fff 33,832대}}} || || '''[[1984년|{{{#fff 1984년}}}]]''' || {{{#fff 60,501대}}} || || '''[[1985년|{{{#fff 1985년}}}]]''' || {{{#fff 60,700대}}} || || '''[[1986년|{{{#fff 1986년}}}]]''' || {{{#fff 51,099대}}} || || '''[[1987년|{{{#fff 1987년}}}]]''' || '''{{{#fff 68,279대}}}''' || || '''[[1988년|{{{#fff 1988년 (터보 사양)}}}]]''' || '''{{{#fff 8,805대}}}''' || || '''{{{#fff 총 판매량}}}''' || '''{{{#fff 283,216대}}}''' || ==== 파생차량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84 크라이슬러 피프트 애비뉴.png|width=100%]]}}}|| || '''{{{#ffffff 1984년형 피프트 애비뉴}}}''' || [[크라이슬러 M 플랫폼]]이 적용되는 차량은 '[[크라이슬러 피프트 애비뉴|뉴요커 피프트 애비뉴]](New Yorker Fifth Avenue)"로 불리다가 [[1984년]]부터 [[1989년]]까지는 독자적인 '크라이슬러 피프트 애비뉴'로 판매되었다. === 13세대(시리즈 C, 1988~1993)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3세대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초기형 베이스 사양}}}''' || [[닷지 다이너스티]]의 형제차로 차량의 생산은 [[미국]] [[일리노이 주]] 벨베디어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이전 세대보다 더 커졌고 차량 하부 및 서스펜션 구성 요소가 이어받았으나 디자인의 상당 부분 개선이 이루어졌다. 해당 차량은 당시 새로 부활했던 [[플래그십]] 세단인 [[크라이슬러 임페리얼]]과 함께 5년/50,000마일[* 약 80,467km] 제한적인 품질보증과 7년/70,000마일[* 약 112,654km] 파워트레인 보증+24시간 핫라인 네트워크 등이 포함된 당시로는 혁신적이었던 '크리스탈 키 오너 케어 프로그램'이 적용된 차량이었다. [[1989년]]에는 3.0L [[미쓰비시 6G7 엔진|6G72형]] V6 엔진의 출력이 약간 향상되었으며, 새로워진 울트라드라이브(Ultradrive) 4단 [[자동변속기]]와 적용되었다. 해당 연식은 뉴요커 출시 50주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특별 기념 에디션이나 표식 등은 따로 나오지 않았으나 13세대 뉴요커 중 가장 많이 판매된 해였으며, 같은 해에 10만대 이상을 생산하였다. [[1990년]]형의 경우에는 후술할 염가 사양의 추가, 대시보드 디자인 변경과 운전석 에어백이 기본 적용되기 시작했다. 사양의 경우, 출시 초기에는 기본형과 랜도우 사양으로 구성되었으며 리어 쿼터 비닐 루프가 랜도우 사양에 적용되었다. 또한, [[크라이슬러 R 플랫폼]] 차량들의 단종 이후 사라졌던 히든 헤드램프 기능이 다시 부활하였다. [[1990년]]형의 경우, '살롱'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된 염가 사양인 뉴욕어가 추가되었다. 해당 사양에는 돌출형 헤드램프, 수평형 테일램프 및 닷지 그릴을 가진 [[닷지 다이너스티]]의 [[배지 엔지니어링]] 사양으로 봐도 무방한 상황이었고, [[캐나다]] 시장에서는 크라이슬러 다이너스티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1991년]]형의 경우, 랜도우 사양은 단종되었으나, 살롱 사양은 히든 헤드램프, 수직형 테일램프, 전통적인 [[크라이슬러]]의 그릴로 변경되었다. [[1992년]]형은 전후면이 약간 더 둥글어지는 변화를 거쳤다. 이전 랜도우 사양의 지붕은 살롱 사양에서 옵션 사양으로 제공되었다. [[크라이슬러 C 플랫폼]]이 적용된 차량이며, [[파워트레인]]은 [[크라이슬러]]의 3.9L LA형 V6 엔진 대신 3.0L [[미쓰비시 6G7 엔진|6G72형]] V6 엔진과 [[1990년]]형부터 전 사양에 3.3L EGA형 V6 엔진 2종이 탑재되었다. 이와 함께 A670형 3단 [[자동변속기]]와 A604형 4단 [[수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차량의 전장은 4,917mm, 전폭은 90년형까지 1,740mm/이후 사양은 1,750mm, 전고는 90년형까지 1,359mm/이후 사양은 1,361mm, 휠베이스는 90년형까지 2,649mm/이후 사양은 2,654mm였다.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aW9nmuTqIE0,width=640,height=360)]}}}|| || '''{{{#ffffff 크라이슬러 뉴요커에 도입된 목소리 안내 기능}}}''' || 12세대 뉴요커에서부터 도입된 사양으로, 문이 열리거나 헤드라이트가 켜져 있으면 '''목소리'''로 알려주는 기능도 옵션으로 있었다. [[1993년]]형은 [[1992년]]형과 큰 차이 없이 판매되다가 5월 28일에 마지막 차량이 나오면서 단종되었다. ==== 파생차량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크라이슬러 피프트 애비뉴.png|width=100%]]}}}|| || '''{{{#ffffff Chrysler New Yorker Fifth Avenue}}}''' || [[크라이슬러 피프트 애비뉴]] 문서 참고 뉴요커의 장축형 차량으로 [[크라이슬러 M 플랫폼]]을 대체한 [[크라이슬러 Y 플랫폼|Y 플랫폼]]이 탑재된 차량이었다. 해당 차량의 공식 명칭은 '뉴요커 피프트 애비뉴'이며, [[1993년]]을 끝으로 단종되었다. ==== 판매량 ==== |||| '''{{{#fff 13세대 크라이슬러 뉴요커 판매량}}}''' || || '''{{{#000 연도}}}''' || '''[[미국|{{{#000 미국}}}]] {{{#000 시장 판매량}}}''' || || '''[[1988년|{{{#fff 1988년}}}]]''' || {{{#fff 70,968대}}} || || '''[[1989년|{{{#fff 1989년}}}]]''' || '''{{{#fff 100,461대}}}''' || || '''[[1990년|{{{#fff 1990년}}}]]''' || {{{#fff 86,004대}}} || || '''[[1991년|{{{#fff 1991년}}}]]''' || {{{#fff 55,229대}}} || || '''[[1992년|{{{#fff 1992년}}}]]''' || '''{{{#fff 51,560대}}}''' || || '''[[1989년|{{{#fff 1990년}}}]]''' || {{{#fff 52,128대}}} || || '''{{{#fff 총 판매량}}}''' || '''{{{#fff 416,440대}}}''' || === 14세대(시리즈 H, 1994~1996)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4세대 뉴요커.png|width=100%]]}}}|| || '''{{{#ffffff 14세대 뉴요커 }}}''' || 문서 양이 많아서 분리하였다. [[크라이슬러 뉴요커/14세대]] 문서 참고 == 둘러보기 == [include(틀:크라이슬러의 차량)] [[분류:크라이슬러/생산차량]][[분류:1940년 출시]][[분류:1996년 단종]][[분류:대형 세단]][[분류:쿠페]][[분류:컨버터블]][[분류:의전차량]][[분류:나무위키 자동차 프로젝트]]